광고

남북 겨레말큰사전 만들기 재검토해야 합니다!

“돈만 쓰고 제대로 성과를 내지 못했다, 이제 실제 성과를 낼 수 있는 일부터 해야 한다.”

이대로 한말글문화협회 대표 | 기사입력 2022/06/23 [12:57]

 

▲ 이대로 한말글문화협회 대표.     ©브레이크뉴스

지난 6월 20일 오후 3시 한글회관에서 필자=한말글문화협회(대표 이대로)가 ‘남북 말글 하나 되는 길 찾기“라는 주제로 비대면 이야기마당을 열었다. 이날 필자=이대로 대표가 인사말 겸 주제발표를 먼저하고 이상규 전 국립국어원장이 ”표준국어대사전과 남북 겨레말 큰 사전 만들기“에 대해서 주제발표를 한 뒤에 최성 한국어정보학회장과 최용기 전 국립국어원 부장이 토론을 했다. 이날 이상규 원장은 ”표준국어대사전과 남북 겨레말 큰 사전 사업은 민간단체가 나서서 할 일인데 나라에서 하는 바람에 돈을 많이 썼지만 문제가 많다. 이제 일제 때 조선어사전을 만든 한글학회와 같은 민간학술단체가 중심이 되어 해야만 제대로 성과를 얻을 수 있다.“라고 발표했다.

 

또한 최성 한국어정보학회장은 ”한국어정보학회는 1994년부터 인터넷 정보통신 남북 학술회의를 25년 동안 하다가 코로나 돌림병 뒤 중단 상태다. 인터넷정보통신 시대를 맞이해 남북이 인터넷을 통한 소통은 통일 준비를 위한 일이며, 시대사명이다. 나라에서 더욱 지원하고 힘써야 할 일인데 제대로 안 했다. 남북 문서가 북쪽에서 제대로 읽을 수 없고, 인터넷 통신상에서 남북이 서로 소통하기 힘들다. 하루빨리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최용기 부장은 남북 언어정책과 남북이 다르게 쓰는 말을 비교 분석하고 남북 말글 통합방안을 자세하게 제시하면서 겨레말큰사전 사업에 드는 돈을 민간단체에 일부 지원해서 남북 언어통일 사업이 잘 추진되면 좋겠다고 토론했다.

 

6월 20일 한글회관에서 필자=이대로 대표가 발표한 주제발표문에 소개한 남북학술회의 사진.   ©브레이크뉴스

 

필자=이대로 한말글문화협회 대표는 남북 겨레말 큰 사전 사업은 1989년 문익환 목사가 북한 김일성 주석에게 남쪽 박용수 선생이 쓴 ’겨레말갈래사전‘을 주면서 이 사업을 하자는 이야기가 나왔을 때인 “나는 1990년 대 초에 박용수 선생과 한겨레신문 김종철 논설위원을 만났는데 남북 언어통일을 위한 일을 함께 하자고 해서 함께 하기로 했는데 여러 어려움이 있어 못했다. 그리고 2000년 김대중 대통령과 김일성 북한의 주석이 만나 6.15선언을 한 뒤에 이 사업을 하자고 합의했다. 지난 2005년 노무현 대통령 때에 북쪽 금강산에서 ’남북 겨레말 큰 사전 공동 편찬위원회‘를 결성하면서 이 사업을 십년이 넘게 추진했으나 많은 돈만 쓰고 제대로 성과를 내지 못했다.”라고 아쉬워하면서 이제 실제 성과를 낼 수 있는 일부터 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그리고 북쪽은 나름대로 우리말을 잘 지키고 다듬었는데 남쪽이 마구 영어를 섞어서 씀으로서 남북 말글이 더 갈라지게 만들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먼저 남북이 서로 다르게 쓰는 말을 조사해 남북 시민에게 알려주고 남북 신문과 방송을 서로 볼 수 있게 하고, 셈틀 자판과 문서편집기를 통일하여 마음대로 남북이 문서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자고 제안했다. 또한 남북 겨레말 큰 사전 사업을 하게 한 계기를 만든 겨레말 갈래사전을 쓴 박용수 선생도 남북 겨레말 큰 사전 사업이 성공하려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걱정했는데 올해 초 돌아가셨다며 성과를 낼 수 있는 길을 찾아 남북 말글이 잘 통할 수 있는 길을 찾는 일은 계속해야 한다고 밝혔다.

 

70여 년 전 6.25 전쟁이 일어난 달을 맞이해 통일부와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가 이번 토론 동영상을 꼭 보기를 바라며 주제발표와 토론 동영상 주소를 아래 소개한다.

