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3일 공식 방한 중인 사디르 자파로프 키르기즈공화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상호 협력·지역·국제 문제 등을 논의하고 수교 32년만에 '포괄적 동반자 관계' 수립에 합의했다.
자파로프 대통령은 2일부터 2박 3일 일정으로 방한 중이다. 키르기즈공화국 대통령 공식 방한은 지난 2013년 아탐바예프 대통령 이후 11년 만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자파로프 대통령과의 한·키르키즈 정상회담에서 양국 간 다양한 분야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 후 이같은 내용을 담은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양 정상은 '대한민국·키르기즈공화국 간 포괄적 동반자 관계 수립에 관한 공동성명'을 통해 정무·교역‧투자·개발 협력·기후·환경·에너지·공급망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 전방위적 협력을 이어가기로 했다.
또 양 정부는 외교부 간 협력 프로그램·무역투자촉진프레임워크(TIPE) MOU·이중과세방지협정 개정 의정서·에너지 분야 및 핵심 광물 협력 MOU·EDCF(대외경제협력기금) 기본 약정·기후변화 협력을 위한 기본 협정·산림 협력 MOU·정보통신기술 협력 MOU·교육 협력 MOU·공공부문 인재개발 협력 강화 MOU 등 문건을 체결했다.
키르기즈공화국은 오는 4일 한·키르기즈 투자 다이얼로그를 개최하고 한국 기업들 사업 아이템 발굴·자국 시장 진출을 지원한다.
자파로프 대통령은 한국 정부 8·15 통일독트린 및 담대한 구상에 대해 지지를 표하고 북한 완전한 비핵화가 한반도를 넘어 세계 평화·안정에 기여한다는 점을 확인한 동시에 북의 유엔헌장·안보리 결의상 의무 준수를 촉구했다. 키르기즈 측은 윤 대통령의 공식 답방을 초청 예정이다.
<대한민국·키르기즈공화국 간 포괄적 동반자 관계 수립에 관한 공동성명
윤석열 대한민국 대통령의 초청으로 사디르 자파로프 키르기즈공화국 대통령은 2024년 12월 2일부터 4일까지 대한민국을 공식 방문하였다.
윤석열 대한민국 대통령과 사디르 자파로프 키르기즈공화국 대통령(이하 양 정상)은 따뜻하고 진솔하며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한-키르기스스탄 관계 강화 및 발전을 위한 양국 간 향후 협력 방안에 대해 유익한 논의를 가졌다.
대한민국과 키르기즈공화국(이하 양측)은 외교 관계 수립 이래 지난 32년 간 다양한 분야에서 이룩해 온 양국 간 협력의 성과를 높이 평가하였으며, 다방면에서 양국 간 교류를 더욱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양측은 자유, 민주주의, 법치, 인권과 같은 공동의 가치와 원칙을 확인하고, 키르기즈공화국 대통령의 대한민국 공식 방문이 양국 관계와 지역‧국제기구 차원의 양국 간 협력에 추동력을 불어넣을 것이라는 데 확신을 표하면서, 한-키르기스스탄 정상회담에서 양국 관계를 포괄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기로 합의하였다. 이는 서로의 공동 이익에 부합하고 양국과 양 국민들의 공동 발전과 번영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지역 및 글로벌 차원의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고 강화할 것이다.
양 정상은 양국 간 포괄적 동반자 관계를 더욱 발전시켜 나가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선언하였다.
1. 양 정상은 호혜적 파트너십에 기반한 정치적 대화를 지속하고 양국 간 상호 방문 및 고위급 회담에 관한 메커니즘을 강화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양 정상은 현존하는 양국 관계 발전 및 심화의 잠재력을 완전히 활용하기 위해, 주요 양자 협력 현안들에 대해 계속해서 의견을 교환해 나가기로 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양측은 ‘외교부 간 협력 프로그램(2025-2026)’의 갱신을 환영하였으며, 양국 관계 발전과 관련된 현안 및 지역‧글로벌 차원의 상호 관심사에 대한 정책 협의를 실시해 나가기로 하였다.
2. 양측은 양국 관계를 더욱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의회 간 관계를 강화하고 의회 친선협회 간 정기적인 소통과 교류를 계속 발전시켜 나가겠다는 의지를 표명하였다.
