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경제의 건전화를 해치는 정치와 현행의 통화제도

이길원 경제학 박사 | 기사입력 2024/12/06 [08:19]

▲필자/ 이길원 박사.     ©브레이크뉴스

인류가 처음으로 세상에 출현할 때는 아마도 여러 동물들과 별로 다르지 않는 패턴의 삶을 보냈을 것으로 생각된다. 초기의 인류 삶이 요구하는 가장 중요한 과제는 현재 우리가 보고 있는 대부분 동물의 삶처럼 먹고 사는 경제문제가 가장 중요한 과제로 추진되었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자 인류는 다른 동물과는 달리 먹고 입고 편히 잠자는 삶의 기본적인 욕구충족이 점차 실현되어 삶의 질은 크게 발전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경제의 발전이었다. 인류가 경험한 삶의 역사는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겠지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지금까지의 삶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것은 바로 이 경제의 발전이라고 말할 수가 있다.   

 

경제는 부를 생산하는 삶의 여건으로 사람들은 애초에는 동물들과 다름없이 먹고 사는 모든 것을 혼자의 힘으로 추진하였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자 재화의 생산과 재능 및 감정은 생산하는 사람마다 그 달성하는 수준이 달라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자신에게 유리한 것을 생산해서 다른 사람들이 생산하는 재화 혹은 서비스와 교환을 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교환은 자신이 생산한 것을 상대방은 필요로 하지만 상대방이 생산한 것은 내가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면 교환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이의 해결을 위해 이루어진 것이 바로 교환의 매개물인 통화제도의 출현이었다. 이런 경제 현상의 발전으로 인류의 삶은 보다 발전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오늘의 인류는 다른 동식물과 비교하면 하늘과 땅만큼 질적인 차이가 있는 먹고 사는 생활의 발전을 하게 된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그러나 세상은 공짜가 없는 법, 경제가 발전하여 먹고 사는 문제의 기본이 성취되자 그간 이를 이룬 자유시장 경제는 점차 그 발전이 저항을 받기 시작했는데 이에 영향을 준 것이 바로 권력의 경제활동 간여이다. 이로 인하여 애초의 경제발전 현상은 변경되어 사람들은 권력의 확대를 우선시하게 되었고 그 결과 자본주의 자유 시장경제는 점차 정치인의 권력추구가 경제의 발전보다 우선적으로 고려되어 그 결과로 삶의 질은 경제가 아닌 권력에 의해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이 바로 오늘의 현실로 나타났다. 

 

권력은 그 결과로 금본위 통화제도를 금지하고 정치적 목적을 우선적으로 배려하는 명목화폐 통화제도를 출현하게 하였다. 명목화폐가 금본위 통화와 근본적으로 다른 것은 권력이 필요할 경우 언제든 그리고 얼마이든 통화를 발행하게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자유시장은 통화량이 증가하지 않아도 재화 생산의 효율성에 의해 가격이 하락하기 때문에 재화의 지속적인 생산은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데 명목화폐를 발행하는 요즘의 모든 국가는 이것과는 반대로 통화량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고 이것은 경제활동의 기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그 결과는 지속적인 물가의 상승과 부의 불평등 심화로 나타나게 되었다.  

 

다음에 제시한 그래프를 보면 2001~2023년의 22년간 우리나라의 통화량은 5.1배 증가했지만 이에 비해 물가의 상승으로 실제의 생산량보다는 더 많은 통계의 GDP 증가는 3.2배 정도이고 반면에 정부가 통화량 증가에 영향을 미친 국채의 증가는 19.6 배에 달했다. 이것은 옛날과는 달리 권력이 경제발전을 명분으로 내세워 통화량을 언제나 증가시키는 정치적 행위의 결과이다. 통화량 증가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은 물론 시중은행의 대출 증가이지만 그 근원은 정부가 발행하는 국채의 증가이다. 경제적 불황으로 국민의 세금 지불은 감소해도 정부는 지출을 줄이지 않는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국채의 증가를 통해 적용하는 통화량의 

 

▲ 이길원     ©브레이크뉴스

 

증가이다. 여당과 야당의 정치적 권력 취득을 위한 투쟁은 따라서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문제는 경제발전 보다 언제나 정치 권력의 확보가 우선적으로 추진되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라는 것이다.    

 

기업이 결정하는 피고용자의 임금 인상은 사업의 성장과 이익증가가 근본적인 목적이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정부의 관료 및 정치인, 특히 지나치게 권력을 추구하는 국회의원의 급여와 각종 지출의 증가는 경제의 발전보다 정치적 목적 달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현실로 이것은 일반이 인식하는 것보다 경제의 발전에 크게 부정적 영향을 주는 사회적 현상이다. 더불어민주당이 주장하는 지역 화폐 및 양곡관리법 정책의 실현은 경제적 타당성이 없는 반면 추구하는 정당의 지지율 증가를 가능하게 하여 경제적 타당성이 아닌 정치인들에게만 이득을 주는 결과를 낳는다.

