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소련 붕괴 후, 러시아 연방과 독립국가연합의 시작

정길선 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25/01/09 [15:00]

▲ 정길선 박사     ©브레이크뉴스

현재 블라디미르 푸틴은 90년대의 암흑기의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구소련권 및 해외 러시아계 위주로 이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재산업화를 추진하는 중이며, 인구 증가를 통해 내수 시장을 확충하고자 소련권에 속해 있었던 국가들과의 연합을 적극 추진하는 중에 있다. 이러한 경우 이민자가 비(非) 러시아계여서 러시아어를 못할 수 있지만, 그 가족들 중 누군가는 소련 시대 교육을 통해 러시아어를 할 줄 알고, 반세기 전까지만 해도 같은 나라였기 때문에 러시아에 친척을 둔 자들이 많으며 사고방식이나 문화가 서로 통하기 때문에 북미나 유럽의 이민을 수용하는 것보다 부작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때로는 무력 개입도 주저하지 않고 있다. 이런 이민 수용은 러시아 이 외에도 소련을 구성하던 공화국들의 해체 이후 상황이 각자가 달라지면서 조금씩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들 구소련 국가들 중, 사정이 가장 나은 지역은 발트 3국(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로 1990년대 초중반에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받으면서 그렇지 않아도 적은 인구가 매우 급감하고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한동안 국가의 존립이 위태로운 상황에 처해 있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트 3국은 소련 시절에도 산업 발달이 가장 잘 이루어진 지역이었던데다 기존 산업 발달로 인해 쌓아 놓은 수익들과 경제 구조들이 존재했다. 게다가 서방과 매우가까운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비교적 빠르게 탈 소련화에 성공할 수 있었다. 정치적으로도 친(親) 서구적인 외교 노선으로 탈바꿈하여 유럽연합(EU), NATO에 가입하게 되면서 이들 국가들로부터 안보를 보장받게 된다. 그리고 반러 국가의 대표 주자들로 나서며 러시아와 계속하는 대립하는 모양새를 갖추게 되었다. 다만 인구가 300만도 안 되는 소국들이었기 때문에 국민 소득을 상대적으로 빠르게 상승될 수 있다는 부분을 감안해야 하고, 이들에게 있어 인구 부족과 저출산, 그로 인한 고령화 및 인구 감소 문제는 완전히 해결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중앙아시아의 경우 국가마다 차이가 나는데, 사실 이 차이라는 부분은 천연 자원이 얼마나 있는지의 여부에 따른 것이다. 중앙아시아 5개국 모두 체제 전환 초기에는 극심한 혼란과 경기 침체를 경험했으나, 세계적인 자원 보유국이자 인구가 많지 않은 카자흐스탄과 투르크메니스탄은 그나마 버틸 수 있는 수준을 유지했다. 물론 이러한 현상 유자는 전적으로 막대한 천연 자원이 매장된 덕분이었던 만큼, 2015년 유가 폭락을 맞아 현재는 둘 다 큰 타격을 입었다.

 

그 중 키르기스스탄과 타지키스탄은 내륙 깊숙히 존재하는 내륙국으로 인구도 많지 않으며 천연 자원도 거의 없기 때문에 현재 시점으로도 중앙아시아에서 최빈국으로 자리잡고 있다. 게다가 전망도 밝지 않은 것이 이들 젊은 노동자들이 러시아에서 노동을 하여 벌어온 돈의 40%가 국가총생산에 기여하고 있다. 게다가 근대 세계에서 내륙국이라는 지리적 특성은 산업 발전에 있어 최악의 조건에 놓여 있는 것도 중앙아시아 최빈국들의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그나마 유럽의 내륙국과 같이 해안까지의 거리가 멀지 않고 교통망이 발달되어 있으며 주변국과 협력하고 있는 상태라면 가능성이 있지만 이 중앙아시아의 내륙국가들은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중앙아시아의 경우, 제대로 된 항구까지 연결하려면 한 세기가 걸리고 교통 수준과 협력 수준도 높지 않은데다 중앙아시아의 국가들과의 사이도 그다지 좋지 않기 때문이다. 키르기스스탄과 타지키스탄 모두 러시아와 카자흐스탄에서 외국에서 일하는 자국민들의 송금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사실 이 지역은 워낙 입지 조건이 형편없기 때문에 소련 시절부터 15개 공화국 중에서 가장 개발이 되지 않은 지역이었다.

