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자회견 모습 ©대자보 |
이날 기자회견이 끝나고 철야농성을 사흘 째 벌이고 있는 언론노조 박병완 dtv특위위원장, 한국기술인연합회 김수태 회장, 한국기술인연합회 문효선 부회장 등 3인의 대표자들은 '디지털 일정 중단과 지상파 전송방식 변경'을 외치며 삭발로 의지를 표현했다.
이날 시민사회대표자들은 "미국방송협회가 새전송방식을 지지하는 결의문을 채택하면서 기존의 전송방식은 폐기처분 될 것이 확실해지고 있다"며 "새 전송방식도 수신불량을 약간 개선했을 뿐 이동수신은 여전히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들은 "디지털 전환이 몇 년도 되지 않아 혼선을 빚고 있는 책임은 정통부에 있다"며 "제반사항을 고려할 때 디지털 전환은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방송위원회에 촉구했다.
이날 언론노조 신학림 위원장은 "디지털 지상파 미국 전송방식은 유럽방식에 비해 기술적 측면에서 치명적인 결점이 있다"며 "정통부의 명백한 거짓말이 수용자인 국민을 우롱하고 있고, 거짓말 때문에 궁극적으로 시청자인 국민이 피해를 입고 있다"고 dtv전송방식 변경 투쟁의 정당성을 피력했다.
| |
▲삭발식 모습 ©대자보 |
방송기술인연합회 김수태 회장은 "방송위는 디지털 일정 중단이 아니라 방식변경을 해야 한다"며 "가열찬 투쟁으로 반드시 방식 변경을 이뤄내겠다"고 밝혔다.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최민희 사무총장은 "미국도 변경할 조짐을 보이고 있는 미국방식을 우리 정통부가 고집을 부리고 있다"며 "정통부의 논리가 이해가 안 간다"고 주장했다.
민주노총 유덕상 부위원장은 "민주노총도 이 문제에 대해 지지를 보낸다"며 "우리도 시민사회단체와 언론노조 투쟁에 적극 동참하겠다"고 밝혔다.
ymca 심상용 시민사회개발팀장은 "dtv전송방식 문제는 국민적 피해와 국가적 피해가 큰 사안이기 때문에 조속히 결정 되야 할 문제"라며 "kbs 경영진의 합리적 선택과 방송위의 정책 결정이 올바르게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스크린쿼터 문화연대 양기환 사무처장은 "전송방식 변경은 참여정부의 5년을 가름할 리트머스 시험지 같은 중요한 문제"라며 "참여정부의 결단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언론노조 mbc지부 최승호 위원장은 "노무현 대통령이 후보 때 얘기한 방송현업인들의 의견을 존중하겠다는 약속을 지켜야 한다"며 "노성대 방송위원장도 mbc사장 때 시작된 이 문제에 대해 소신을 굽히지 말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 |
▲농성중인 모습 ©대자보 |
이들은 dtv방식변경을 위한 향후 투쟁에 대해 △국익과 시청자권익, 방송의 미래를 위해 자기 희생적 투쟁을 할 수밖에 없다 △지금까지의 성명서, 토론회, 설명회, 시위 농성 등 합법적 방식을 한 단계 넘어 총파업을 포함한 전면투쟁도 불사한다고 밝혔다.
언론노조 김광범 정책실장 사회로 진행된 기자회견이 끝나고 언론노조와 기술인엽합회는 'dtv방식변경에 강한 의지를 다짐하는 삭발식'에 이어 철야농성 3일째를 이어갔다.
이날 시청자권익을 지키기 위한 '디지털전송방식 변경 및 일정중단 기자회견(삭발식)'에 참여한 단체는 30여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디지털tv 소비자운동을 비롯해 민중연대, 민주노총, 민언련, 스크린쿼터문화연대,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프로듀서연합회.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 방송사노조협의회, 바른지역언론연대 등이다.
[디지털방송 일정중단 및 전송방식 변경촉구를 위한 범시민단체 기자회견 자료]
지난 97년 말 정통부가 지상파 디지털 전송방식을 미국식으로 졸속 결정한 이후 언론노조와 방송노조협의회 및 시민사회가 방식 재검토를 요구해왔습니다. 미국방식은 이동수신이 불가능함은 물론 우리나라의 지형상 발생하는 난시청문제를 전혀 해소할 수 없다는 근본적인 결함을 갖고있습니다. 미국식의 취약함은 dtv 전송방식으로 미국식을 채택한 나라가 극소수에 그쳤다는 사실에서도 적나라하게 드러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식을 채택했던 대만과 싱가폴이 비교실험 후 유럽식으로 dtv 방식을 변경했으며 더 심각한 점은 미국에서조차 자신들의 방식을 변경하려는 점입니다. 지난 6월 11일 미국의 방송협회가 기존의 '8-vsb' 대신 새로운 전송방식(e-vsb)을 지지키로 결의해 사실상 미국에서조차 '미국식 디지털전송방식'을 포기한 상황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통부는 미국에서조차 외면하는 전송방식을 고집하고 있음은 물론 이러한 낙후된 방식을 통해 국가 경제의 원동력으로 삼겠다는 허황된 보고를 내놓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디지털 전송방식과 관련하여 시청자의 권익을 대변해야 할 방송위원회는 정통부의 일방적이고 불합리한 일정에 문제 제기를 하지 못하여 궁극적으로는 디지털방송 수신기 및 셋톱박스를 구입한 시청자들이 피해를 보고 있습니다.
이에 언론노조와 현업단체 그리고 시민단체가 모여서 시청자의 권익을 지키기 위한 디지털전송방식 변경 및 일정중단을 요구하는 기자회견 및 삭발식을 하기로 했습니다. 많은 사회 단체의 참여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