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용인특례시, 농림축산 농가 폭설 피해 복구에 13억8천만원 투입

이현준기자 | 기사입력 2024/12/10 [06:48]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용인 이현준기자] 용인특례시가 농림축산 농가의 신속한 복구를 위해 시 예비비 등을 포함해 모두 13억 8000만원을 긴급 투입한다.

 

시는 지난달 27일과 28일 경기도에서 가장 많은 47.5cm의 눈이 쏟아지면서 큰 피해가 발생한 처인구 남사읍에 5억 3000만원 등 총 6개 읍·면에 시비 10억원을 차등 지원하고, 축산분야 복구 지원에 한정된 경기도비 3억 8000만원은 축사 철거나 폐사한 가축 처리비용 등으로 지급할 방침이다.

 

시 예비비는 붕괴된 농림축산 시설을 철거하는 데 필요한 장비와 인력 동원에 쓰이게 된다. 시는 각 읍·면을 통해 복구 업체와 계약한 뒤 다음 주 중 붕괴 시설물 철거를 지원할 계획이다.

 

9일 오후 2시 기준 국가재난안전관리시스템(NDMS)에 입력된 용인특례시 농림축산 분야 신고피해액은 전체(552억원)의 64%인 357억원으로 집계됐다. 나머지는 주택이나 공장, 상가의 피해액이다.

 

시가 현장 조사를 통해 확인한 피해 규모(8일 오후 5시 기준)는 1859개 농가 3393시설(총 227ha)로 집계됐다. 1694개 채소·화훼 농가의 시설하우스 2973동과 165개 축산·양어 농가의 축사·양식장 277동, 103개 버섯·조경수 농가의 임산물 시설 143동 등이 피해를 본 것으로 조사됐다.

 

이상일 시장은 “폭설 직후인 지난달 29일부터 12월 9일 현재까지 처인구 주요 피해지역 19곳을 살펴봤는데 너무도 많은 곳이 피해를 입어 참담하다”며 “개별 농가로서는 어떻게 복구해야 할지 막막할 정도인 만큼 시가 가용자원을 최대한 동원해 돕고 있으며 예비비 긴급 투입도 피해 농가에 조금이라도 도움을 드리겠다는 뜻에서 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시장은 “망연자실한 상태의 피해 농민들이 다시 일어설 힘과 용기를 갖도록 시도 어떻게든 돕겠다는 차원에서 지원하고 있는데, 정부와 국회, 여야 정치권도 폭설 피해현장의 안타까운 상황을 외면하지 말고 지원책을 신속하게 마련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지난 5일 폭설 피해지역의 신속한 복구를 지원하고 한파 등으로 인한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행정안전부에 특별재난지역을 조속히 선포해 달라고 했다.

 

이 시장은 9일부터 행정안전부 장관대행을 맡게 된 고기동 차관에게 이날 오후 전화를 걸어 용인 등 큰 피해를 입은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행정안전부가 서둘러 줄 것을 요청했고, 고 차관은 "피해규모 등을 파악하고 있는데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일에 속도를 내겠다"고 답했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면 국·도비 보조금을 50~80%까지 받을 수 있고 피해지역 주민들은 건강보험료 경감, 전기·통신료 감면 등 12개의 간접 지원을 받게 된다.

 

시 차원의 재난지원금을 신속하게 지원할 수 있으려면 국비와 도비가 먼저 결정돼야 하므로 이 시장은 행정안전부에 국비 지원액을 조속히 결정하고, 철거 비용 지원 상한선도 현행 10%에서 30%로 확대해 달라고 했다.

 

시는 지난 2일부터 폭설 피해 민원 접수와 복구자금 융자 상담 등을 위한 ‘폭설피해 상담 통합지원센터’를 시청 1층 종합민원상담창구에서 운영하고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Reporter Lee Hyeon-jun, Yongin] Yongin Special City will urgently invest a total of 1.38 billion won, including city reserve funds, to quickly restore agricultural, forestry, and livestock farms.

 

The city will provide differentiated support of 1 billion won to a total of 6 towns and counties, including 530 million won to Namsa-eup, Cheoin-gu, which suffered the most damage from 47.5 cm of snowfall on the 27th and 28th of last month, and 380 million won of Gyeonggi-do funds, which are limited to livestock restoration support, will be paid for things such as the demolition of livestock sheds and the cost of processing dead livestock.

 

The city reserve funds will be used to mobilize equipment and manpower needed to demolish collapsed agricultural, forestry, and livestock facilities. The city plans to support the demolition of collapsed facilities next week after signing a contract with a restoration company through each town and counties.

 

As of 2:00 PM on the 9th, the reported damage in the agricultural, forestry, and livestock sectors of Yongin Special City entered into the National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NDMS) was tallied at 35.7 billion won, or 64% of the total (55.2 billion won). The remainder is damage to houses, factories, and commercial buildings.

 

The scale of damage confirmed through the city's on-site investigation (as of 5:00 PM on the 8th) was tallied at 1,859 farms and 3,393 facilities (total 227 ha). It was investigated that 2,973 greenhouses of 1,694 vegetable and flower farms, 277 livestock and fish farms of 165 livestock and fish farms, and 143 forestry facilities of 103 mushroom and landscape tree farms were damaged.

 

Mayor Lee Sang-il explained, “I have inspected 19 major areas in Cheoin-gu that were hit hard by the heavy snowfall from the 29th of last month to the 9th of December, and it is devastating to see so many places damaged.” He added, “Since individual farmers are at a loss as to how to recover, the city is mobilizing all available resources to help them, and the emergency injection of reserve funds was decided in the hopes of providing even a little help to the affected farmers.”

 

Mayor Lee said, “We are providing support in the hope that the farmers who are in a state of confusion will have the strength and courage to get back on their feet, and I hope that the government,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will not ignore the unfortunate situation at the site of the heavy snowfall and will quickly come up with support measures.”

 

On the 5th, Mayor Lee requested that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quickly declare a special disaster area in order to support the rapid recovery of the areas hit by the heavy snowfall and prevent secondary damage due to cold waves, etc. This market called Vice Minister Ko Ki-dong, who will be acting as Minister of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starting on the 9th, and requested that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expedite the declaration of special disaster areas for local governments that suffered major damage, such as Yongin, and Vice Minister Ko responded, “We are assessing the extent of the damage, etc., and we will expedite the process of taking necessary measures.”

 

If designated as a special disaster area, you can receive 50-80% of national and provincial subsidies, and residents of the affected area will receive 12 indirect supports, such as reduced health insurance premiums and reduced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fees.

 

In order to quickly provide disaster relief funds at the city level, national and provincial funds must be decided first, so this market requested that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quickly decide on the amount of national subsidies and expand the ceiling for demolition cost support from the current 10% to 30%.

 

Since the 2nd, the city has been operating the ‘Heavy Snow Damage Consultation Integrated Support Center’ at the General Civil Complaint Counseling Center on the first floor of the city hall to receive complaints about heavy snow damage and provide consultations on recovery fund loans.


원본 기사 보기:브레이크뉴스 경기남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