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권신수설은 흔히 제왕신권설(帝王神權說)이라고도 한다. 왕은 신으로부터 권한을 부여받은 존재라는 뜻으로 근대 이전 왕정 체제의 중요한 근거로 자리잡았다. 사실 선사 시대부터 이미 신정설(神政說)에 따라 동양과 서양을 막론하고 비슷한 주장들이 존재하고 있었으나, 17세기 영국 스튜어트 왕조 시절 청교도들과 왕권 갈등으로 많이 알려졌다. 청교도들의 왕권 제한 주장에 맞서 제임스 1세가 친히 책을 편찬하여 주장할 정도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립이 첨예했다. 특히 튜더 왕조가 단절되고 잉글랜드인이 아닌 스코틀랜드인이었던 제임스 1세의 잉글랜드-스코틀랜드 통합 왕국의 통치는 잉글랜드 내에 있어 그 정통성이 매우 미약했기 때문에 왕권을 강화시키기 위해 내세운 일종의 정치적인 쟁점에 지나지 않았다. 하지만 유럽의 왕가들은 17세기 뿐만 아니라, 왕권신수설을 근거로 하여 빈 회의의 정통 복고주의(Restoration)의 근거로 삼았고, 시민계층이 일으킨 1848년의 혁명을 제압했으며, 프랑스에서는 혁명과 보나파르트주의(Bonapartism)에 맞서 왕당파의 구심점이 되었다. 사실 20세기 군주들인 빌헬름 2세나 러시아의 니콜라이 2세조차도 왕권신수설에 심취했었다고 한다.
4세기경 기독교가 로마 제국에 허용되어 널리 퍼졌으나, 곧 로마는 4세기 후반인 395년 비잔틴 제국과 서로마 제국으로 분할되었고, 80여 년 후인 476년에 서로마 제국은 게르만족에게 멸망했다. 사실 서로마 제국이 멸망하기 이전부터 로마 제국의 국경선은 이미 이민족들에게 열려진 상태로 잡다한 민족들이 서로마 제국 내에 자리를 잡으면서 왕국을 세웠다. 이들이 현재 완전한 야만인이라고 불리는 주장은 혁파되었지만 로마 제국보다 행정 수준이 낮고 법 체계가 미비했기 때문에 국가 체제가 연속성을 갖추지 못하고 흥망성쇠와 부침이 많았다. 왕이나 부족장들은 그 중에서 세력이 크거나 명망이 있는 족장들을 선호하여 선출했고 족장들이 죽고 나면 게르만족 관습에 따라 분할 상속하여 무리들이 흩어지거나, 후계자가 통치력이 약해 멸망하거나 다른 부족으로 흡수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이민족들이 로마 경내에 거주하면서 기존 로마화된 주민들과 이민족간의 교류가 시작되었는데, 이민족들이 로마화된 문명을 받아들이며 기독교로 개종하기 시작했다. 이에 교회에서는 개종의 답례로 정통성을 보완하는 대관식이나 도유식 의식이 치뤄지는 것으로 그들의 정통성을 인정해 주었다.
프랑크 왕국의 클로비스 1세는 개종하자마자 교황으로부터의 기름 부음으로 인해 교회에서 정통성을 인정받았는데 이와 같은 전통은 프랑크 왕국의 다음 왕조인 카롤링거 왕조의 피핀도 메로빙거 왕조의 제위를 찬탈하며 교황에게 도유식을 받았고, 프랑크 왕국의 후신인 후대 왕들은 랭스에서 대주교에게 대관식을 받아야만 정통성을 인정받는 전통이 되었다. 한편 독일에서는 새로운 왕이 등극하면 카롤루스 대제의 도시인 아헨에서 쾰른 대주교에게 도유식을 치르는 것이 전통으로 자리잡고 있었고, 그와 더불어 신성로마제국의 황제는 교황이나 그의 대리인에게 대관을 받아야만 정통성을 인정받은 것이 그 일례이다. 헝가리 왕국에서도 최초로 기독교로 개종한 이슈트반 1세부터 헝가리 왕위는 성 이슈트반 왕관이며 사도왕으로 불렸으며 서유럽 프랑스의 경우 루이 9세가 시성되면서 프랑스의 왕위는 성 루이의 왕관이 되었다. 또한 테오도시우스 1세 이후의 로마 황제들이 그리스도인의 보호자로 여겨진 것도 비슷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마 제국이 무너지고 세속적인 보호를 필요로하던 교회 권력과 세속 권력의 타협으로 인해 교회와 종교의 권위를 빌려 왕권강화의 수단이 되었지만 서유럽이 안정되고 나서는 조금 다른 양상도 존재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볼 때 8세기 시절부터 등장한 비잔틴 제국의 콘스탄티누스 증여문서(Schenkung document)인 가짜 이시도르 교령집(Pseudo-Isidorian)을 근거로 교권이 속권보다 우위에 있다고 주장했다. 이 문서들은 출현 당시에조차 출처를 알 수 없었고 문헌학적으로 수준이 낮았기 때문에 당시 학자들이 보기에 의심스럽고 당연히 세속 군주들에게 인정 받지 못했지만 세속적인 권력에 공백이 생기고 교회 권력을 가지고 있는 교황권의 전성 시대가 되자 사정이 달라졌다. 교회학자들은 두 가지의 문서를 근거로 비슷한 수준의 연구 업적들을 만들며 왕의 세속 지상권(至上權)조차도 교회의 아래에 있다고 주장하자 세속군주들은 이 문서들이 조작임을 증명하고, 더불어 왕권의 고유함을 주장할 이론적 근거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른바 왕권신수설이다.