3. 양측은 무역 및 경제 협력을 더욱 활성화하고 동 협력의 장기 지속가능성을 도모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계속해 나가기로 하였다. 이를 위해, 양 정상은 양국 협력을 효과적으로 발전시키고 향상시키는 플랫폼으로써 한-키르기스스탄 경제공동위원회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양 정상은 투자 환경을 개선하고, 협력 분야를 다변화하며, 구체 성과 달성을 위한 조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였다. 키르기스스탄측은 에너지, 관광, 교통, 농업, 수자원 및 산업 분야에서 한국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투자 프로젝트를 한국측에 제안하였다.
양 정상은 무역 및 경제와 투자 협력의 발전을 촉진할 ‘대한민국 정부와 키르기즈공화국 정부 간 이중과세방지협정 개정의정서’와 ‘무역투자촉진프레임워크(TIPF) MOU’의 서명을 환영하였다.
4. 양 정상은 키르기즈공화국이 ‘그림자’ 경제로부터 전환하는 것을 촉진할 ‘BC카드’ 및 ‘스마트로’(이상 KT 자회사)와 키르기스스탄의 ‘CJSC 인터뱅크프로세싱센터’ 간의 합작사업 출범을 환영하였다.
5. 양측은 에너지 효율, 에너지 보전, 재생에너지 및 핵심광물 공급망 등 자원과 관련된 분야에서 협력이 필요하다는 인식 하에 ‘에너지 분야 및 핵심광물 협력 양해각서(MOU)’의 서명을 환영하였다.
또한, 양 정상은 2023년 10월에 각각 서명된 대한민국 환경부와 키르기즈공화국 에너지부 간 ‘신재생에너지 협력 양해각서(MOU)’ 및 대한민국 환경부와 키르기즈공화국 천연자원생태기술감독부 간 ‘환경보호 양해각서(MOU)’를 기반으로 한 협력 강화의 중요성에 주목하였다.
6. 양 정상은 공공행정, 농업, 보건·위생 및 환경 등 분야에서 키르기즈공화국의 전략적 개발 계획을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개발협력 사업들의 성공적 이행을 환영하였다.
양측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국가 정보화 역량 강화 사업’, ‘공공기관 전기차 전환 사업’ 및 ‘농산물 가치사슬 강화 사업’의 출범 및 이행을 평가하였다.
양측은 디지털화, 지역 개발, 교육, 에너지를 포함한 여러 분야에서 개발 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기회를 모색해 나가기로 하였다.
7. 양 정상은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을 통한 다양한 분야의 개발 협력 사업을 추진하는 데 추가적인 동력을 제공할 ‘EDCF 기본 약정’의 서명을 환영하였다.
양측은 ‘국립감염병원 개선사업’이 개시된 것을 평가하였고, ‘국립병원 개선사업’, ‘도로 건설장비 공급사업’ 등 중점 사업들의 조속한 승인 및 개시를 위해 계속 노력해 나가기로 하였다.
8. 양 정상은 2023년 양국 간 직항 노선 개설 및 2024년 직항편 증편을 환영하였다. 이에 따라 양 정상은 무역, 경제, 투자, 문화 및 인적 교류 분야에서의 협력 확대를 목표로 대한민국과 키르기즈공화국 간 여객 수송 증가를 위한 공동의 노력이 중요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9. 양측은 ‘스마트팜’ 구축과 농업 분야 연구·개발을 통한 농산물 품질 향상 등을 포함하여 농업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다.
양 정상은 농산물 생산공정 개선,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을 위해 대한민국과 키르기즈공화국이 농업 분야 경험과 고급기술 교류에 관한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을 지지하였다. 양 정상은 기후변화에 강한 새로운 품종 개발, 혁신적인 토양 관리 방법 도입과 같은 공동 농업 연구 사업을 위한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을 촉구하였다.
키르기스스탄측은 농촌진흥청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PIA) 전문가들이 제공하는 자문과 교육을 통해 키르기즈공화국에 현대적인 농업 기술 및 농장 운영 방식이 도입되고 있는 것을 지지하였다. 또한, 키르기스스탄측은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PIA) 및 ‘한-아시아 농식품 기술협력 협의체(AFACI)’ 전문가들의 지원 하에 키르기즈공화국의 농산물을 대한민국 시장에 홍보하기 위한 전시회, 박람회 및 기타 행사 개최에 관심을 표명하였다.
