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한국의 언론계에서 한 우물을 팠다.
주간신문 업계에서 42년여 기간, 종사했다. 맨 처음엔 주간종교에 입사, 기자로 일했다. 그 후 대중 주간잡지로 유명했던 선데이서울(서울신문 발행)의 프리랜서로 1년(1980년) 여 기간 기고했다. 그 후 뉴욕 맨해튼에서 발행됐던 세계타임스(편집 부국장. 철저하게 反政府 기자로 복무함), 토요신문(편집국장), 일요서울(편집국장), 주간현대-사건의 내막(주간현대 27년 발행인-편집국장)에서 일해 왔다. 나의 주간신문 경력(42년 복무)으로 볼 때, 나는 한국 주간신문 업계의 산 증인(證人)이랄 수 있다. 실제가 그렇다.
이러한, 긴 기간 언론인-기자 생활(1973년부터 현재까지=51년 간) 중에, 가장 화려했던 전성기가 있었다.
김대중 정부 때인 지난 2001년, 정부(박지원 문화관광체육부 장관 시절)로부터 일간지 등록허가를 취득했다. 제호는 '일간 펜 그리고 자유'였다. 한국 수도 서울에 등록된 11번째 종합 일간신문(제주도까지 신문이 배달됐던 전국지)이었다.
주간신문 시장에서 잔뼈가 굵은 나는 힘을 다해 일간 전국지 '일간 펜 그리고 자유(약칭=일간 펜)를 발행했다. 국내에서는 한 번도 발행되지 않았던, 타블로이드판 일간신문(가판 전문)이었다. 이 신문은 가판 신문 판매시장에서 인기가 좋았다. 세속 말로, 하늘을 찔렀다.
발행 6개월 만에 레거시(Legacy) 매체의 판매를 앞질렀다. 이변(異變)이 일어났다. 대기업 소속의 보험회사에서 거대자금을 융자해준다는 제안이 들어올 정도였다.
호사다마(好事多魔)인지 모른다. 신문 발행 1년 6개월 쯤(2002년)에 노조(勞動組合)가 만들어져, 이렇다 할 이유가 없는 총파업을 단행했다. 불처럼 일어나던 일간 신문은 휴간으로 이어졌고, 이후 재 발간하지 못하게 됐다.
나는 지금도, 그 이유를 잘 모른다. 기득권(旣得權) 언론의 은밀한 탄압공작이 있었을 것이란, 아리송한 추론만 할 뿐이다.
뒤돌아보면, 이때, 즉 일간신문 발행 기간이 나의 찬란했던 언론인 생활이랄 수 있다. 전라도-농고-강남대학 신학과 출신이 서울에서 일간신문을 발행한다는 사실은? 실로 어마어마한 일이었다.
나는 서둘러 수습하고, 재력을 모아 인터넷신문 시장에 뛰어들었다. 지난 2002-2003년 브레이크뉴스를 인수, 인터넷 언론시장에 21년째 몸을 담았다. 이 시기는 인터넷 신문이 자리를 잡아가는 초기였다. 인터넷 신문의 국내 발흥(發興) 초기시기에, 상위매체의 자리를 확고하게 다졌다. 2024년 12월 6일 오전 현재, 뉴스 탑재건수가 총 1,049,146건에 달한다.
한국 언론사를 보면, 일제시대(일제 강점기)에 친일(親日)했거나, 박정희-전두환 군사독재 시대에 친(親) 독재했던 레거시(기득권-Legacy) 언론사들이 있다. 소위 기득권 언론사들이다.
이들 언론사들은 인력-재력 면에서 신생 언론사보다 월등한 힘을 지니고 있다. 기득권 언론들은 신생 언론사들 가운데 한 언론사가 신문 판매시장에서 인기를 얻을지라도 선의(善意)의 경쟁이 아닌, 여러 가지의 통제 방법을 동원해서 치밀하게 압박하거나, 신생 언론사가 존재할 수 없도록 견제한다.
미국 등에는 존재하지 않는 출입기자 제도(출입기자 간사제도) 등을 유지 시키면서, 신생매체 기자들의 취재를 봉쇄시키기도 한다. 지금도 정부의 각 주요 부처-모든 지자체 부처에는 군사독재 시대에 정착-운영됐던 출입기자 제도가 버젓이 운용된다.
사회학적인 이론에 따르면, 기득권(旣得權)에 변화가 일어날 때, 사회의 문화가 발전하도록 돼 있다. 한국사회가 발전 하려면, 신진세력-신흥세력이 욱일승천(旭日昇天)할 수 있어야 한다. 미국의 기업인 일론 머스크(테슬라 창업자)를 떠올린다. 그가 부럽다!
그래도 나에게는 한때나마, 찬란했던 전성기가 있었다. 그 가운데 빼놓아서는 안 되는, 곤란한 게 있다. 한국에 살아다는 게 가장 중요하다. 내가 만일 북한에 태어났다면, 반정부(反政府) 기자가 될 수 없었을 것이다. 북한에 있었다면, 그리하여 김씨 3대(김일성-김정일-김정은)를 반대하는 기사를 썼다면, 아마 지독한 감옥소로 소문난 아오지 탄광에 투옥되는 신세를 면하지 못했을 것이다. 북한에는 민간 언론사가 단 한 개도 없다.