세속적인 군주들은 학자들을 동원하여 성경에서 비롯된 성직과 세속 지위의 우선 순위를 반박하였는데 모세와 아론의 경우와 구약 이스라엘 왕국 시절에도 왕이 제사장보다 높았다며 교회의 이론을 반박했다. 그리고 교회에서는 다윗 왕이 잘못했을 때는 야훼가 선지자 나단을 보내서 책망한 것처럼 왕이 잘못하거나, 특별한 일이 있으면 여전히 교회에서 왕권을 제한할 수 있다고 맞서게 된다. 16세기 종교 개혁이 일어나자 세속에 대한 교회의 권위는 재차 타격을 받게 된다. 이미 그 이전에 세속 왕국의 규모가 교회 권력을 압도하자 교황청은 15세기 세속 스페인 왕국에 레콩키스타를 명분을 세우고 1516년 프랑스 왕국에 볼로냐 화약으로 세속권을 인정하며 더불어 교회 관리권과 주교 서임권과 과세권 등을 거의 모두 양보하였는데 종교 개혁이 일어난 북유럽에서는 루터 개신교의 영향으로 세속 제후와 왕국들은 국가 교회가 되어 세속군주가 교회의 보호자가 되었다.
그런데 잉글랜드 왕국에서는 유럽의 카톨릭 국가가 아니었고 북유럽의 국가 교회화도 아닌 다른 정체성을 가진 종교 개혁 운동이 벌어지게 된다. 잉글랜드의 종교 개혁이라 할 수 있는 영국 국교회가 그러한 결과로 나타나는데 명목상으로는 로마 교회에서 독립하여 영국의 교회(Church of England)를 독립시킨 것이지만 기존 카톨릭 전통이 전반적으로 뿌리 깊게 남아있었기 때문에 헨리 8세의 잉글랜드 종교 개혁 이전과 이후 대륙의 개혁 신학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청교도들이 기존의 카톨릭 요소들의 일소를 주장했기에, 16세기부터 한 세기간 종교적이고 사상적인 갈등이 생겨난 것이다. 구체적으로 청교도들이 모범으로 보는 칼뱅주의의 본산 제네바는 공화국이었고 제네바 시는 세속 군주인 사보이 공작 아메데오 8세 겸 대립 교황 펠릭스 5세가 자신의 12세 된 아들을 제네바 주교로 임명하자 제네바 시 참사회에서 이를 거부하며 사실상 독립한 것이 시초이다. 그리고 칼뱅 사망 이후 카톨릭 교회와 세속적인 왕국의 종교 탄압에 맞서 이들의 정치관은 모든 권위가 성서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주님의 법인 성서를 어긴 왕은 폭군이며 왕이 폭군이면 하위 통치자가 퇴출시켜야 한다고 변모했기 때문이다.