10. 한국측은 1930년대 고려인 동포들을 따뜻하게 맞아준 키르기즈공화국 국민들에게 감사를 표명하였다. 양측은 키르기즈공화국의 사회적, 경제적 발전에 기여해 온 큰 규모의 고려인 사회가 양국 간 협력을 위한 건설적인 가교 역할을 하고 있고, 공동의 민주 가치로 이어진 양 국민 간의 문화적 친밀감과 우애를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강조하였다.
11. 양 정상은 양국 간 문화 교류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고, 이 분야에서 협력을 심화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표명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양측은 양 국민 간 상호 이해를 증진하는 문화사업, 전시회, 축제, 예술 프로젝트 등 교류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12. 양측은 자연 및 사회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재해예방 및 복구 분야에서 적극 협력해 나가기로 하였다.
13. 양 정상은 양국 국민에게 높은 수준의 보건의료 서비스를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팬데믹 등 현대 의학이 직면한 도전에 대응하고,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며, 의료 장비와 기술을 교환하기 위해 협력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하였다.
14. 양 정상은 대한민국 교육부와 키르기즈공화국 교육과학부 간 ‘교육 협력 양해각서(MOU)’의 서명을 환영하였다.
양 정상은 교육이 사회 발전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데 확신을 표명하고, 학생‧교사 교류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경험 공유를 포함한 교육 분야에서의 협력을 심화해 나가기로 하였다. 또한, 양 정상은 공동 연구 프로그램 발굴 기회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15. 양 정상은 대한민국과 키르기즈공화국 간 ‘기후변화 협력을 위한 기본협정’의 서명을 환영하였다.
양 정상은 환경 보전의 시급성을 인식하고, 환경 보호에 대한 공동의 책임을 재확인하였다. 또한, 양 정상은 환경보호를 공동의 노력과,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한 경험 및 기술 공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이니셔티브 지원 등을 추진해 나갈 준비가 되어 있다고 확인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키르기스스탄측은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녹색기후기금(GCF) 등 대한민국 소재 국제기구들이 저탄소 녹색 성장과 청정에너지로의 글로벌 전환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양측은 해당 분야에서 협력을 심화하고 다양한 사업을 이행해 나가기로 하였다.
16. 한국측은 키르기즈공화국이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의 틀 내에서 산악지역의 기후 문제 해결을 위해 제시한 이니셔티브를 높이 평가하였으며, 양측은 UNFCCC 당사국총회(COP)에서 산악지역 의제에 관한 행사에 적극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였다.
17. 양 정상은 양국의 경제 성장과 사회 발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양 국민 간 우호관계와 문화 교류를 강화하는 양국 지방 간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양 정상은 국내 발전을 촉진하고 혁신을 지원하며, 양국의 모든 주민들에게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데 있어 지방 협력이 갖는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18. 양 정상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와 키르기즈공화국 노동사회보장이민부 간 서명된 기존의 양해각서를 바탕으로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양 정상은 동 기본 각서로 인해 키르기즈공화국에서 대한민국으로의 노동 이주가 근로계약 하에 체계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양국의 상호 이익과 경제 관계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키르기스스탄측은 깊은 감사의 뜻을 표명하면서 2007년 도입된 고용허가제(EPS)의 틀 안에서 자국민의 고용을 확대하는 것에 대한 자국의 관심을 강조하였다.
19. 양 정상은 2023년 10월 19일 서명된 대한민국 경찰청과 키르기즈공화국 내무부 간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기반으로 한 협력 강화의 중요성에 주목하였다.
20. 양 정상은 여러 국제 현안에 대한 양국의 입장이 일치하거나 유사하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유엔과 여타 지역·국제기구의 틀 내에서의 협력을 비롯한 국제무대에서 양국 간 협력을 심화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양 정상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개혁에 관한 구체적인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21. 양측은 평화와 안보 유지 관련 사안에 있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중요하고 책임 있는 역할에 주목하고, 부상하는 국제 분쟁에 적시에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이사국 간의 신뢰와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22. 양 정상은 제17차 한-중앙아 협력 포럼이 2024년 11월 서울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된 것을 평가하였다. 양측은 동 포럼이 2007년 출범 이래 대한민국과 중앙아시아 국가 간 관계를 강화하고 확대하는 데 기여하는 효과적인 다자 협의체가 되었다고 강조하였다. 양측은 동 협력 포럼의 강화 및 발전을 목적으로 한국과 중앙아시아 국가들 간 양자 및 다자 사업을 촉진하기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가기로 하였다.
