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가을의 고향 나들이
2024년 늦가을에 나는 개나리 봇짐지듯 가벼운 차림으로 모처럼 나의 탯자리인 전라남도 함평군, 그리운 고향 땅을 찾았다. 거의 10년만인 것 같다. 함평면 면장을 지낸 조부(李玩範)의 기적비(紀蹟碑)에 흠결이 생겼다는 친지의 전언을 흘려버릴 수 없어서 확인도 해보고 조부모님의 산소도 살필 요량하고 KTX에 올랐다.
언제나 느끼는 일이지만 한반도 중부에서 남향길로 달리는 차창(車窓)에 비친 가을 경치는 한국 사회가 발전해 가는 정도에 비례해서 변화하는 모습들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1958년 서울로 유학 갈 때만 해도 거의 보통열차를 타는 데 차내는 입석 좌석 할 것 없이 항상 입추의 여지가 없는 만원이어서 기차여행이라기보다는 열차 이동으로 표현해야 옳을 것 같았다.
만원 열차 속에서 바깥 풍치를 넉넉한 마음으로 감상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당시 입학 시즌의 봄 기차 속에서 보이는 산야는 황폐 그대로였다. 들녘은 삭막했다. 벌써 64~5년 전의 일이다.
그러나 지금은 사시사철 푸르른 산야와 경지정리가 잘된 논밭에 추수가 끝난 볏짚들을 압축, 저장해놓은 하얀 박스들이 마치 천산산맥의 계곡들에 옹기종기 모여 있는 산양 떼를 연상시켰다. 계절 소채나 과일들을 기르는 비닐하우스들이 원근의 시야를 가득 채운다. 80년대 일본의 시골길을 다니면서 도시와 농촌의 구분이 거의 없어져 버린 일본 선진화를 피부로 느꼈던 것처럼 우리나라도 이미 선진화를 향해서가 아니라 선진화 선상(線上)에서 변화와 발전이 진행되고 있음을 실감하게 된다.
나는 돌이켜보면 그 당시 지구촌에서 가장 가난한 시골 농촌에서 해방을 맞았고 다음 해에 초등학교에 입학했다. 뒤이어 동족상잔으로 형용되는 전쟁으로 피폐의 극에 달했던 시기가 청소년 시대였고 6.25사변의 전재복구 제1차 5개년 계획이 끝나가던 1950년대 후반에서 60년대 초반에 인생의 대학 시절을 살았다. 나는 결코 멋지고 좋은 나라에서 태어나지 않았다. 영국시인 Brake의 시구(詩句)처럼 “내가 만나는 사람마다 슬픔의 빛과 가난의 그림자”가 넘실거리는 문자 그대로 ‘헬 조선’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그러나 지금은 어느 틈엔가 선진화되어 버린, 그래서 많은 나라들이 부러워하는 잘사는 나라에서, 비만과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몸살 앓는 풍요의 나라에서 인생의 후반부를 살고 있다.
내가 과거 광주(光州)에서 버스를 타고 함평(咸平)을 가려면 여러 정차역을 거치면서 비포장도로 위를 서행, 2시간 이상 걸렸다. 그러나 이젠 호남고속도로에서 東함평 톨게이트로 진입하면 30분내에 도착하는 곳이 함평이다. 광주 도심의 고층 아파트와 잘 가꿔진 상가나 관청 건물을 보면서 지금 어디쯤 왔는가, 두리번거리면 벌써 함평(咸平)이다.
이젠 우리의 고향에 대한 머릿속의 관념과 현실은 전혀 일치하지 않는다. 고향은 위치만 있을 뿐 고향을 느끼게 하는 도로도, 건물도, 일가들이 함께 살던 집들도 사라져버렸고 아련히 위치만 떠오를 뿐이다. 산천은 의구한 데 생활 터전들은 모두 기억 속에만 감돌고 새로운 것들로 바뀐 지 오래되었다고 한다.
시인 정지용이 낭만적으로 읊던 그리운 고향은 더 이상 없다.
