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김의겸 의원 “기사형 정부광고-돈받았다’ 표시해야...상시 공개” 대표발의

김의겸 의원, 정부광고 투명성 높이고 언론 신뢰도 향상시킬 정부광고법 개정안 발의

김충열 정치전문기자 | 기사입력 2021/11/17 [11:30]

열린민주당 김의겸 의원(문화체육관광위원회)은 기사형광고와 협찬을 포함한 모든 정부광고에 광고료가 지급된 사실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정부광고가 집행된 세부내역을 공개하도록 하는 내용의 ‘정부기관 및 공공법인 등의 광고시행에 관한 법률(정부광고법)’ 개정안을 11월 17일 대표발의했다. 

 

김의겸 의원은 “한 해에 1조원이 넘는 국민 세금이 정부광고 비용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정부광고 전반이 불투명하게 운영되면서 특정 기관이 특정 매체에 광고를 몰아주거나, 정부기관과 언론이 부적절한 유착관계를 맺어 광고와 기사를 맞바꾸는 뒷거래가 법의 사각지대에서 벌어지고 있다”며, “광고시장의 혼탁함을 바로잡기 위해서라도 정부광고 영역에서부터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밝혔다.   © 김충열 정치전문기자

 

기사와 구분안되는 기사형광고...국민 기만하고 저널리즘 신뢰 헤쳐...

 

김의겸 의원은 “기사 형태를 한 광고, 즉 ‘기사형 광고’ 문제가 사회적 논란이 되고 있고 특히 기사 형태를 띠고 있음에도 그 어디에도 광고임을 표시하지 않은 채 독자를 기만하는 행태는 국민의 알권리를 훼손함과 동시에 저널리즘의 가치를 훼손해 언론에 대한 불신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정부부처와 지자체, 공공기관들이 시행하는 정부광고에서마저 기사형광고가 횡행하고 있어 제도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개정안 발의 이유를 밝혔다.

 

실제로 지난 국정감사 기간 김의겸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공공기관의 동정을 일방적으로 소개하는 기사나 기관장을 홍보하는 인터뷰가 아무런 광고 표시없이 기사의 외형을 쓰고 버젓이 신문 지면에 실린 사례가 비일비재했다. 

 

조선일보는 1개 면을 통째로 털어 국립암센터 원장의 인터뷰를 커다란 사진과 함께 실었고, 중앙일보는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의 기고문을 실었는데, 모두 해당 기관으로부터 각각 천만원씩 돈을 받고 게재한 ‘기사형 광고’였다. 

 

하지만 해당 기사가 광고라는 사실은 기사 어디에서도 알아볼 수 없다. 조선일보는 ‘공동기획’이라는 4글자를 넣었을 뿐이고, 중앙일보는 아예 아무런 표시도 하지 않았다. 현행 정부광고법에는 이를 규제할 근거가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언론들이 기사와 광고를 뒤죽박죽 제멋대로 섞어놓고는 독자를 눈속임하고 기만하는 것이다. 이를 바로잡기 위해 이번 개정안에서는 ‘모든 형태의 정부광고에는 정부광고료가 지급된 사실을 독자와 시청자, 청취자 등이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적합한 표시를 해야 한다’는 규정을 신설했다. ‘공동기획’, ‘자료제공’, ‘협찬’ 등의 애매한 표현이 아니라 해당 광고가 정부기관으로부터 돈을 받아 제작된 것임을 명확하게 표시하라는 의미다. 

 

또 현행법에 의하면 ‘언론에 협찬받은 사실을 고지’하는 경우 등은 마치 정부광고에서 제외될 수 있는 것처럼 모호하게 규정된 것을 바로잡아, 정의에서부터 ‘광고 등을 목적으로 홍보매체의 제작을 유료로 지원하는 협찬’까지 모두 정부광고에 명확하게 포함되도록 했다. 광고나 홍보를 목적으로 언론에 돈을 지급하여, 광고든 기사든 캠페인이든 프로그램이든 만들게 되면 형태에 관계없이 모두 정부광고에 해당되는 것이다. 이번 개정안에서는 기사형광고 등의 표시 규정을 위반하거나 문체부장관에게 통보하지 않고 광고를 뒷거래하는 등 불법광고를 할 경우에는 5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하여 실효성을 높였다. 

 

ABC 대신한 새로운 지표가 효과있으려면 정부광고 공개가 선행되어야...

 

무엇보다 이번 개정안은 ‘제목과 목적’, ‘금액과 기간’, ‘광고가 실린 위치’ 등 정부광고의 세부 집행내역을 인터넷을 통해 상시적으로 공개하도록 했고, 이를 매체별로나 기관별로도 그 내역을 누구든지 확인할 수 있게 만들도록 했다. 가령 A일보가 어떤 기관의 무슨 광고를 얼마나 했는지는 물론 서울시가 어떤 매체에 무슨 광고를 얼마나 했는지 확인할 수 있게 만들라는 것이다. 