 

이는 체제의 전환으로 인해 발생된 것이라기보다 소련으로부터 독립하면서 모스크바 중앙 정부의 지원이 끊기고, 노동 이민의 이주도 제한된 것이 큰 원인이라 볼 수 있다. 타지키스탄과 키르기스스탄은 중국 서부인 위구르, 티베트 지역과 인접해 있지만 위구르나 티베트 지역이 인구가 많은 지역이 아니기 때문인 것더도 있고 산업 발전이 이루어진 지역도 아니다. 그러나 최근에 중국이 일대일로 사업을 펼치면서 키르기스스탄과 타지키스탄은 중국 자본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 중에 우즈베키스탄도 마찬가지로 내륙국이고 천연 자원은 많지만 카자흐스탄에 비해 인구가 2배 많은 편이다. 그러나 자원은 카자흐스탄보다 적기 때문에 수출보다는 자국의 수요로 채우고 있다. 하지만 인구가 약 3,000만명으로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많은데다가 소련 시기에 중앙아시아 최대 도시로 육성했던 수도 타슈켄트와 어느 정도 축적해 놓았던 산업기반도 유지되고 있는 상태였으며 내수 시장이 어느 정도 있고 노동력도 풍부하였기 때문에 1997년에는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한 이후 2000년대 초반 평균 5%, 중반 이후 8%를 넘는 고속 성장을 하고 있다. 물론 카자흐스탄을 따라 잡으려면 상당한 시간이 지나야 할 것으로 예측된다. 

 

코카서스의 경우 카스피 해 연안의 석유와 천연가스를 소유한 아제르바이잔의 소득이 그나마 괜찮은 것 같지만, 자원의 배분이 그다지 좋지 않다. 그래서 임금 수준만 놓고 보면 아르메니아, 조지아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고 있는 것이 함정이다. 참고로 코카서스 3국 모두 월 평균 임금이 4~50만원 정도에 불과한 국가들이라는데 있다. 러시아를 제외한 동유럽 3개국 또한 사정이 좋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우크라이나와 몰도바는 1인당 GDP가 1,800불 수준으로 유럽에서 최악의 최빈국으로 분류되며 이것도 1990년대 초중반에 비하면 나은 수준으로 이 전에는 두 국가 모두 1인당 GDP가 1,000불도 되지 않았다. 두 나라 모두 지하 경제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실질적인 경제력으로 본다면 경제규모가 최소 2배~3배 이상으로 뛰어오른 셈이다. 물론 이에 대한 반대급부로 언급하자면 부정부패가 매우 심하다는 얘기도 된다. 게다가 정정이 불안한 상황에서 최악이었던 경제는 갈수록 파탄으로 치닫고 있는 중이다. 

 

여기에 의외로 벨라루스는 자원이 없는데도 발트 3국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상당히 양호한 소득 수준을 보이고 있다. 게다가 이웃인 러시아가 1990년대 옐친의 급진적 경제 개혁의 부작용으로 인해 최악으로 추락하고 있는 동안 벨라루스의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은 그와 반대되는 행보를 보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lukybaby7@gmail.com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the beginning of the Russian Federation and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Columnist Jeong Gil-seon

 