키르기스스탄측은 한국 최초의 중앙아시아 전략인 ‘한-중앙아시아 K 실크로드 협력 구상’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였다. 양측은 동 구상의 이행과 함께, 동 구상의 틀 내에서 2025년에 개최될 한-중앙아시아 정상회의의 준비를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하였다.
23. 양 정상은 2023년 9월 서울에서 제1차 한-중앙아시아 국회의장 회의가 성공적으로 개최되어 새로운 협력 분야를 포괄적으로 모색할 기회가 마련되었다는 데 대해 만족감을 표하였다. 양측은 동 회의의 형식을 이어 나가는 가운데, 동 회의를 정례적으로 개최함으로써 이것의 제도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였다.
24. 양 정상은 산악지역 의제에 관한 국제 협력 강화 및 효과적 이행을 위해 2023-2027년을 ‘산악지역 발전을 위한 5개년 행동의 해’로 선포한 제77차 유엔총회의 ‘지속가능한 산악 발전’ 결의 이행의 중요성에 주목하였다. 한국측은 2027년에 제2차 글로벌 산악 정상회의 (‘비슈케크+25’)를 개최하겠다는 키르기스스탄의 계획을 평가했다.
25. 양측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할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하였다. 양측은 북한이 유엔 헌장 및 관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른 의무를 준수할 것을 촉구하였다. 키르기스스탄측은 한반도에서 평화와 안정을 구축하기 위한 대한민국 정부의 노력에 대한 계속된 지지를 재확인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키르기스스탄측은 대한민국의 ‘담대한 구상’과 자유, 평화, 번영의 통일 한반도를 위한 ‘8.15 통일 독트린’을 지지하였다. 양측은 대한민국과 북한 간의 대화, 교류 및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26. 양 정상은 테러리즘과 극단주의 예방, 국제 조직범죄 대응, 사이버범죄 퇴치, 국경 통제 및 초국경 협력 확대, 그리고 불법 마약 거래 근절을 위한 노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27. 양측은 전 세계 모든 형태와 양상의 테러리즘을 강력히 규탄하였으며, 테러리즘을 특정 국가, 문화 또는 종교와 연관 짓는 것을 용납해서는 안 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28. 사디르 자파로프 키르기즈공화국 대통령은 윤석열 대한민국 대통령과 한국 국민들에게 키르기스스탄 대표단이 받은 따뜻한 환영과 환대에 대한 감사의 뜻을 표하였으며, 대한민국 대통령이 언제든 편리한 시기에 키르기즈공화국을 공식 답방할 것을 초청하였다. 윤석열 대한민국 대통령은 키르기즈공화국의 공식 방문 초청에 사의를 표하였으며, 방문 일자는 외교 채널을 통해 합의하게 될 것이다. 동 공동성명은 2024년 12월 3일 서울에서 한국어와 키르기즈어로 각 2부씩 서명되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President Yoon Seok-yeol and Japarov Summit Establish 'Korea-Kyrgyz Comprehensive Partnership'
Joint statement of the Korea-Kyrgyzstan summit announced..Established after 32 years of diplomatic relations, agreed to continue comprehensive cooperation in various fields including politics, trade, investment, development cooperation, climate, environment, energy, and supply chain
-kihong Kim reporter
President Yoon Seok-yeol held a summit with President Sadyr Japarov of the Kyrgyz Republic, who is on an official visit to Korea, on the 3rd, and discussed mutual cooperation, regional and international issues, and agreed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partnership' for the first time in 32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President Japarov is visiting Korea for two nights and three days starting on the 2nd. This is the first official visit to Korea by a Kyrgyz president in 11 years since President Atambayev in 2013.
President Yoon held a Korea-Kyrgyz summit with President Japarov at the Presidential Office in Yongsan that morning, and discussed ways to exp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various fields, and announced a joint statement containing these contents.
