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이천시의회, 폭설에 따른 '특별재난지역' 선포 촉구 성명서

오경희기자 | 기사입력 2024/12/09 [17:52]

이천시의회 특별재난지역 선포 촉구 성명서 발표 (사진=오경희기자)



[브레이크뉴스경기남부=이천 오경희기자] 이천시의회는 9일 오전9시30분 기자회견을 열어 이천시 폭설에 따른 이천지역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촉구했다.

 

의회대강당에서 열린 선포식은 이천시 의원이 함께한 가운데 김재국 의회운영위원장이 이천시의회를 대표하여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천시는 지난 11월 26일부터 28일까지 전국 각지에 내린 눈폭탄의 피해로 시설하우스와 축사등 농업시설과 소살공시설등 피해액이 351억 원에 달하며 이로인해 이천시민의 많은 재산 피해와 함께 지역경제까지도 심각한 위기에 처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의회는 대책수립을 위한 세가지를 촉구했다.

 

첫째, 정부는 이천지 피해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조속히 지정 선포하라 둘째, 정부는 신속한 피해 복구 지원과 피해 지역 주민들의 생활 안정을 위한 현실적인 피해 보장책을 마련하라. 셋째, 정부는 지방자치단체와 긴밀히 협력하여 재난 대응 체제 구축을 통한 지속가능한 자연재해 대게 정책을 수립하라.

 

다음은 이천시의회 '특별재난지역 선포 촉구 성명서' 전문이다.

 

지난 11월 26일부터 28일까지 경기도를 비롯한 수도권 지역을 강타한 유례없는 폭설로 이천시에 실측 적설량으로 최대 43cm에 달하는 눈폭탄이 내려 이천시 전역에 많은 상처를 남겼습니다.

 

기록적인 폭설과 수증기가 많이 포함된 습설로 인해 시설하우스와 축사, 인삼재배시설 등 농업시설 1,693건, 소상공 시설 등 기타 264건, 총 1,957건 이상의 시설이 붕괴 및 파손되었으며, 현재까지 확인된 피해액은 351억 원에 달합니다.

막대한 재산 피해와 함께 많은 시민들이 삶의 터전을 잃고 고통을 겪고 있으며, 특히 농.축산업인 등 대부분 보험에도 가입하지 않은 영세 농민과 소상공인이어서 주민의 생계가 위협받고 지역경제까지 심각한 위기에 처했 습니다 .

 

이천시는 재난안전대책본부 설치, 피해조사 및 복구에 총력 대응을 하고 있으나, 이천시의 재정 및 행정적 대응 역량을 초과하는 대규모 재난상황에 따라 추가 붕괴 등 2차 피해 발행이 우려되어 정부의 신속한 지원 없이는 피해가 장기화 될 것이 우려됩니다.

 

경기 침체의 장기화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시점에 폭설이라는 악재 속 이천시민의 일상과 안전이 위협받고 있는 가운데 이천시 자체적인 노력만 으로는 피해를 복구하고 주민들의 삶을 회복할 수 없어 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한 실정입니다.

 

이천시는 11월26일부터 28일까지 경기도를 비롯한 수도권 지역을 강타한 유례없는 폭설로 최대 43cm의 눈폭탄이 내려 이러한 재난 상황 속에서도 신속하고 효과적인 피해복구로 민관이 협력한 가능 가능한 모든 자원을 총동원하여 대처하고 있는 이천시의 노력에, 우는 이천시의희도 이천시민의 일상이 하루빨리 회복될 수 있도록 그 뜻을 함, 하며 신속한 지원 대책 수립을 위해 다음과 같이 촉구하는 바입니다.

 

첫째, 정부는 이천지 피해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조속히 지정 선포하라 둘째, 정부는 신속한 피해 복구 지원과 피해 지역 주민들의 생활 안정을 위한 현실적인 피해 보장책을 마련하라. 셋째, 정부는 지방자치단체와 긴밀히 협력하여 재난 대응 체제 구축을 통한 지속가능한 자연재해 대게 정책을 수립하라.

 

2024 12.9 이천시의회 의원 일동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reak News Gyeonggi Nambu = Icheon Oh Kyung-hee] The Icheon City Council held a press conference at 9:30 AM on the 9th and called for the declaration of the Icheon area as a 'special disaster area' due to the heavy snowfall in Icheon.

 

The declaration ceremony held in the Assembly Hall was attended by Icheon City Council members, and Assembly Operations Committee Chairman Kim Jae-guk announced a statement on behalf of the Icheon City Council.

 

Icheon City reported that the damage to agricultural facilities such as greenhouses and livestock sheds and livestock slaughter facilities due to the snow storm that fell across the country from November 26 to 28 amounted to 35.1 billion won, and that this caused significant property damage to Icheon citizens and even put the local economy in serious crisis.

 

Accordingly, the council called for three things to establish countermeasure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promptly declare the Icheon area as a 'special disaster area.'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prepare realistic damage compensation measures to provide rapid damage recovery support and stabilize the lives of residents in the affected area. Third,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 sustainable natural disaster management policy by closely cooperating with local governments to establish a disaster response system.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statement urging the declaration of a special disaster area by the Icheon City Council.

 

From November 26 to 28, the unprecedented heavy snowfall that hit the metropolitan area including Gyeonggi Province resulted in a snow bomb of up to 43cm in actual snowfall in Icheon City, leaving many scars throughout the city.

 

Due to the record-breaking heavy snowfall and wet snow containing a lot of water vapor, 1,693 agricultural facilities such as greenhouses, livestock sheds, and ginseng cultivation facilities, and 264 other facilities such as small business facilities, a total of more than 1,957 facilities collapsed or were damaged, and the damage confirmed so far amounts to 35.1 billion won.

 

Along with massive property damage, many citizens have lost their homes and are suffering, and most of them, including farmers and livestock workers, are not covered by insurance, so their livelihoods are threatened and the local economy is in serious crisis.

 

Icheon City is making all-out efforts to establish a disaster safety headquarters, investigate damage, and restore, but there are concerns that secondary damage, such as additional collapse, may occur due to a large-scale disaster situation that exceeds Icheon City's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response capabilities, and without prompt government support, the damage will be prolonged.

 

At a time when difficulties are increasing due to the prolonged economic recession, the daily lives and safety of Icheon citizens are threatened by the bad news of heavy snow, and Icheon City's own efforts alone cannot restore the damage and restore the lives of its residents, so support at the government level is urgently needed.

 

Icheon City suffered from an unprecedented snowstorm that hit the metropolitan area including Gyeonggi Province from November 26 to 28, resulting in up to 43cm of snow bombs. Despite this disaster, Icheon City is responding by mobilizing all possible resources through public-private cooperation for quick and effective damage recovery. The Icheon City Council also wishes to restore the daily lives of Icheon citizens as soon as possible, and urges the following for the establishment of rapid support measure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promptly declare the Icheon-ji disaster area a 'special disaster area'.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quickly provide damage recovery support and prepare realistic damage compensation measures for the stabilization of the lives of residents in the disaster area. Third, the government should closely cooperate with local governments to establish a sustainable natural disaster management policy by establishing a disaster response system.

 


원본 기사 보기:브레이크뉴스 경기남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