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뉴스 문홍철 기자= 국토교통부는 2024년 해외건설 수주실적을 집계한 결과, 371억1000만 달러를 수주하며, 누적 수주금액 1조 달러(1조9억 달러)를 달성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성과는 반도체·자동차에 이어 수출·수주분야에서 세 번째로 1조 달러를 달성한 것으로, 1965년 11월 태국 파타니-나라티왓 고속도로 공사에 우리기업(현대건설)이 최초로 진출한 이후 59년 만에 달성한 쾌거이다.
먼저, 수주국가 누적 순위를 살펴보면 △사우디아라비아(17.7%) △UAE(8.4%) △쿠웨이트(4.9%) △싱가포르(4.8%) △베트남(4.8%) 순으로 중동 및 아시아 지역이 강세를 보였다.
최근 3년(2022~2024) 기준으로는 △사우디아라비아(24.5%) △미국(16.9%) △카타르(6.4%) △인도네시아(4.8%) △헝가리(3.6%) 순으로 북미와 유럽 지역으로도 다변화됐다.
기업별 누적 순위는 △현대건설(14.5%) △삼성물산(9.2%) △삼성E&A(9.0%) △현대ENG(7.3%) △GS건설(7.1%) 순이고, 최근 3년(2022~2024) 기준으로는 △삼성E&A(17.9%) △삼성물산(17.2%) △현대ENG(15.6%) △현대건설(9.2%) △GS건설(4.8%) 순이다.
역대 수주실적 1위는 UAE 원자력 발전소(191억3000만 달러, 2009)였으며, 2위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80억3000만 달러, 2012), 3위 사우디아라비아 파딜리 가스 증설 프로그램(73억 달러, 2024), 4위 쿠웨이트 클린 퓨얼 프로젝트(72억9000만 달러, 2014), 5위 이라크 카르발라 정유공장 프로젝트(68억4000만 달러, 2014)로 나타났다.
2024년 해외건설 수주금액은 371억1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지난해 세계적인 경기 둔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중동 무력충돌 등 경제적 불확실성 속에서도 건설 외교, 민·관협력 등의 성과로 254개 해외건설 기업이 101개국에서 605건의 사업을 수주한 결과, 2021년 306억 달러, 2022년 310억 달러, 2023년 333억 달러에 이어 2024년에는 371억1000만 달러로 3년 연속 증가세(전년 대비 11.4% 증가)를 보이며, 2016년 이후 최대 수주액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중동(184억9000만 달러, 49.8%) △아시아(71억1000만 달러, 19.2%) △유럽(50억5000만 달러, 13.6%) 순이다. 국가별로는 △사우디아라비아(119억 달러, 32.1%) △카타르(47억5000만 달러, 12.8%) △미국(37억4000만 달러, 10.1%) 순이다.
공종별로는 △산업설비(243억 달러, 65.5%) △건축(52억4000만 달러, 14.1%) △용역(38억1000만 달러, 10.3%) 순이다. 사업유형별로는 도급사업은 319억4000만 달러(86.1%), 투자개발사업은 51억7000만 달러(13.9%)를 기록했다.
중동 지역 수주가 184억9000만 달러로, 전체 실적의 절반을 차지했다. 이는 2015년 이후 최대 수주액으로, 주력 시장인 중동 지역의 수주가 다시 증가하면서 ‘제2중동붐’이 본격화되고 있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 진출 이래 역대 최고 규모인 파딜리 프로젝트(73억 달러) 등 메가 프로젝트 수주를 성공하는 성과도 거뒀다.
또한, 유럽 지역에서 전년 대비 139.7% 증가한 50억5000만 달러를 수주했다. 이는 최근 유럽에서 친환경 및 신산업 분야 투자가 증가함에 따라, 우리기업도 태양광 발전, 배터리 공장 등 신(新)분야 사업 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이뤄낸 성과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최근에는 우리기업들이 해외건설 분야에서 전통적인 건설산업의 틀을 넘어 도시개발, 철도 등 새로운 성장동력을 모색중”이라며 “앞으로도 우리 기업들을 적극 지원해 K-도시 및 K-철도, 투자개발사업 등을 통한 해외건설 2조 달러 시대를 이끌어가겠다”고 말했다.
break9874@naver.com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Overseas construction cumulative orders reach $1 trillion.. Third great feat after semiconductors and automobile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nounced on the 9th that it had achieved a cumulative order amount of 1 trillion dollars (1.9 trillion dollars) by receiving orders worth 37.11 billion dollars in overseas construction orders in 2024.