 

김 의원은 “한 해에 1조원이 넘는 국민 세금이 정부광고 비용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정부광고 전반이 불투명하게 운영되면서 특정 기관이 특정 매체에 광고를 몰아주거나, 정부기관과 언론이 부적절한 유착관계를 맺어 광고와 기사를 맞바꾸는 뒷거래가 법의 사각지대에서 벌어지고 있다”며, “광고시장의 혼탁함을 바로잡기 위해서라도 정부광고 영역에서부터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이미 문체부장관은 국감에서 정부광고의 공개 필요성에 대해 전적으로 동의했고, 최근 법원에서는 언론재단이 정부광고 정보공개를 거부하는 것은 위법하다는 판결을 내리면서 정부광고 집행내역을 사전 공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 정보라고까지 판단했다”며, “ABC부수인증을 대체한 지표들이 효과를 보기 위해서라도 정부기관들이 어떤 매체에 광고를 얼마나 했는지 공개되는 게 선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의겸 의원은 “이번 정부광고법 개정안이 시행될 경우 정부광고의 투명성과 효율성이 높아짐과 동시에 정부기관등과 언론의 부적절한 유착을 근절시킬 수 있으며 언론에 대한 신뢰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국회에서 서둘러 처리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부광고법 개정안’은 김의겸·강민정·권인숙·김승남·김승원·김홍걸·민형배·서동용·설훈·안민석·유정주·윤준병·이은주·최강욱 의원 등 14명의 의원이 공동발의했다. hpf21@naver.com

 

*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에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 Below is the <Full text> of an English article translated from the above article as ‘Google Translate’.

 

 

Kim Eui-gyeom, “You have to indicate that you have received a government advertisement for a knight-type advertisement ... Make sure to disclose the details of government advertisement execution at all times”

 

Eui-gyeom Kim proposes amendments to the Government Advertising Act to increase transparency in government advertisements and improve media credibility

 

Rep. Kim Eui-gyeom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mmittee) of the Open Democratic Party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mmittee) made it clear that all government advertisements, including article-type advertisements and sponsors, were paid for advertisements, and made public the details of the execution of government advertisements. On November 17, the representative proposed the amendment to the 'Act on the Enforcement of Advertisements by Government Institutions and Public Corporations (Government Advertising Act)'.

 

Article-type advertising that is indistinguishable from articles ... deceives the public and undermines trust in journalism

 

Rep. Kim Eui-gyeom said, "The issue of advertisements in the form of articles, that is, 'article advertisements', is a social controversy, and in particular, deceiving readers without indicating that it is an advertisement anywhere in the form of an article undermines the public's right to know. At the same time, it is undermining the value of journalism and aggravating distrust of the media. He stated the reason for the amendment.

 

In fact, according to the data released by Rep. Kim Eui-gyeom during the last government audit, there were a number of cases in which articles that unilaterally introduced the sympathy of public institutions or interviews that promoted the heads of institutions were published in newspapers with the appearance of the article without any advertisements.

 

The Chosun Ilbo ran an entire page and published an interview with the director of the National Cancer Center with a large photo, and the JoongAng Ilbo published an article written by the president of the Korea Science and Creativity Foundation, all of which were published at 10 million won each. It was an article advertisement.

 

However, the fact that the article is an advertisement cannot be identified anywhere in the article. The Chosun Ilbo only put in the 4 letters of ‘joint planning’, and the JoongAng Ilbo did not indicate anything at all. There is no basis for regulating this in the current government advertising law, so the media mixes articles and advertisements in a jumbled and arbitrary way to deceive and deceive readers. To rectify this, a new regulation stipulated that ‘all forms of government advertisements must be properly marked so that readers, viewers, and listeners can clearly recognize the fact that government advertisement fees have been paid’. It means to clearly indicate that the advertisement was produced with money from a government agency, rather than vague expressions such as ‘co-planning’, ‘data provision’, or ‘sponsorship’.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law, 'notifying the media of sponsorship' is corrected vaguely as if it can be excluded from government advertisements, and from the definition, it supports the production of publicity media for the purpose of advertisements, etc. for a fee. All sponsorships were clearly included in government advertisements. If money is paid to the media for the purpose of advertising or public relations to create advertisements, articles, campaigns, or programs, regardless of the form, it is a government advertisement. This amendment increases the effectiveness of the amendment by imposing a fine of not more than 50 million won for illegal advertisements, such as violating the labeling regulations for article-type advertisements, etc.

 

For the new indicator instead of ABC to be effective, the government advertisement must be released first...

 

Above all, this amendment requires that detailed execution details of government advertisements, such as 'title and purpose', 'amount and period', and 'location of advertisements', be disclosed at all times through the Internet, to make it accessible to anyone. For example, the A-Ilbo should make it possible to check not only which advertisements for which organization and how many times, but also the amount of advertisement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placed on which mediums.

 

Rep. Kim said, "More than 1 trillion won in national tax is used for government advertisements a year, but as the overall government advertisement is operated in an opaque manner, certain agencies drive advertisements to specific media, or government agencies and the media have inappropriate relationships. The back-end transaction of exchanging advertisements and articles is taking place in the blind spot of the law,” he said.

 

“The Minister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fully agreed on the necessity of disclosing government advertisements in the National Supervisory Service, and recently the court ruled that it was illegal for the media foundation to refuse to disclose government advertisement information. “In order for the indicators that replaced the ABC supplementary certification to be effective, it should be preceded by the disclosure of how much and in what media government agencies have advertised.”

 

Rep. Kim Eui-gyeom said, "If this amendment to the Government Advertising Act is implemented, transparency and efficiency of government advertisements will increase, and at the same time, it will be possible to eradicate inappropriate adhesions between government agencies and the media, and also improve trust in the media." We expect it to be dealt with quickly.”

 

This amendment to the Government Advertising Act was jointly proposed by 14 lawmakers, including Ui-gyeom Kim, Min-jeong Kang, In-sook Kwon, Seung-nam Kim, Seung-won Kim, Hong-geol Kim, Hyung-bae Min, Dong-yong Seo, Hoon Ahn, Min-seok Ahn, Jeong-ju Yoo, Jun-byeong Yoon, Eun-ju Lee, and Kang-wook Choi. hpf21@naver.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