이를 이어받은 장로회가 국교가 된 스코틀랜드 왕국은 왕 1명의 권력이 아니라 여러 유력자들로 권력이 분산되었고, 교회마저도 장로들이 주도하여 운영했기 때문에 스코틀랜드 출신인 제임스 1세라도 잉글랜드 교회의 주교 계서제와 중앙집권적 조직을 포기하기는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제임스 1세는 오히려 자신의 고향인 스코틀랜드까지 잉글랜드와 합쳐 중앙집권적 조직을 만들기 위해 더욱 강한 왕권을 주창하기에 이르는데 이는 칼뱅주의가 유행하는 잉글랜드의 법학자들과 대형 충돌을 일으켰다. 이들의 왕권은 주님의 법인 성경 아래에 있다며 왕에게 맞서게 된다. 이와 같은 해석은 당대의 군주들인 제임스 1세, 찰스 1세 등과의 충돌을 일으키며 특히 영국 내전으로 처형되었던 찰스 1세의 사례가 중요하다. 물론 그렇다고 찰스 1세가 단지 무조건적인 폭정으로 신민들을 억눌렀다고 보기에는 어렵다. 학계에서는 영국 내전을 두고 영국 국교회는 어떠한 형태의 개신교가 되어야 하는가? 라는 화두가 주어진다. 이러한 화두를 두고 나타난 개신교 간의 종교적 내전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저항권 개념에 큰 영향을 끼치긴 했다. 스튜어트 왕조 시절의 제임스 1세, 그의 아들 찰스 1세의 생각에 의하면 왕권은 주님이 하사하신 것으로 세속 지상권은 통치 권력의 위에서 나왔기 때문에 신민들은 왕에게 의문을 제기 할 수 없고, 왕의 행동은 누구에게도 책임지지 않고 오로지 주님에게만 책임을 진다. 따라서 제임스 1세는 어용 학자들을 동원하여 "왕은 신민들에게 어떠한 잘못을 범할 수 없다."라고 주장했다. 당시 젠트리들의 입장에서 국왕이 사실상 법 없이 자의적인 통치를 벌이고 신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마음대로 사용하겠다는 뜻으로 여겼고 스튜어트 왕조 시절 극심한 충돌을 겪게 되었으며 결국 이들의 주장은 충돌을 빚게 되어 영국 내전으로 번지게 된다.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Is the king's authority granted by God? The story of the theory of the divine right of kings, the symbol of European absolute monarchy
Columnist Jeong Gil-seon
The theory of the divine right of kings is often called the theory of the divine right of kings. It means that the king is a being granted authority by God, and it was established as an important basis for the monarchy system before the modern era. In fact, similar claims based on the theory of theocracy existed in both the East and the West since prehistoric times, but it became widely known due to the conflict between the Puritans and the royal authority during the Stuart dynasty in England in the 17th century. The conflict over this was so intense that James I personally compiled a book to argue against the Puritans' claim to limit the royal authority. In particular, since the Tudor dynasty was broken off and James I, a Scot, not an Englishman, ruled the unified kingdom of England and Scotland, its legitimacy was very weak within England, so it was nothing more than a political issue raised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However, European royal families used the divine right of kings as the basis for the restoration of the Congress of Vienna, not only in the 17th century, but also suppressed the revolution of 1848 caused by the middle class, and in France became the center of royalists against the revolution and Bonapartism. In fact, it is said that even 20th century monarchs such as Wilhelm II and Nicholas II of Russia were fascinated by the divine right of kings.
Christianity was accepted and spread widely in the Roman Empire around the 4th century, but soon Rome was divided into the Byzantine Empire and the Western Roman Empire in the latter half of the 4th century in 395, and the Western Roman Empire fell to the Germanic peoples about 80 years later in 476. In fact, even before the fall of the Western Roman Empire, the borders of the Roman Empire were already open to foreign peoples, and various peoples settled within the Western Roman Empire and established kingdoms. The claim that they were now complete barbarians has been dispelled, but because their administrative level was lower than that of the Roman Empire and their legal system was inadequate, their national system did not have continuity and there were many ups and downs. Kings and tribal chieftains were elected by preferring those with great power or prestige, and when the chieftains died, they often divided their inheritance according to Germanic customs, and the tribes were scattered, or their successors were weak in governing power and fell, or were absorbed into other tribes. In particular, as the foreign peoples settled within the Roman territory, exchanges between the existing Romanized residents and the foreign peoples began, and the foreign peoples began to accept the Romanized civilization and convert to Christianity. In response, the church recognized their legitimacy by performing coronation and anointing ceremonies to supplement their legitimacy in return for their conversion. Clovis I of the Frankish kingdom was anointed by the Pope as soon as he converted, and was recognized as legitimate by the church. This tradition continued when Pepin of the Carolingian dynasty, the next dynasty of the Frankish kingdom, usurped the throne of the Merovingian dynasty and was anointed by the Pope. Later kings of the Frankish kingdom had to be crowned by the Archbishop of Rheims to be recognized as legitimate. In Germany, it was a tradition for a new king to be anointed by the Archbishop of Cologne in Aachen, the city of Charlemagne, when he ascended the throne. In addition, the emperors of the Holy Roman Empire had to be crowned by the Pope or his representative to be recognized as legitimate. In the Kingdom of Hungary, the Hungarian throne was called the Crown of St. Stephen and the Apostle King from the time of Stephen I, the first convert to Christianity. In Western Europe, when Louis IX was canonized, the French throne became the Crown of St. Louis. It can also be said that the Roman emperors after Theodosius I were considered as protectors of Christians.