This achievement is the third time in the export and order sectors to reach 1 trillion dollars, following semiconductors and automobiles, and it is a great achievement made 59 years after our company (Hyundai Engineering & Construction) first entered the Pattani-Narathiwat Expressway construction project in Thailand in November 1965.
First, looking at the cumulative order ranking of countries, the Middle East and Asia showed strength in the following order: △Saudi Arabia (17.7%) △UAE (8.4%) △Kuwait (4.9%) △Singapore (4.8%) △Vietnam (4.8%).
Based on the past 3 years (2022-2024), it has diversified to North America and Europe in the following order: Saudi Arabia (24.5%), the United States (16.9%), Qatar (6.4%), Indonesia (4.8%), and Hungary (3.6%).
The cumulative ranking by company is Hyundai Engineering & Construction (14.5%), Samsung C&T (9.2%), Samsung E&A (9.0%), Hyundai ENG (7.3%), and GS E&C (7.1%), and based on the past 3 years (2022-2024), it is Samsung E&A (17.9%), Samsung C&T (17.2%), Hyundai ENG (15.6%), Hyundai Engineering & Construction (9.2%), and GS E&C (4.8%).
The highest order performance of all time was the UAE nuclear power plant (USD 19.13 billion, 2009), followed by Iraq's Bismayah New City (USD 8.03 billion, 2012), Saudi Arabia's Fadili Gas Expansion Program (USD 7.3 billion, 2024), Kuwait's Clean Fuel Project (USD 7.29 billion, 2014), and Iraq's Karbala Refinery Project (USD 6.84 billion, 2014).
The overseas construction order amount for 2024 was calculated to be USD 37.11 billion.
Last year, despite economic uncertainties such as the global economic slowdown, the Ukraine-Russia war, and armed conflicts in the Middle East, 254 overseas construction companies won 605 projects in 101 countries as a result of construction diplomacy, public-private cooperation, etc., showing an increase for three consecutive years (11.4% increase year-on-year) from USD 30.6 billion in 2021, USD 31 billion in 2022, USD 33.3 billion in 2023, and USD 37.11 billion in 2024, recording the largest order amount since 2016.
By region, the order is △Middle East (USD 18.49 billion, 49.8%), △Asia (USD 7.11 billion, 19.2%), and △Europe (USD 5.05 billion, 13.6%). By country, it is Saudi Arabia (USD 11.9 billion, 32.1%), Qatar (USD 4.75 billion, 12.8%), and the United States (USD 3.74 billion, 10.1%).
By type of work, it is industrial facilities (USD 24.3 billion, 65.5%), construction (USD 5.24 billion, 14.1%), and services (USD 3.81 billion, 10.3%). By type of business, contracting projects recorded USD 31.94 billion (86.1%), and investment and development projects recorded USD 5.17 billion (13.9%).
Orders from the Middle East amounted to USD 18.49 billion, accounting for half of the total performance. This is the largest order amount since 2015, and the ‘second Middle East boom’ is in full swing as orders from the Middle East, the main market, are increasing again. In particular, we have successfully won mega projects such as the Fadili Project (USD 7.3 billion), the largest ever since entering Saudi Arabia.
In addition, we have won orders worth USD 5.05 billion in the European region, a 139.7% in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This is an achievement made possible by our companies actively pursuing new business areas such as solar power generation and battery factories as investment in eco-friendly and new industries has increased in Europe recently.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Park Sang-woo said, “Recently, our companies are seeking new growth engines such as urban development and railways in the overseas construction sector, going beyond the traditional construction industry framework,” and added, “We will continue to actively support our companies and lead the era of USD 2 trillion in overseas construction through K-Cities, K-Railroads, and investment and development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