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美 금리인상 한국 딜레마..외국인 투자 VS 가계부채 갈림길

한경연, 선제적 금리조정보다 재정효율화 및 기업경쟁력 제고·고용확대 힘써야

문홍철 기자 | 기사입력 2021/06/07 [10:54]

 

브레이크뉴스 문홍철 기자= 미국 금리인상 시 한국이 금리를 같이 인상하지 않으면 외국인 투자자금 유입감소를, 금리를 인상하면 가계부채의 이자부담 증가를 초래하는 딜레마에 처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을 사전에 철저히 세워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7일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과 금리인상의 경제적 영향 및 시사점’을 분석한 결과, 미국의 올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4.2%다.

 

2008년 9월 5.0% 이후 13년 만에 최대치를 보인데다 IMF가 지난 4월 수정 전망한 올해 성장률도 6.4%에 달함에 따라 미국의 금리인상 시기가 앞당겨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율(전년동기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실업률, 통화량(M1) 등 경제변수로 미국의 단기국채 금리(6개월 만기 재무부 채권금리)를 설명하는 모형을 설정한 후, 미 연준의 올해 각 경제변수에 관한 전망치를 이용해 적정 단기채권 금리를 추정한 결과, 6개월 만기 미 재무부 채권의 적정금리는 2021년 1분기 금리수준인 0.07% 대비 1.37∼1.54%p 상승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경연은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리기 시작한다면, 단기국채 금리가 적정수준을 보일 때까지 인상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아울러 한경연은 미국과 한국간 금리차이(미국금리-한국금리), 원/달러 환율 예상변동률 등으로 GDP대비 외국인투자자금 순유입비율을 설명하게 하는 모형을 설정해 미국 금리인상의 영향을 추정했다.

 

추정 결과,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려 6개월물 채권금리가 2021년 1분기 대비 1.37∼1.54%p 상승했을 경우, 한국시장에서 외국인투자자금의 순유출 규모는 16~18억불에 달할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한경연은 우리나라 가계대출 금리를 한국 단기 국공채금리로 설명하게 하는 모형을 추정하고, 한국의 단기 국공채금리가 미국의 적정 금리상승 폭 만큼 오를 경우의 가계대출 이자부담 증가액을 계산했다.

 

계산 결과, 우리나라 단기 국채금리가 미국 적정 금리인상 폭(1.37∼1.54%p)만큼 상승하면 평균 가계대출 금리는 1.54∼1.73%p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금리인상에 따른 연간 가계대출 이자부담 증가액은 25조6000억원∼28조8000억원으로 추정됐다.


여기에 금융부채 있는 가구비율(2020년 57.7%,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과 전체가구 수 등을 이용하면, 금융부채 있는 가구당 이자부담은 220∼250만원 늘어나게 된다.

 

이에 대해 한경연은 미국이 금리를 인상할 경우 우리나라는 딜레마에 빠질 수 있으므로, 대응전략 마련에 총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을 따라 금리를 올리자니 막대한 가계대출 문제가 우려되고, 금리를 동결하자니 자본유출이 걱정되기 때문이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과도한 민간부채를 고려했을 때 미국보다 선제적인 금리인상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재정 효율화 및 국가채무 건전성 확보에 노력하는 한편, 기업경쟁력 제고, 고용 확대 등으로 민간의 금리인상 방어력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break9874@naver.com

 

아래는 위의 글을 구글번역이 번역한 영문의 <전문>이다. [Below is an English <Full text>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US interest rate hike Korea's dilemma... Foreign investment VS household debt crossroads

-Reporter Moon Hong-cheol

 

It has been argued that, if Korea does not raise interest rates at the same time as the US interest rate rises, it will face a dilemma of reducing the inflow of foreign investment and raising the interest rate will increase the interest burden on household debt. .


According to the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on the 7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ossibility of an interest rate hike in the US and the economic impact and implications of a rate hike', the US consumer price increase rate in April this year was 4.2% compared to the same month of the previous year.

 

It is the highest in 13 years since 5.0% in September 2008, and the IMF's revised forecast for this year in April also reached 6.4%, raising the possibility that the US interest rate hike will be delayed.


After establishing a model to explain the US short-term Treasury bond yield (the interest rate on 6-month Treasury bonds) with economic variables such as the US inflation rate (consumer price increase from the same period last year), unemployment rate, and money supply (M1)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appropriate short-term bond interest rate using forecasts on economic variables, it was analyzed that the appropriate interest rate for the six-month US Treasury bond should rise by 1.37 to 1.54 percentage points from the 0.07% level in the first quarter of 2021.


“If the US Federal Reserve starts raising the benchmark interest rate, it will raise short-term Treasury yields until they reach an appropriate level,” the Korea Economic Daily predicted.


In addition, the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estimated the impact of an increase in the US interest rate by establishing a model that explains the ratio of foreign investment funds to GDP based on the interest rate differenc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US interest rate - Korean interest rate) and the expected change i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As a result of the estimate, if the US raises the base rate and the six-month bond yield rises by 1.37 to 1.54 percentage points compared to the first quarter of 2021, the net outflow of foreign investment funds in the Korean market is expected to reach $1.6 to 1.8 billion.


In addition, the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estimated a model to explain Korea's household loan interest rate with the Korean short-term government bond interest rate, and calculated the increase in the household loan interest burden when the short-term government bond interest rate in Korea rises by the appropriate rate of increase in the US interest rate.


As a result of the calculation, it was found that when the short-term government bond yield in Korea rises as much as the appropriate rate hike in the US (1.37~1.54%p), the average household loan interest rate rises by 1.54~1.73%p. was estimated at 25.6 trillion won to 28.8 trillion won.


If we use the ratio of households with financial debt (57.7% in 2020, Statistics Korea Household Financial Welfare Survey) and the total number of households, the interest burden per household with financial debt will increase by 2.2~2.5 million won.


In response to this,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explained that if the US raises interest rates, Korea could fall into a dilemma, so it is necessary to focus on preparing a response strategy. Raising interest rates following the US raises concerns about huge household loan problems, while keeping interest rates on hold is concerned about capital outflows.


“Considering excessive private debt, it is not desirable to raise interest rates more preemptively than in the United States,” said Choo Gwang-ho, head of economic policy at the Korea Economic Daily. It is urgent to strengthen the impression defense,” he said.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