● 고향 없는 향수
함평은 나에게 생명을 준 탯 자리다. 여기서 나는 해방을 맞이했고 한글을 깨치게 되었고 가장 중요한 것은 예수님을 구주로 영접한 곳이다. 한 인생의 개인사에서 이만큼 중요한 땅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초등학교 2학년 때 광주로 전학 온 후부터 함평은 점차 객지로 변하기 시작했고 매년 추석 때 부친 따라 성묘하는 일 말고는 함평을 오갈 일이 없어졌다. 더욱이 서울로 진학하면서부터 나의 삶의 터전은 서울이 되어 60년 이상 살고 있으니 10여 년 살았던 함평은 좋게 말하면 고향이지만 사실은 마음에서 멀어진 출생 연고지였다. 이미 돌아가신 부모님도 서울 근교의 남한강 공원묘원에 모시고 보니 함평 갈 일은 더더욱 멀어졌다.
철학자 니이체는 고향없는 향수(Das Heimweh ohne Heim)를 말했다. 존재의 본질에서 멀어진 실존을 말하는 취지였던 것 같다.
한국의 현대인들은 모두 고향에 대한 낭만적 향수를 지니고 살지만 민주화와 산업화를 신생국 중에서 가장 빨리 완수했다고 자부하는 바로 그 순간부터 “산꿩이 알을 낳고 뻐꾹새 때맞춰 운다”는 낭만적인 시인들의 고향은 사라져버렸다.
●새로워진 함평
서울에 살면서 고향이 함평(咸平)이라고 하면 어딘지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런 함평이 2009년부터 나비 축제로 갑자기 유명해졌다. 전남농대를 졸업하고 KBS에서 PD를 역임했던 이석형 군수가 지방자치단체의 강점을 살려 나비 축제라는 타이틀로 축제를 열어 전국적 주목을 끌어낸 효과 때문이다. 이석형 군수는 나비의 서식 생장과정을 소개하면서 화문석, 한우 등 지역특산물을 함께 홍보, 지역 소득증대를 꾀한 것이 대박을 터트린 것이다.
함평 나비축제는 올해로 26년째를 맞으면서 전국적으로 많은 관광객을 한반도 서남해안지대의 함평으로 끌어드리고 있다. 나도 제1회 행사 때는 고향 구경 차 참석했지만 그때는 제대로 틀이 잡히지 않았던 축제였는데 해를 거듭할수록 명성만큼 자리가 잡히고 행사장소도 함평 엑스포 공원이라는 거판진 타이틀을 붙인 공간에서 개최하고 있다. 나비 축제에 이어 가을이 되면 국화축제를 열어 축제 무드를 이어간다고 한다.
서울에서도 지금은 함평 한우를 맛 좋은 특수육처럼 팔고 함평원 불고기집이 체인을 만들어 전국으로 뻗어가고 있다. 고향생각을 떠오르게 하는 함평이라는 두 글자를 온 국민들의 눈에 띄게 한 이석형의 이니셔티브에 경의를 표한다.
또 최근에는 KBS 편성본부장을 역임한 남성우씨가 방송국 퇴임후 고향으로 귀농한 후 <의롭고 당당한 함평 역사이야기>를 펴내 역사 속에 간헐적으로 보였던 의병, 왜란, 농민들의 민란 이야기를 포함해서 삼한시대까지 거슬러가서 고적, 유물, 고인돌, 사적지들을 멋지게 발굴 소개하고 있다. 황호택의 <서해의 에메랄드 신안군>과 더불어 지역의 역사문화연구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
또 최근 함평이 새롭게 명성을 얻는 커다란 사건이 발생했다. EBS방송을 통해 동양철학의 진수를 열강 했던 철학자 최진석 박사가 자기 고향인 함평 대동면에 <새말 새몸짓 기본학교>를 세우고 전국적으로 청장년 지식인들을 모집, 벌써 100여명의 일꾼을 길러냈다고 한다. 한국이 남을 따라가거나 모방하는 나라(전술적 차원의 국가)가 아니라 사고와 지식을 갱신, 세계사의 현실과 한국사의 현실 간에 놓인 괴리를 창조적 사고를 통해 극복, 나라를 (전략적 차원의 새로운 국가)로 만들 일꾼을 기르자는 교육운동을 펼치고 있다. 흡사 일본 개화기에 요시다 쇼인(吉田松陰)이 창립하여 일본 명치유신의 주도세력을 길렀다는 쇼카손주쿠(松下村塾)의 선례와도 유사하다.
