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는 서울의 광화문-서울역 인근에서 대규모 시위가 진행되는 가운데 선포된 것이어서 지속적인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예상된다. 이 반정부 시위대를 강경진압할 경우, 유혈사태를 불러올 가능성이 짙다. 서울에서 시민군이 무장 투쟁을 할 경우, 민간-군인 사망자 수는 예측불허다.
계엄군이 이미 발표한 제1호 포고령에 따라 시위대를 강경 진압할 경우, 수천-수만명의 희생자가 나올 가능성도 상존(常存)한다.
이 경우, 중국의 천안문 학살사태를 떠올릴 수 있다. 지난 1989년에 발생한 중국의 천안문 사태는 군이 민주화를 요구하는 대규모 학생과 시민 시위대를 향해 무차별 총격을 가했다, 이 시위는 1989년 6월 3일부터 4일 사이에 군대의 강경 진압으로 이어졌던 사건이다. 사망자 수에 대한 공식적인 숫자는 발표되지 않았지만, 천안문 사태를 연구해온 학자들은 이 사태 때 사망자 수가 수천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정확한 사망자 수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그 이유는 중국 정부는 이 사건에 대한 정보를 엄격히 통제해왔기 때문이다.
3일 한밤중,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함에 따라, 시민단체들의 발발 성명이 나오기 시작했다.
시민단체 경실련은 대통령 계엄선포에 대한 긴급성명을 4일 발표했다. 이 긴급성명에서 “대통령은 계엄령을 즉각 철회하라”고 호소했다. 경신련은 “계엄령은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하고, 행정권과 사법권을 계엄사령관에게 이양하는 비상조치로, 헌법상 최후의 수단으로만 허용된다. 헌법 제77조와 계엄법 제2조는 계엄 선포를 전시, 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비상사태로 제한하며, 이러한 경우에도 행정 및 사법 기능이 현저히 곤란해 국가 안녕 질서가 유지될 수 없을 때만 가능하다”면서 “이번 대통령의 계엄 선포는 검찰·법관·장관에 대한 탄핵 추진과 예산 삭감 등 국회의 민주적 통제 권한에 대한 반발로 보인다. 이는 헌법과 법률이 정한 계엄 선포의 목적과 요건에서 벗어난 것이며, 오히려 정치적 비판과 민주적 견제를 차단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특히 '종북세력' 등 선동적인 표현은 국민의 분열을 조장하고, 계엄령을 통해 집회와 결사를 억압하려는 시도로 비춰질 수 있다. 이는 헌법이 보장하는 국민의 기본권과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매우 위험한 행위”라고 지적했다.
경실련은 “대통령이 헌법과 법률에 명시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채 계엄령을 언급하는 것은 명백히 위헌적이며, 민주적 질서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위라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경실련은 대통령이 즉각 계엄령 선포를 철회하고, 국민 앞에 이 사안에 대해 책임 있는 입장을 밝힐 것”을 촉구했다.
군이 국가를 장악한 계엄이 장기화 되거나 시위가 폭동으로 번질 경우, 우려되는 유혈 사태를 방지할 혜안(慧眼)이 필요한 시점이다. moonilsuk@naver.com
*필자/문일석. 시인. 신문사(본지) 발행인.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Martial law forces, if they brutally suppress large-scale protesters, there will be ‘bloody incidents’.. “Thousands to tens of thousands of deaths expected”
Civic group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 appeals, “The president should immediately withdraw martial law”
- Moon Il-suk, publisher of the newspaper (this paper)
President Yoon Seok-yeol’s declaration of martial law was made amid large-scale protests taking place near Gwanghwamun and Seoul Station in Seoul, so continued large-scale anti-government protests are expected. If these anti-government protesters are suppressed with forc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re will be bloodshed. If the citizens’ militia engages in armed struggle in Seoul, the number of civilian and military deaths is unpredictable.
If the martial law forces suppress the protesters with force according to the first proclamation already announced, there is a constant possibility that thousands to tens of thousands of casualties will occur.
In this case, we can think of the Tiananmen Square massacre in China. The Tiananmen Square incident in China in 1989 was an incident in which the military indiscriminately shot a large number of students and citizens demanding democracy. This protest was suppressed by the military on June 3-4, 1989. Although the official number of deaths has not been released, scholars who have studied the Tiananmen Square incident estimate that the number of deaths during this incident was in the thousands. The exact number of deaths is still uncertain. This is because the Chinese government has been strictly controlling information about the incident.
As President Yoon Seok-yeol declared martial law in the middle of the night on the 3rd, civic groups began issuing statements of protest.
The civic group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 issued an emergency statement on the president's declaration of martial law on the 4th. In this emergency statement, it appealed, "The president must immediately withdraw martial law."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 stated, "Martial law is an emergency measure that restricts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and transfers administrative and judicial powers to the martial law commander, and is only permitted as a last resort under the Constitution. Article 77 of the Constitution and Article 2 of the Martial Law limit the declaration of martial law to war, incidents, or similar emergencies, and even in such cases, it is only possible when administrative and judicial functions are significantly impeded and national peace and order cannot be maintained.” The statement continued, “The president’s declaration of martial law this time appears to be a backlash against the National Assembly’s democratic control authority, such as the impeachment of prosecutors, judges, and ministers and budget cuts. This deviates from the purpose and requirements of martial law as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and laws, and can rather be interpreted as an attempt to block political criticism and democratic checks and balances. In particular, provocative expressions such as ‘pro-North Korea forces’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encourage division among the people and suppress assembly and association through martial law. This is a very dangerous act that shakes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and the foundation of democracy.” The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 pointed out, “The president’s mention of martial law without meeting the requirements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and laws is clearly unconstitutional and seriously undermines democratic order. Accordingly, 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urged the President to “immediately withdraw the declaration of martial law and reveal his responsible position on this matter to the public.”
If martial law, in which the military takes control of the country, is prolonged or the situation escalates into a riot, it is time for foresight to prevent the bloodshed that is feared. moonilsuk@naver.com
*Author/Moon Il-suk. Poet. Publisher of the newspaper (this 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