Through the 'Joint Statement on the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Partnership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Kyrgyz Republic,' the two leaders agreed to continue all-round cooperation in various fields, including politics, trade, investment, development cooperation, climate, environment, energy, and supply chains.
In addition, the two governments signed documents such as the Inter-Ministry Cooperation Program, Trade and Investment Promotion Framework (TIPE) MOU, Double Taxation Prevention Agreement Amendment Protocol, Energy Sector and Core Mineral Cooperation MOU, EDCF (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Framework Agreement, Climate Change Cooperation MOU, Forestry Cooperation MOU,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operation MOU, Education Cooperation MOU, and Public Sect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Reinforcement MOU.
The Kyrgyz Republic will hold the Korea-Kyrgyz Investment Dialogue on the 4th and support Korean companies in discovering business items and entering the Kyrgyz market.
President Japarov expressed support for the Korean government’s August 15 Unification Doctrine and bold plan, and confirmed that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would contribute to world peace and stability beyond the Korean Peninsula, while also urging the North to comply with its obligations under the UN Charter and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The Kyrgyz side plans to invite President Yoon for an official return visit.
<Joint Statement on the 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Partnership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Kyrgyz Republic
At the invitation of President Yoon Seok-yeol of the Republic of Korea, President Sadyr Japarov of the Kyrgyz Republic made an official visit to the Republic of Korea from December 2 to 4, 2024.
In a warm, sincere and friendly atmosphere, President Yoon Seok-yeol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President Sadyr Japarov of the Kyrgyz Republic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wo leaders) had fruitful discussions on ways for future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to strengthen and develop Korea-Kyrgyz relations.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Kyrgyz Republic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wo sides) highly evaluated the achievements of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various fields over the past 32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and confirmed the importance of further enhancing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various fields.
The two sides affirmed common values and principles such as freedom, democracy, rule of law, and human rights, and expressed confidence that the official visit of the President of the Kyrgyz Republic to the Republic of Korea would give impetus to bilateral relation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at the reg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At the Korea-Kyrgyzstan Summit, they agreed to elevate the bilateral relations to a comprehensive partnership. This will serve their common interests and contribute to the common development and prosperity of the two countries and their peoples, as well as guarantee and strengthen peace and stability at the regional and global levels.
The two leaders declared the following in order to further develop the comprehensive partner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1. The two leaders confirmed their readiness to continue political dialogue based on a mutually beneficial partnership and strengthen the mechanism for mutual visits and high-level talk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two leaders agreed to continue to exchange views on major bilateral cooperation issues in order to fully utilize the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and deepening of the existing bilateral relations. In this regard, both sides welcomed the renewal of the ‘Inter-Ministry Cooperation Program (2025-2026)’ and agreed to conduct policy consultations on current issu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bilateral relations and issues of mutual interest at the regional and global levels.
2. Both sides expressed their will to strengthen inter-parliamentary relations that will greatly contribute to further strengthening bilateral relations and to continue to develop regular communication and exchanges between parliamentary friendship associations.
3. Both sides agreed to continue joint efforts to further activate trade and economic cooperation and seek long-term sustainability of such cooperation. To this end, the two lead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Korea-Kyrgyzstan Joint Economic Committee as a platform to effectively develop and enhance bilateral cooperation.
The two leaders emphasized the need to improve the investment environment, diversify areas of cooperation, and strengthen measures to achieve specific results. The Kyrgyz side proposed investment projects to the Korean side to attract Korean investment in the fields of energy, tourism, transportation, agriculture, water resources, and industry.
The two leaders welcomed the signing of the ‘Protocol to Amend the Agreement on the Avoidance of Double Taxation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the Kyrgyz Republic’ and the ‘MOU on the Trade and Investment Facilitation Framework (TIPF)’, which will promote the development of trade, economic and investment cooperation.
4. The two leaders welcomed the launch of a joint venture between ‘BC Card’ and ‘Smartro’ (both KT subsidiaries) and ‘CJSC Interbank Processing Center’ of Kyrgyzstan, which will promote the transition of the Kyrgyz Republic from the ‘shadow’ economy.