최 박사가 정년도 많이 남긴채 교수직을 털고 나와 이러한 교육운동을 추진하자 전국각지에서 동참하는 청장년들이 몰려오고 이들을 반(半)년을 일기(一期)로 하여 매주 토요일 오후면 25, 6명이 불원천리 함평으로 내려와 1박2일 일정으로 한국사회를 전략국가로 거듭나게 할 소명의식과 이를 가능케 할 사고방식을 교육과 훈련, 질문과 토론을 통해 학습한다는 것이다.
나는 이곳도 들려 최진석 박사에게 오찬 대접도 받으면서 내 고향 함평이 참으로 가치 있고 위대한 일에 크게 쓰임 받는 고장이 된 데 대해 깊은 고마움을 느꼈다.
앞으로 <새말 새몸짓 도장>이 만들어 낼 미래에 대해 내 나름의 상상과 기대의 날개를 펴면서 올 가을 고향 나들이를 총총히 마치고 귀경 길에 올랐다.
*필자/이영일 전 국회의원(3선).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he story of my hometown, Hampyeong-gun, Jeollanam-do, which has only a location but no substance
-Former National Assemblyman Lee Young-il
●Hometown outing this fall
In late fall of 2024, I visited my hometown, Hampyeong-gun, Jeollanam-do, my birthplace, in light clothing like a bundle of forsythia. It seems like it's been almost 10 years. I couldn't ignore the news from a relative that there was a flaw in the monument to my grandfather (Lee Yeong-beom), who served as the mayor of Hampyeong-myeon, so I got on the KTX to check it out and also to visit my grandparents' grave.
As I always feel, the autumn scenery reflected in the window of the train heading south in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vividly shows the changing aspects of Korean society in proportion to the degree of its development. In 1958, when I went to Seoul to study abroad, I took regular trains, and the trains were always packed with no standing room, so it would be more correct to describe it as a train ride rather than a train trip.
It was impossible to enjoy the scenery outside with a relaxed mind in a crowded train.
At that time, the mountains and fields seen from the train during the spring school season were as desolate as ever. The fields were barren. That was 64~5 years ago.
However, now, the mountains and fields are green all year round, and the white boxes containing the straws that were harvested after being compressed and stored in the well-maintained fields reminded me of a herd of mountain goats huddled together in the valleys of the Cheonan Mountains. The greenhouses growing seasonal vegetables and fruits fill the distant view. Just as I felt the advancement of Japan in the 1980s, when the distinc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as almost completely eliminated, I realized that our country was already changing and developing along the line of advancement, not toward advancement.
Looking back, I was liberated from the poorest rural area in the world at the time, and entered elementary school the following year. The period of my youth was the period of extreme devastation caused by the subsequent fratricidal war, and I lived my college years in the late 1950s and early 1960s, when the First Five-Year Plan for the Recovery from the Korean War was coming to an end. I was not born in a wonderful or good country. As the British poet Brake puts it, I was born and raised in a literal “Hell Joseon” where “everyone I meet is filled with the light of sorrow and the shadow of poverty.”
But now, in a country that has become advanced and is the envy of many countries, I am living the latter half of my life in a country of abundance that is struggling with obesity and food waste disposal.
In the past, if I took a bus from Gwangju to Hampyeong, it took more than two hours to drive slowly on an unpaved road while stopping at several stations. However, now, if you enter the East Hampyeong tollgate from the Honam Expressway, you can arrive at Hampyeong in 30 minutes. When you look at the high-rise apartments and well-maintained commercial and government buildings in downtown Gwangju, you wonder where you are and you are already in Hampyeong.
Now, the idea of our hometown and reality do not match at all. Hometown only has a location, and the roads, buildings, and houses where our families used to live together have all disappeared, leaving only a vague memory of its location. The mountains and rivers are strange, but the places where I live are all only in my memories and have long since been replaced by new ones.
The longed-for hometown that poet Jeong Ji-yong romantically sang about is no longer there.
● Nostalgia without a hometown
Hampyeong is the birthplace that gave me life. Here, I welcomed liberation, learned to read and write Korean, and most importantly, it is where I accepted Jesus as my savior. There is no place more important to a person’s personal history than this.