 

6월 20일 한글회관에서 필자=이대로 대표(3인 사진 중 왼쪽)가 발표한 주제발표문에 소개한 남북학술회의 사진.     ©브레이크뉴스

 

1. 이대로 한말글문화협회 대표가 주제발표한 동영상

https://youtu.be/iYVDDafFhjA

 

2. 이상규 전 국립국어원장 주제발표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XcPHKCfAYSI

 

3. 최성 한국어정보학회 회장 토론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F3C7LFxrvH4

 

4. 최용기 전 국립국어원 부장 토론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cuY8ne8XjRs

 

5. 이대로 한말글문화협회 대표 맺음말

https://www.youtube.com/watch?v=Q4_myE5W-4Q&t=82s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We need to re-examine the creation of a Korean-Korean dictionary!

“I only spent money and didn’t get good results. Now, I have to start doing things that can actually produce results.”

-idaero, the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ssociation

 

On June 20, at 3 pm at the Hangeul Center, the writer = Korean Language Culture Association (CEO Lee Dae-ro) held a non-face-to-face storytelling session with the theme of “Finding a way to unite the North and South Korean languages.” On this day, CEO Lee Dae-ro gave a greeting and theme presentation first, and then Lee Sang-gyu, former director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gave a theme presentation on “making a standard Korean dictionary and a large dictionary of the Korean language”, followed by a discussion between Choi Seong, president of the Korean Information Society, and Choi Yong-gi, former director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 Director Lee Sang-gyu said on the same day,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and the big dictionary project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re for private organizations to do. Now, only when private academic organizations such as the Hangeul Society, which created the Korean dictiona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become the center, can we achieve proper results.”

In addition, Choi Seong, president of the Korean Language Information Society, said, “The Korean Language Information Society has been holding inter-Korean academic conferences on interne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ince 1994 for 25 years, but has been suspended after the coronavirus outbreak. In the era of Interne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hrough the Internet is a work in preparation for unification and is the mission of the times. It was something that the country should support and put more effort into, but it didn't go well. Documents between the two Koreas cannot be read properly in the north, and it is difficult for the two Kore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internet communication. We need to solve this problem as soon as possible,” he emphasized. In addition, Director Choi Yong-gi compared and analyzed the inter-Korean language policy and the language used differently by the two Koreas, and presented in detail a plan for the integration of the inter-Korean language, and discussed that it would be good if the inter-Korean language unification project could be carried out well by subsidizing some of the money for the Gyeoree Mulgeun Dictionary project. .

A photo of an inter-Korean academic conference introduced in the topic presentation presented by the author = Dae-Dae Lee at the Hangeul Center on June 20.

Author =As idaero, the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ssociation said, “I started in the early 1990s when there was talk of doing this project when Pastor Moon Ik-hwan gave North Korean President Kim Il-sung a ‘Gyeoremal-gae Dictionary’ written by South Korean teacher Park Yong-soo in 1989. I met Park Yong-soo and Kim Jong-cheol, editorial board member of the Hankyoreh newspaper, and they said that we should work together for language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but we were unable to do so due to various difficulties. Then, in 2000, President Kim Dae-jung and North Korean President Kim Il-sung met and made the June 15 Declaration, and agreed to carry out this project. In 2005, during President Roh Moo-hyun's administration, he formed the 'Inter-Korean Gyeoremal Great Dictionary Joint Compilation Committee' at Mt. Geumgang in the north, and promoted this project for over ten years, but only spent a lot of money and did not get results.” announced that it should be

And while the North kept and refined the Korean language in its own way, pointing out that the South uses English mixed in, which is making the inter-Korean language even more divergent, first investigate the language used by the South and the North and inform the citizens of the North and South Korea to watch newspapers and broadcasts from each other. It was proposed that the two Koreas could exchange documents at will by unifying the keyboard and text editor. In addition, Park Yong-soo, who wrote the bibliography of the Korean language, which made the big dictionary project of the North and South Korean words, was worried that the big dictionary project between the two Koreas would have to be reexamined. “We must continue to find a way through,” he said.

In the month of the 6.25 War 70 years ago, officials from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n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ould like to see this discussion video.

1. As it is, the video presented by the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ssociation

https://youtu.be/iYVDDafFhjA

2. Lee Sang-gyu, former president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video presentation of the topic

https://www.youtube.com/watch?v=XcPHKCfAYSI

3. Choi Seong, president of the Korean Information Society, discussion video

https://www.youtube.com/watch?v=F3C7LFxrvH4

4. Discussion video of Choi Yong-gi, former director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https://www.youtube.com/watch?v=cuY8ne8XjRs

5. Concluding remarks from the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ssociation

https://www.youtube.com/watch?v=Q4_myE5W-4Q&t=82s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