5. The two sides welcomed the signing of the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on Cooperation in the Energy Sector and Key Minerals’, recognizing the need for cooperation in resource-related areas such as energy efficiency, energy conservation, renewable energy and key mineral supply chains. In addition, the two leaders noted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cooperation based on the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on Renewable Energy Cooperation’ between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Ministry of Energy of the Kyrgyz Republic, signed in October 2023, and the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on Environmental Protection’ between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Ecology and Technology Supervision of the Kyrgyz Republic.
6. The two leaders welcomed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various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to achieve the strategic development plan of the Kyrgyz Republic in the fields of public administration, agriculture, health and hygiene, and the environment.
The two sides evaluated the launch and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to Strengthen National Information Capacity for Digital Transformation’, the ‘Project to Convert Public Agencies to Electric Vehicles’, and the ‘Project to Strengthen Agricultural Product Value Chains’ by the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The two sides agreed to explore opportunities to expand development cooperation in various fields, including digitalization, regional development, education, and energy.
7. The two leaders welcomed the signing of the ‘EDCF Basic Agreement’, which will provide additional impetus to promote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in various fields through the 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EDCF).
The two sides evaluated the launch of the ‘National Infectious Disease Hospital Improvement Project’ and agreed to continue efforts for the prompt approval and launch of key projects such as the ‘National Hospital Improvement Project’ and the ‘Road Construction Equipment Supply Project’.
8. The two leaders welcomed the opening of direct flight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2023 and the increase in direct flights in 2024. Accordingly, the two leaders noted the importance of joint efforts to increase passenger transpor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Kyrgyz Republic, with the goal of expanding cooperation in the areas of trade, economy, investment, culture, and people-to-people exchanges.
9. The two sides agreed to strengthen cooperation in the agricultural sector,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smart farms’ and improvement of agricultural product quality through agricultural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two leaders supported the establishment of a program for the exchange of agricultural experience and advanced technologies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Kyrgyz Republic to improve agricultural production processes, productivity and quality. The two leaders urged strengthening cooperation for joint agricultural research projects, such as the development of new climate-resistant varieties and the introduction of innovative soil management methods.
The Kyrgyz side supported the introduction of modern agricultural technologies and farm management methods to the Kyrgyz Republic through advice and training provided by experts from the Overseas Agricultural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KOPIA)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 addition, the Kyrgyz side expressed interest in hosting exhibitions, fairs and other events to promote Kyrgyz agricultural products to the South Korean market with the support of experts from the Overseas Agricultural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KOPIA) and the Korea-Asia Agricultural and Food Technology Cooperation Initiative (AFACI).
10. The Korean side expressed gratitude to the people of the Kyrgyz Republic for warmly welcoming the Koryo people in the 1930s. Both sides emphasized that the large Koryo community, which has contributed to the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of the Kyrgyz Republic, serves as a constructive bridge for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contributes to strengthening the cultural intimacy and friendship between the two peoples that are connected by common democratic values.
11. The two leaders discussed the importance of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expressed their will to deepen cooperation in this area. In this context, the two side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xchanges such as cultural projects, exhibitions, festivals, and art projects that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peoples.
12. The two sides agreed to actively cooperate in the field of disaster prevention and recovery to effectively respond to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13. The two leaders reaffirmed their will to cooperate to respond to challenges faced by modern medicine, such as pandemics, share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exchange medical equipment and technology, with the goal of ensuring high-quality health care services for the people of the two countries.
14. The two leaders welcomed the signing of the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on Education Cooperation’ between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of the Kyrgyz Republic.
The two leaders expressed their conviction that education plays a key role in social development and agreed to deepen cooper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including sharing experiences on student and teacher exchanges and operating educational programs. The two leaders also discussed opportunities to explore joint research programs.
15. The two leaders welcomed the signing of the ‘Framework Agreement on Climate Change Cooperation’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Kyrgyz Republic.
The two leaders recognized the urgency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reaffirmed their shared responsibility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In addition, the two leaders confirmed their readiness to pursue joint efforts to protect the environment, sharing experiences and technologies o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upporting initiative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In this context, the Kyrgyz side noted tha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located in the Republic of Korea, such as the Global Green Growth Institute (GGGI) and the Green Climate Fund (GCF), are contributing to the global transition to low-carbon, green growth and clean energy. The two sides agreed to deepen cooperation in this area and implement various projects.