However, since I transferred to Gwangju in the seco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Hampyeong gradually began to become a foreign place, and I had no reason to go back and forth to Hampyeong except to visit my father’s grave every year during Chuseok. Furthermore, since I went to Seoul, my hometown has become Seoul, and I have lived there for over 60 years, so Hampyeong, where I lived for over 10 years, is my hometown to put it nicely, but in reality, it was my birthplace that I had grown distant from my heart. My parents, who had already passed away, were buried in the Namhangang Park Cemetery near Seoul, so going to Hampyeong seemed even more distant.
Philosopher Nietzsche said, “Homeless longing (Das Heimweh ohne Heim).” It seems to have been intended to refer to an existence that has moved away from the essence of existence.
Modern Koreans all live with a romantic longing for their hometown, but at the very moment when they were proud of being the fastest among newly established countries to achieve democrat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e hometown of the romantic poets who said, “The pheasant lays eggs and the cuckoo cries in time,” disappeared.
● The new Hampyeong
Many people who live in Seoul and say that their hometown is Hampyeong (咸平) did not know where it was. However, Hampyeong suddenly became famous for its butterfly festival in 2009. This was because Governor Lee Seok-hyung, who graduated fro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of Agriculture and served as a PD at KBS, held a festival under the title of Butterfly Festival, taking advantage of the strengths of local governments, and drew national attention. Governor Lee Seok-hyung introduced the habitat and growth process of butterflies while promoting local specialties such as Hwamunseok and Korean beef, which was a huge success. The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now in its 26th year, is attracting many tourists from all over the country to Hampyeong on the south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 attended the first event to see my hometown, but at that time, it was a festival that was not properly organized. However, as the years passed, its reputation became established, and the venue for the festival was held in a space with a big title called Hampyeong Expo Park. It is said that the chrysanthemum festival is held in the fall after the butterfly festival to continue the festival mood. In Seoul, Hampyeong Hanwoo is now sold as a delicious specialty meat, and Hampyeongwon Bulgogi Restaurant has formed a chain and is expanding nationwide. I pay tribute to Lee Seok-hyung’s initiative to make the two letters Hampyeong, which bring home memories, stand out to the entire nation. Also, recently, Mr. Nam Seong-woo, who served as the head of the KBS programming department, returned to his hometown after retiring from the broadcasting station and published <Hampyeong’s Righteous and Dignified History Stories>, which includes stories of the Righteous Army, the Japanese Invasion, and the peasant rebellion that were intermittently seen in history, and introduces historical sites, relics, dolmens, and historic sites dating back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Along with Hwang Ho-taek’s <Shinan County, the Emerald of the West Sea>, it is opening a new chapter in the study of regional history and culture.
Also, a major event recently occurred that brought Hampyeong new fame. Dr. Choi Jin-seok, a philosopher who gave a lecture on the essence of oriental philosophy through EBS, established <New Words, New Gestures Basic School> in his hometown, Daedong-myeon, Hampyeong, recruited young intellectuals from all over the country, and is said to have already trained over 100 workers. Korea is not a country that follows or imitates others (a country at the tactical level), but is carrying out an educational movement to foster workers who will renew their thoughts and knowledge, overcome the gap between the reality of world history and the reality of Korean history through creative thinking, and make the country a (new country at the strategic level). It is similar to the precedent of Shokasonjuku (松下村塾), which was founded by Yoshida Shoin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in Japan and nurtured the leading force of the Meiji Restoration in Japan.
When Dr. Choi left his professorship with many years left until retirement age to promote this educational movement, young people from all over the country flocked to join him, and every Saturday afternoon, 25 or 6 of them came down to Hampyeong, a distant land, for half a year to learn about the sense of mission to transform Korean society into a strategic country and the mindset that will make this possible through education, training, questions, and discussions.
I also stopped by here and was treated to lunch by Dr. Choi Jin-seok, and felt deeply grateful that my hometown, Hampyeong, has become a place that is truly valuable and greatly used for great things.
I quickly finished my hometown trip this fall and headed back home, spreading my wings of imagination and anticipation for the future that <Saemal Saemomjit Dojo> will create.
*Author/Former National Assemblyman Lee Young-il (3rd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