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자회견 모습 ©대자보 |
기자회견을 마치고 방송기술인연합회의 김수태 회장과 문효선 부회장, 박병완 언론노조 d-tv 특별위원장은 삭발식을 가졌다.
지난 97년 주무부서인 정통부주관으로 선정된 디지털tv 전송방식은 2000년 7월부터 미국방송협회(nab)의 기술 개선 요구로 3년 동안의 연구 끝에 개선된 방식(e-vsb)이 이동수신 실현과 수신율불량 제고 등 기존의 문제점을 일부 개선하는 선에서 제시됐다.
그러자 방송사 노조 등이 3년여에 걸쳐 전송방식변경을 요구하면서 소비자단체를 중심으로 한 시민사회단체가 'dtv 소비자운동'을 결성하는 등 관심이 커지고 있다.
또 정통부가 추진중인 미국식 전송방식에 반대하면서 유럽식으로 방식 변경을 주장해왔던 mbc에 이어 kbs가 정연주 사장 취임 이후 태스크포스팀을 구성, 백지상태에서 미국방식과 유럽방식간의 비교시험을 통해 최종 결정을 하기로 한 상태다.
그러나 언론노조와 시민사회단체들은 주무부서인 정통부가 거짓 자료를 급조하여 각종 왜곡된 정보를 유포, 합리적인 정책수행의 자세가 결여되어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결국 작년 언론노조와 dtv소비자운동이 여러차례 장관면담을 요청했으나 정통부가 이를 거절하면서 양측의 골은 갈수록 깊어지고 있다.
| |
▲삭발하고 있는 김수태 방송기술인연합 회장 ©대자보 |
정통부와 방송위가 선정한 미국식 전송방식은 이미 미국에서 기존의 전송방식을 대체할 새 전송방식을 완성했고 미국방송협회가 새 전송방식을 지지, 기존의 전송방식은 폐기처분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문제는 미국식 전송방식을 근간으로 디지털전환을 추진해 온 우리나라의 경우 값비싼 디지털방송 수신기의 처분과 보상문제, 방송사의 이중투자 등의 해결방법이다.
따라서 언론노조 등은 디지털 전환 정책을 원점에서 재검토함은 물론 전환 일정의 전면중단을 주장하고 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삭발식 등 강경투쟁을 예고하듯 신학림 언론노조위원장, 김영삼 kbs본부 위원장, 최승호 mbc본부 위원장, 김수태 방송기술인연합회장, 전국민중연대 박석운 상임집행위원장, 민주노총 유덕상 부위원장, 민언련 최민희 사무총장, 서울ymca 심상용 시민사회개발팀장, 스크린 쿼터문화연대 양기환 사무총장 등이 참석했다.
이에 앞서 지난 19일 방송사노조협의회와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 소속 회원 500여명은 19일 오후 방송회관 정문 앞에서 '디지털전화일전 중단 결의대회'를 열고 "미국식 디지털 지상파 전송방식 전환일정을 즉각 중단하라"고 방송위원회에 촉구했다. 이들 지도부는 집회가 끝난 뒤, 철야농성에 돌입했다.
[관련기사]김철관, 지상파 디지털 전환일정 중단하라 (2003. 8. 20)
다음은 김수태 방송기술인연합회장과의 인터뷰 내용이다.
▲삭발하는 모습 ©대자보
▶ 삭발식을 하기까지 투쟁하게 된 배경은.
우리가 d-tv 전송방식 변경을 얘기한 것이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제 시간이 없다. 시간은 정통부에 유리할 뿐이다. 이는 시청자들에 더 피해가 간다는 얘기다.
전송방식을 바꿔야 하는 이유는 보편적 서비스에 있다. 수신율이나 이동수신이 중요한 이유는 수신율 부분에서 지금 시청자의 70%가 케이블을 통해서 방송을 수신하지만 나머지 30%는 지상파를 직접 수신한다. 그 30%가 굉장히 영세한 사람들이 본다는 얘기다. 이동수신부분도 미래에 지상파의 역할은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tv를 시청하는 것인데 그런 부분을 정통부는 망각하고 있다.
▶ 이미 d-tv가 200만대 이상 나갔고 셋톱박스도 12만대 팔렸는데.
셋톱박스가 많이 팔린 것은 아니다. 돈으로 환산해도 400억도 채 안된다. 방식만 결정되면 그 부분의 보상이나 리콜 문제는 검토해 볼 수 있다.
▶ 정통부의 자료가 잘못 나오고 있다는 얘기가 나오는데.
우리 인터넷사이트에 정통부 자료에 대한 반박성명을 많이 냈다. 정통부의 자료는 신뢰할 수가 없다. 지금 나오는 자료 전부가 정통부 산하의 단체에서 나온 자료다.
▶ 방송현업인과 정통부, 방송위원회간에 왜 사전조율이 안되었나.
▲본지 기자와 인터뷰 중인 김수태 방송기술인연합회장 ©대자보
정통부는 정통부가 하는 권한이 있지만 방송위원회의 권한은 방송일정을 조정하는 것이다. 전송방식을 변경해야 하는 것은 정통부와 싸워야 할 부분이다. 그러나 그 전에 지금 이대로 진행하면 시청자에게 피해가 많이 가기 때문에 방송위원회에서 전환일정을 중단하고 재검토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송방식이 갈수록 확대되면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이 온다. 재검토가 끝날때까지는 전환일정을 잠정적으로 중단해야 한다. 원칙적으로 디지털전환에는 찬성하지만 미국방식으로는 안된다. 이는 방송위원회에서 할 수 있는 권한이라고 보고 전송방식 변경에 대한 새로운 도화선이 될 수도 있다고 본다.
▶ 앞으로의 결의나 투쟁방향에 대해.
우리 나름대로 검토하고 많은 자료를 봤지만 미국방식은 애초 설계부터 잘못됐다. 지금 정통부는 터무니없는 얘기로 국민을 호도하고 있다. 우리는 방식이 변경될 때까지 투쟁수위를 높여갈 것이다. 철야농성은 기초적 단계다. 지금 전국방송사노조협의회에서 총파업도 결의가 돼있고 비대위로 전환돼 있다. 대통령이 선거 때 가장 방송을 잘 아는 방송현업자들의 의견을 존중한다고 했다. 정책적 차원에서 결단을 내릴 것이라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