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는 시민의 의견을 모아 파주의 미래 비전이 담긴 신청사를 건립하기 위해 오는 7일부터 총 세 차례에 걸쳐 ‘파주시 신청사 건립 공론화 토론회’를 개최한다.
시는 7일 열릴 첫 번째 토론회를 시작으로 8일과 14일 총 세 차례의 공개토론회를 진행해 본격적인 여론 수렴에 나선다.
조리읍 소재 영산수련원 영산홀에서 열리는 이번 토론회에는 파주시 미래를 이끌어갈 미래세대 청소년 10명을 포함하여 총 110명의 시민참여단이 참가한다.
공론화 토론회는 전문가 발제, 시민 숙의에 기반을 둔 전체 및 분임 토론, 현장답사, 질의응답 등으로 구성된다.
7일 첫 번째 공론화 토론회에서는 전문가 발제를 시작으로 공론화 목적과 과정을 이해하는 시간을 갖고, 시민이 바라는 100만 시대 파주시 미래에 대한 시민 토론이 진행된다.
8일, 2차 공론화 토론회에서는 신청사 건립을 위한 첫 단계인 평가지표에 대한 숙의토론이 진행된다.
평가지표는 신청사 건립을 위한 기준으로, 시는 ‘파주시 신청사 건립을 위한 후보지 평가모형 개발 연구’와 파주시 공론화위원회의 회의 등을 통해 5개의 평가지표를 도출했다.
5개의 평가지표는 부지 적정성, 합리적 경제성, 통합 접근성, 소통 중심성, 포용 성장성이며, 시민들은 평가지표를 학습하고 토론 및 질의응답 등 숙의 과정에 참여하게 된다.
14일, 3차 공론화 토론회에서는 후보지 현장답사와 토론이 진행된다. 시는 후보지 가운데 어느 곳이 적합한지 등을 시민들이 직접 확인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현장답사 시간을 마련했다.
이번 공론화 토론회의 가장 큰 특징은 신청사 건립의 기준이 되는 평가지표를 시민들이 숙의를 통해서 시에 권고하고, 시는 이를 향후 신청사 건립 방향에 활용한다는 것에 있다.
이는 시민들이 정책을 구상하는 단계에서부터 참여한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
시민들은 3차에 걸친 공론화 토론회에서 숙의 전과 후 그리고 현장을 답사한 이후의 평가지표 선호도를 투표하며, 이는 현장에서 공개되어 시민들이 숙의 결과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토론회 결과는 파주시민대표와 전문가로 구성된 ‘파주시 시청사 공론화 실행단’에 제출되고, 실행단은 이 결과를 ‘파주시 공론화위원회’에 제출한다.
‘파주시 공론화위원회’가 3일간의 공론화 토론회 결과와 설문조사 등 전체 결과를 포함한 권고안을 작성한 후 파주시장에 제출하면 이번 공론화가 마무리된다.
파주시는 이후 언론보도를 통해 시민들의 의견을 공개할 예정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Paju City holds three public discussion sessions on the construction of a new Paju City Hall with a vision for the future
- 110 members of the citizen participation group participate in the deliberation process… Use this to determine the future direction of the new building construction
Paju City will hold a public discussion session on the construction of a new Paju City Hall three times starting on the 7th to gather opinions from citizens and build a new Paju City Hall with a vision for the future.
Starting with the first discussion session on the 7th, the city will hold three public discussions on the 8th and 14th to begin collecting public opinion in earnest.
A total of 110 members of the citizen participation group, including 10 youths who will lead the future of Paju City, will participate in this discussion session held at Yeongsan Hall of Yeongsan Training Center in Jori-eup.
The public discussion session consists of expert presentations, general and division discussions based on citizen deliberation, field trips, Q&A, etc.
The first public discussion session on the 7th will begin with an expert presentation, followed by time to understand the purpose and process of public discussion, and a citizen discussion on the future of Paju City in the era of 1 million people that citizens desire.
On the 8th, the second public discussion session will be a deliberation discussion on the evaluation indicators, which are the first step for the construction of the new building.
The evaluation indicators are the criteria for the construction of the new building, and the city derived five evaluation indicators through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Candidate Site Evaluation Model for the Construction of the New Paju City Building’ and the Paju City Public Discussion Committee meeting.
The five evaluation indicators are site suitability, reasonable economic feasibility, integrated accessibility, communication-centeredness, and inclusive growth, and citizens will learn about the evaluation indicators and participate in the deliberation process such as discussions and Q&A.
On the 14th, the third public discussion session will be a site visit and discussion of the candidate sites. The city has set up a site visit time so that citizens can directly check and evaluate which of the candidate sites is suitable.
The most notable feature of this public discussion is that citizens deliberate on the evaluation criteria that will become the basi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new building, and the city uses these criteria in the future direction of the construction of the new building.
This is very meaningful in that citizens participate from the stage of policy planning.
Citizens vote on their evaluation criteria preferences before and after deliberation and after visiting the site in three public discussion sessions, and these are made public on site so that citizens can directly check the results of the deliberation.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are submitted to the ‘Paju City Hall Public Discussion Implementation Group’ comprised of Paju citizens’ representatives and experts, and the implementation group submits these results to the ‘Paju City Public Discussion Committee’.
The ‘Paju City Public Discussion Committee’ will submit a recommendation that includes the results of the three-day public discussion and the overall results of the survey to the Paju mayor, and this public discussion will be completed.
Paju City plans to disclose the opinions of citizens through media reports thereafter.
원본 기사 보기:고양 브레이크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