모든 꽃에게는, 활짝 꽃을 피우는 개화기(開花期)가 있다. 모든 사람에게도 그런 시기가 있을 것이다. 이때가 나의 전성기(全盛期)였음직 하다.
대한민국 인터넷 신문 숫자, 1만개를 넘어섰다. 언론자유의 선진국이다. 대한민국, 좋은 나라다. 우리나라, 만세다! moonilsuk@naver,com
*필자/문일석. 시인. 신문사(본지) 발행인.
<사진 설명>최근 필자의 모습. 대한민국, 좋은 나라이다. 우리나라, 만세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My brilliant 'prime time'... Nationwide daily newspaper 'Daily Pen and Freedom!'
[Essay-like approach] Publishing a tabloid-style national daily newspaper... There was a time when there was a brilliant prime time!
- Moon Il-suk, publisher of the newspaper (this paper)
The author dug a well in the Korean media industry.
I worked in the weekly newspaper industry for 42 years. I first joined Weekly Religion and worked as a reporter. After that, I contributed as a freelancer for Sunday Seoul (published by Seoul Shinmun), a famous weekly magazine for the general public, for a year (1980). After that, I worked for World Times (Editorial Deputy. Served as a thorough anti-government reporter) published in Manhattan, New York, Saturday Newspaper (Editorial Director), Sunday Seoul (Editorial Director), Weekly Hyundai - Inside Story of the Incident (Weekly Hyundai 27 years, Publisher-Editorial Director). Given my career in weekly newspapers (42 years of service), I can be said to be a living witness to the Korean weekly newspaper industry. This is the reality.
During this long period of journalist-reporter life (51 years from 1973 to the present), there was a time when it was the most splendid.
In 2001, during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I obtained a daily newspaper registration permit from the government (when Park Jie-won was Minister of Culture, Tourism and Sports). The title was 'Daily Pen and Freedom.' It was the 11th general daily newspaper registered in Seoul, the capital of Korea (a national newspaper that was delivered to Jeju Island).
Having worked hard in the weekly newspaper market, I published a daily national newspaper, 'Daily Pen and Freedom (abbreviation = Daily Pen).' It was a tabloid daily newspaper (specialized in street vendors) that had never been published in Korea. This newspaper was very popular in the street vendors' newspaper sales market. In secular terms, it was sky-high.
Within six months of publication, it surpassed the sales of legacy media. An unexpected change occurred. An insurance company affiliated with a large corporation offered to lend a huge amount of money.
I wonder if it is a case of “good things come true”. About a year and six months after the newspaper was published (in 2002), a labor union was formed and a general strike was carried out for no apparent reason. The daily newspaper, which had been growing like wildfire, was suspended from publication and has not been published since.
I still do not know the reason. I can only make a vague inference that there must have been a secret suppression operation by the vested interest media.
Looking back, this time, the period of daily newspaper publication, can be called my brilliant life as a journalist. The fact that a graduate of Jeolla Province-Agricultural High School-Kangnam University’s Department of Theology was publishing a daily newspaper in Seoul? It was truly an incredible thing. I quickly gathered my resources and jumped into the internet newspaper market. I acquired Break News in 2002-2003 and have been in the internet media market for 21 years. This was the early days when internet newspapers were just starting to take hold.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rise of internet newspapers in Korea, I firmly established myself as a top media outlet. As of the morning of December 6, 2024, the total number of news articles has reached 1,049,146.
Looking at Korean media outlets, there are legacy media outlets that were pro-Japanes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r pro-dictator during the military dictatorships of Park Chung-hee and Chun Doo-hwan. These are the so-called vested media outlets.
These media outlets have far more power than new media outlets in terms of manpower and financial resources. The vested media, even if one of the new media companies gains popularity in the newspaper sales market, does not compete in good faith, but rather uses various control methods to meticulously pressure or check the existence of the new media company.
They maintain a press corps system (press corps secretary system) that does not exist in the United States and block the reporting of reporters from new media companies. Even now, the press corps system that was established and operated during the military dictatorship era is still in operation in each major government department and all local government departments.
According to sociological theory,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vested interests, the culture of society develops. In order for Korean society to develop, the new and emerging forces must be able to rise to the top. I think of Elon Musk (founder of Tesla), an American businessman. I envy him!
Still, I had a glorious heyday at one time. Among them, there is one thing that must not be left ou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living in Korea. If I had been born in North Korea, I would not have been able to become an anti-government reporter. If I had been in North Korea and written an article opposing the three generations of the Kim family (Kim Il-sung, Kim Jong-il, and Kim Jong-un), I would have been imprisoned in the Aoji Coal Mine, which is known as a terrible prison. There is not a single private media outlet in North Korea.
Every flower has a time when it blooms in full bloom. Everyone has that time too. I think that was my prime.
The number of online newspapers in South Korea has exceeded 10,000. It is an advanced country in freedom of the press. South Korea is a good country. Long live our country! moonilsuk@naver.com
*Author/Moon Il-suk. Poet. Publisher of a newspaper (this paper).
<Caption>Recent appearance of the author. South Korea is a good country. Long live our coun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