 

분업을 통한 경제발전에 크게 기여를 했던 원래의 금본위 통화제도는 차츰 통화 발행의 증가로 그 건전성이 점차 감소하다가 1971년의 미국의 닉슨 대통령 시기에 완전히 폐기되고 이후부터는 언제든 정부의 의도에 따라 통화량이 증가하는 명목화폐의 사용이 통화제도로 정착되었다. 그동안 성장을 지속하던 경제는 이미 언급한 것처럼 이제는 자율적인 경제의 성장보다 정치적 목적 달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통화제도의 활용으로 바뀌어 그 결과 경제는 질적인 퇴화로 나타난 것이 오늘날의 현상이다. 자유로운 경제활동으로 경제적 풍요함이 삶의 행복을 증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제의 과정인데 유감스럽게도 지금은 정치 권력이 절대적으로 영향을 주어 건전한 경제의 발전은 방해를 받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andrewkwlee@naver.com

 

*필자/이길원 경제학 박사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Politics and the Current Monetary System That Harms the Soundness of the Economy

-Dr. Gilwon Lee, Economics

 

When humans first appeared in the world, they probably lived a life that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many animals. The most important task that early humans required in their lives was probably the economic problem of eating and living, just like the lives of most animals that we see today. However, as time passed, unlike other animals, humans gradually realized the basic needs of eating, wearing clothes, and sleeping comfortably, and their quality of life greatly improved. This was the development of the economy. The history of life that humans have experienced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but one thing that is clear is that the development of the economy ha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our lives up to now.

The economy is a living condition that produces wealth, and at first, people, like animals, pursued everything they needed to eat and live on their own. However, as time passed, the level of achievement of each producer in terms of production of goods, talent, and emotions varied, so people began to produce things that were relatively advantageous to themselves and exchange them for goods or services produced by others. However, exchange is not done unless the other party needs what you produce, but what the other party produces is what you need, so the emergence of the currency system, which is the medium of exchange, was created to solve this problem.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this economic phenomenon, human life has become more advanced, and as a result, today's human beings have developed a life of eating and living that is as qualitatively different as heaven and earth compared to other plants and animals.

However, there is no such thing as a free lunch in the world. As the economy developed and the basic problem of eating and living was achieved, the free market economy that had achieved this began to gradually face resistance in its development. This was influenced by the intervention of power in economic activities. As a result, the original economic development phenomenon changed, and people began to prioritize the expansion of power. As a result, the capitalist free market economy gradually prioritized the pursuit of power by politicians over economic development, and as a result, the quality of life was most greatly affected by power, not the economy, which is today's reality.

As a result, power prohibited the gold standard currency system and created a fiat currency system that prioritized political purposes.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fiat money and gold standard money is that the government issues money whenever and however much it needs. In a free market, prices fall due to the efficiency of production of goods even if the money supply does not increase, so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goods is not affected at all. However, all countries that issue fiat money these days, on the contrary, continuously increase the money supply, and since this acts as the basis of economic activity, the result is continuous price increases and deepening wealth inequality.

As shown in the graph below, the money supply in our country increased 5.1 times over the 22 years from 2001 to 2023, but the statistical GDP increase, which is more than the actual production due to the increase in prices, was about 3.2 times, while the increase in government bonds, which the government influenced the increase in the money supply, reached 19.6 times. This is the result of political actions by the government to always increase the money supply under the pretext of economic development, unlike in the past.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increase in the money supply is, of course, the increase in loans from commercial banks, but the source of this is the increase in government bonds issued by the government. Even though the people's tax payments decrease due to economic recession, the government does not reduce its spending. What makes this possible is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money applied through the increase in national bonds. The struggle between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to acquire political power therefore has a great impact on the economy, but the problem is that securing political power is always prioritized over economic development in today's reality.

The fundamental purpose of raising the wages of employees decided by companies is to increase business growth and profits. However, unfortunately, the increase in salaries and various expenditures of government officials and politicians, especially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who excessively pursue power, is a reality that prioritizes achieving political goals over economic development. This is a social phenomenon that has a greater negative impact on economic development than the general public realizes. The implementation of the local currency and grain management law policies advocated by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is not economically feasible, but rather enables an increase in the approval rating of the party that pursues it, resulting in benefits only for politicians, not for economic feasibility.

The original gold standard monetary system, which greatly contributed to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division of labor, gradually lost its soundness due to the increase in currency issuance, and was completely abolished during the Nixon presidency in 1971. Since then, the use of fiat currency, which allows the amount of currency to increase at any time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intention, has become the established monetary system. As mentioned above, the economy, which had been growing, has now changed to the use of a monetary system that prioritizes political goals over autonomous economic growth, and as a result, the economy has shown qualitative deterioration, which is the current phenomenon. It is a desirable economic process for economic abundance to increase happiness in life through free economic activity, but unfortunately, the current reality is that political power has absolute influence, hindering the development of a sound economy. andrewkwlee@naver.com

 

*Author/Gilwon Lee, Ph.D. in Economics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