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경기도의회, 김옥순 의원 고위험 조리 업무 로봇도입 건의

오경희기자 | 기사입력 2024/12/09 [19:47]

경기도의회 김옥순의원(더불어 민주당,비례)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수원 오경희기자]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김옥순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9일(월) 경기도교육청 예산결산특별위원회 2025년도 예산안 심사에서 ‘학교급식 튀김조리 지원실 운영사업’의 실효성을 지적하며, 학교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사항을 지원하도록 면밀히 검토할 것을 요구했다.

 

김옥순 의원은 “‘학교급식 튀김조리 지원실 운영사업’은 고위험 조리 업무를 로봇이 대신하도록 하여 급식종사자들의 업무 경감과 산업재해 예방이라는 목적은 긍정적일 수 있다”면서도 “시범운영 초기단계로 결과가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상황에서 본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과연 적절한지 의문이 든다”고 지적했다.

 

또한 “조리된 음식을 여러 학교로 배송하는 과정에서 온도 유지와 품질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을지 우려된다”며 “급식특성상 신선도가 중요한 만큼 철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이동시 보온기구를 사용하고 학교에서 한 번 더 데워 제공한다면 튀김요리의 맛과 조리법이 유지된다는 전문가 의견이 있다”고 답했다.

 

김옥순 의원은 “학교에서 튀김메뉴는 주 1~2회 정도 제공되는데, 그마저도 대부분 완제품을 활용하고 있다”며, “조리로봇 도입과 배송시스템이 현장의 수요와 필요성에 부합하는지 면밀히 살펴야 한다”고 주장했다.

 

끝으로 김옥순 의원은 “학교급식 종사자들의 열악한 근무환경 개선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나 신규사업을 도입하는 경우에는 실효성에 대한 충분한 검토와 분석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며, “교육청은 현장의견을 수렴하고 구체적인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Suwon Oh Kyung-hee Reporter] On Monday, the 9th, Gyeonggi Provincial Council Urban Environment Committee member Kim Ok-soon (Democratic Party of Korea, proportional representation) pointe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School Lunch Frying Support Lab Operation Project’ during the 2025 budget review of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Budget Settlement Special Committee, and demanded a thorough review to support what is actually needed at schools.

 

Member Kim Ok-soon said, “The ‘School Lunch Frying Support Lab Operation Project’ may have a positive purpose of reducing the workload of school lunch workers and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s by having robots replace high-risk cooking tasks,” but pointed out, “It is questionable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promote this project in the early stages of pilot operation when the results have not been sufficiently verified.”

 

She also said, “I am concerned about whether temperature maintenance and quality control can be properly implemented during the process of delivering cooked food to multiple schools,” and argued, “A thorough review is necessary as freshness is important due to the nature of school lunches.”

 

In response, an official from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responded, “There are expert opinions that if you use a warming device when moving and reheat it at school, the taste and cooking method of fried food will be maintained.”

 

Assemblywoman Kim Ok-soon said, “Fried food is provided at schools once or twice a week, and even then, most of them use finished products,” and insisted, “We need to closely examine whether the introduction of cooking robots and delivery systems meet the needs and demands of the field.”

 

Finally, Assemblywoman Kim Ok-soon emphasized, “Improving the poor working conditions of school cafeteria workers is an issue that needs to be resolved, but when introducing a new business, sufficient review and analysis of effectiveness must be supported,” and “The Office of Education should collect opinions from the field and promote it so that it provides practical help to the field based on the results of specific reviews.”

 


원본 기사 보기:브레이크뉴스 경기남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