16. The Korean side highly evaluated the initiative presented by the Kyrgyz Republic to address climate issues in mountainous region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and the two sides expressed their will to actively participate in events related to the mountainous region agenda at the UNFCCC Conference of the Parties (COP).
17. The two lead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in both countries, which not only contributes to the economic growth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two countries, but also strengthens friendly relations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wo peoples. In addition, the two lead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in promoting domestic development, supporting innovation, and creating a friendly environment for all residents of the two countries.
18. The two lead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further strengthening cooperation based on the existing Memorandum of Understanding signed between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Ministry of Labor, Social Security and Immigration of the Kyrgyz Republic.
The two leaders noted that the basic memorandum has contributed to the mutual benefit and development of economic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by systematically carrying out labor migration from the Kyrgyz Republic to the Republic of Korea under labor contracts.
The Kyrgyz side expressed deep gratitude and emphasized its interest in expanding employment of its citizen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EPS) introduced in 2007.
19. The two leaders noted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cooperation based on the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on Cooperation between the National Police Agency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of the Kyrgyz Republic signed on October 19, 2023.
20. The two leaders noted that the two countries share similar or similar positions on various international issues,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eepening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on the international stage, including cooper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the United Nations and other regional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 addition, the two leaders emphasized the need for cooperation to achieve specific results regarding the reform of the UN Security Council.
21. The two sides noted the important and responsible role of the UN Security Council in matters related to maintaining peace and security, and noted that trust and cooperation among the members should be strengthened in order to respond appropriately and effectively to emerging international conflicts in a timely and effective manner.
22. The two leaders evaluated the successful holding of the 17th Korea-Central Asia Cooperation Forum in Seoul in November 2024. The two sides emphasized that the forum has become an effective multilateral consultative body that has contributed to strengthening and expanding relations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Central Asian countries since its launch in 2007. The two sides agreed to work together to promote bilateral and multilateral projects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Central Asian countries with the aim of strengthening and developing the forum.
The Kyrgyz side expressed support for the ‘Korea-Central Asia K Silk Road Cooperation Initiative’, Korea’s first Central Asia strategy. The two sides agreed to closely cooperate to implement the initiative and prepare for the Korea-Central Asia Summit to be held in 2025 within the framework of the initiative.
23. The two leaders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e successful holding of the 1st Korea-Central Asia National Assembly Speakers’ Meeting in Seoul in September 2023, which provided an opportunity to comprehensively explore new areas of cooperation. The two sides emphasized the need to institutionalize this by holding the meeting regularly while continuing the format of the meeting.
24. The two leaders noted the importance of implementing the ‘Sustainable Mountain Development’ resolution of the 77th UN General Assembly, which declared 2023-2027 as the ‘Five-Year Action Year for the Development of Mountainous Regions’ to strengthen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effectively implement the mountainous region agenda. The ROK side appreciated Kyrgyzstan’s plan to host the 2nd Global Mountain Summit (‘Bishkek+25’) in 2027.
25. The two sides shared the view that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the DPRK would contribute to peace and stability not only o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around the world. The two sides urged the DPRK to comply with its obligations under the UN Charter and relevant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The Kyrgyz side reaffirmed its continued support for the ROK government’s efforts to establish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context, the Kyrgyz side supported the ROK’s ‘Bold Vision’ and the ‘August 15 Unification Doctrine’ for a unified Korean Peninsula of freedom, peace, and prosperity. The two side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ialogue,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ROK and the DPRK.
26. The two leaders noted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efforts to prevent terrorism and extremism, counter international organized crime, combat cybercrime, expand border control and cross-border cooperation, and eradicate illegal drug trafficking.
27. The two sides strongly condemned terrorism in all its forms and manifestations around the world and noted that associating terrorism with a specific country, culture or religion should not be tolerated.
28. President Sadyr Japarov of the Kyrgyz Republic expressed his gratitude to President Yoon Seok-yeol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people of the Republic of Korea for the warm welcome and hospitality received by the Kyrgyz delegation and invited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o make an official return visit to the Kyrgyz Republic at any convenient time. President Yoon Seok-yeol of the Republic of Korea expressed his gratitude for the invitation of the Kyrgyz Republic to make an official visit, and the date of the visit will be agreed upon through diplomatic channels. This Joint Statement was signed in duplicate in the Korean and Kyrgyz languages in Seoul on 3 December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