Currently, Vladimir Putin is actively accepting immigrants from the former Soviet Union and overseas Russians and promoting reindustrializ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dark ages of the 1990s, and is actively promoting unions with countries that were part of the Soviet Union in order to expand the domestic market through population growth. In such cases, immigrants may not be Russian because they are non-Russian, but some of their families can speak Russian through Soviet-era education, and many of them have relatives in Russia because they were the same country until half a century ago, and their ways of thinking and culture are similar, so there are fewer side effects than accepting immigrants from North America or Europe. And for this, they do not hesitate to intervene militarily at times. This acceptance of immigrants has had a gradual effect on Russia and other republics that made up the Soviet Union as their situations have changed since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mong these former Soviet states, the Baltic states (Estonia, Latvia, and Lithuania) were the best performing. They suffered a major economic blow in the early and mid-1990s, and their already small population was rapidly decreasing, so their existence was in jeopardy for a while. However, despite this, the Baltic states were the most industrially developed regions during the Soviet era, and they had accumulated profits and economic structures due to their existing industrial development. Furthermore, they were located very close to the West, so they were able to successfully de-Sovietize relatively quickly. Politically, they transformed into pro-Western diplomatic lines, and joined the European Union (EU) and NATO, receiving security guarantees from these countries. They also emerged as leading anti-Russian states, and took on the appearance of continuing to confront Russia. However, since they are small countries with a population of less than 3 million, we must take into account that their national income can increase relatively quickly, and for them, the problems of population shortage, low birth rate, and resulting aging and population decline do not seem to have been completely resolved. In the case of Central Asia, there are differences among countries, but in fact, this difference is due to the amount of natural resources. All five Central Asian countries experienced extreme chaos and economic recession in the early stages of their regime transition, but Kazakhstan and Turkmenistan, which are world-class resource-rich countries with small populations, were able to maintain a level that they could endure. Of course, this phenomenon was entirely due to the vast reserves of natural resources, so both were hit hard by the oil price crash in 2015.

 

Among them, Kyrgyzstan and Tajikistan are landlocked countries with small populations and few natural resources, and are currently the poorest countries in Central Asia. Moreover, the outlook is not bright, as 40% of the money earned by these young workers from working in Russia contributes to the national GDP. Furthermore, the 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being a landlocked country in the modern world are the worst conditions for industrial development, which is also darkening the outlook for the poorest countries in Central Asia. If, like in Europe, the distance to the coast is not far, the transportation network is developed, and there is cooperation with neighboring countries, there is a possibility, but this is not the case for the landlocked countries of Central Asia. In the case of Central Asia, it takes a century to connect to a proper port, and the level of transportation and cooperation is not high,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countries of Central Asia is not very good. The reality is that both Kyrgyzstan and Tajikistan are absolutely dependent on remittances from their citizens working abroad in Russia and Kazakhstan. In fact, this region has been the least developed among the 15 republics since the Soviet era due to its poor location conditions. This is not because of the change in the system, but because suppor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in Moscow was cut off after independence from the Soviet Union, and the immigration of labor immigrants was restricted. Tajikistan and Kyrgyzstan are adjacent to the Uyghur and Tibet regions in western China, but this is because the Uyghur and Tibet regions are not populous areas, and they are not industrially developed areas. However, as China has recently expanded its business on a one-on-one basis, Kyrgyzstan and Tajikistan have become dependent on Chinese capital. Among them, Uzbekistan is also a landlocked country and has abundant natural resources, but its population is twice as large as Kazakhstan's. However, since its resources are less than Kazakhstan's, it fills its domestic demand rather than exporting. However, with a population of about 30 million, it is the largest in Central Asia, and the capital city of Tashkent, which was developed as the largest city in Central Asia during the Soviet era, and the industrial base that had been accumulated to some extent were maintained, and since there was a certain domestic market and an abundant labor force, it has been growing rapidly at an average of 5% in the early 2000s and over 8% since the mid-2000s after turning to positive growth in 1997. Of course, it is predicted that it will take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catch up with Kazakhstan.

 

In the case of the Caucasus, the income of Azerbaijan, which owns oil and natural gas along the Caspian Sea coast, seems to be relatively good, but the distribution of resources is not so good. Therefore, the pitfall is that in terms of wage levels alone,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from Armenia and Georgia. As a side note, all three Caucasus countries have an average monthly wage of only about 400,000 to 500,000 won. The three Eastern European countries, excluding Russia, are also not doing well. Ukraine and Moldova are classified as the poorest countries in Europe with GDP per capita of $1,800, which is better than the early and mid-1990s, when both countries had GDP per capita of less than $1,000. Since both countries have a large underground economy, their economic scale has jumped by at least two to three times in terms of actual economic power. Of course, the downside to this is that corruption is very severe. Furthermore, the economy, which was at its worst due to political instability, is increasingly heading towards collapse.

 

Surprisingly, Belarus, despite its lack of resources, has a fairly good income level, although not to the level of the Baltic countries. Furthermore, while neighboring Russia was falling to its worst due to the side effects of Yeltsin's radical economic reforms in the 1990s, Belarusian President Alexander Lukashenko is taking the opposite approach.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