In this way, as the Roman Empire collapsed and the compromise between the church power and the secular power that needed secular protection became a means of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by borrowing the authority of the church and religion, there was a slightly different aspect after Western Europe became stable. Specifically, it was argued that the church power was superior to the secular power based on the Pseudo-Isidorian, a document of Constantine's donation (Schenkung document) of the Byzantine Empire that appeared in the 8th century. Even when these documents appeared, their sources were unknown and their philological level was low, so scholars at the time viewed them as suspicious and naturally they were not recognized by secular monarchs, but when a vacuum in secular power arose and the papacy with church power reached its peak, things changed. When church scholars made similar research achievements based on two documents and claimed that even the king's secular supremacy was below the church, secular monarchs needed to prove that these documents were forged and also needed a theoretical basis to claim the uniqueness of royal authority. This was the so-called divine right of kings.
Secular monarchs mobilized scholars to refute the priority of the clergy and secular positions derived from the Bible, and refuted the church's theory by saying that in the case of Moses and Aaron and during the Old Testament kingdom of Israel, the king was higher than the priest. And the church countered that, just as Yahweh sent the prophet Nathan to rebuke King David when he did wrong, the church could still limit the king's authority when the king did wrong or when there was something special. When the Reformation occurred in the 16th century, the authority of the church over the secular world was struck again. Even before that, when the size of the secular kingdom overwhelmed the power of the church, the Vatican used the pretext of the Reconquista in the secular kingdom of Spain in the 15th century, and in 1516, the kingdom of France recognized secular power through the Peace of Bologna, and also ceded almost all of the church management rights, the right to invest bishops, and the right to tax. In Northern Europe, where the Reformation took place, secular princes and kingdoms became state churches under the influence of Lutheran Protestantism, and the secular monarch became the protector of the church. However, in the kingdom of England, which was not a European Catholic state and was not a state church of Northern Europe, a religious reform movement with a different identity took place. The Church of England, which can be called the English Reformation, emerged as a result. Although it was nominally independent from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made the Church of England independent, the existing Catholic tradition remained deeply rooted overall, so the Puritans who actively accepted the continental reform theology before and after the English Reformation of Henry VIII insisted on the elimination of existing Catholic elements, and religious and ideological conflicts arose for a century from the 16th century. Specifically, Geneva, the home of Calvinism that the Puritans looked up to as an example, was a republic, and the city of Geneva was virtually independent when the secular monarch, Duke of Savoy Amadeus VIII and antipope Felix V, refused to appoint his 12-year-old son as bishop of Geneva, and the city council of Geneva became independent. After Calvin’s death, in response to the religious oppression of the Catholic Church and the secular kingdoms, their political views changed to the idea that all authority exists in the Bible, so a king who violates the Bible, the law of the Lord, is a tyrant, and if a king is a tyrant, he must be removed by a lower ruler.
The Kingdom of Scotland, which inherited this and whose state religion was the Presbyterian Church, had power distributed among several influential people rather than one king, and even the church was run by the elders, so it seems that even James I, who was from Scotland, found it difficult to give up the hierarchy of the Church of England and the centralized organization. James I even advocated for a stronger royal authority in order to unite his hometown of Scotland with England and create a centralized organization. This caused a major conflict with English jurists who were popular in Calvinism. They opposed the king, claiming that the royal authority was under the Bible, the law of the Lord. This interpretation caused conflict with the monarchs of the time, such as James I and Charles I, and the case of Charles I, who was executed during the English Civil War, is particularly important. Of cours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Charles I simply suppressed his subjects with unconditional tyranny. In academic circles, the English Civil War is given the question of what kind of Protestantism the Church of England should be. This question is understood as a religious civil war between Protestants.
Nevertheless, it did have a major influence on the concept of the right to resist. During the Stuart dynasty, James I and his son Charles I believed that royal authority was granted by the Lord, and that secular authority came from above the ruling power, so the subjects could not question the king, and the king's actions were accountable to no one but only to the Lord. Therefore, James I mobilized his government scholars to argue that "the king can do no wrong to his subjects." From the gentry's point of view at the time, this meant that the king would essentially rule arbitrarily without law and use the lives and property of his subjects as he pleased, and this led to severe conflicts during the Stuart dynasty, and their arguments eventually clashed, escalating into the English Civil W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