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최근 러시아 미사일 오레슈닉이 강타한 유즈마쉬는 어떤 곳인가?

정길선 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24/12/02 [02:06]

▲ 정길선 박사     ©브레이크뉴스

최근에 러시아 미사일 오레슈닉(Oрешник)이 강타한 유즈마쉬(Южмаш)를 보니 오래 전에 포스팅 한 내용이 생각나서 재포스팅 해 본다. 우크라이나 중남부 드네프르 페트로프스크 시(市)에는 냉전 시절 소련의 SS-18 ICBM을 만들던 유즈마쉬(Южмаш)라는 미사일 제조 회사 및 공장이 존재한다. 유즈마쉬(Южмаш)는 우크라이나의 국영 우주 발사체, 탄도 미사일, 로켓 엔진 전문 제조 업체로 대개 유즈노예(Южное) 설계국에서 로켓을 설계하면 유즈마쉬에서 생산하는 패턴을 갖고 있다. 세계적으로 가장 고성능에 저렴하기로 유명한 제니트 로켓 엔진은 이곳 유즈마쉬에서 만들어졌으며 우리 대한민국의 위성 발사를 위해 제작된 나로호의 1단 엔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설계업체 유즈노예(Южное)는 본래 소련, 우크라이나의 우주발사체 설계 업체였다. 1951년 설립되었으며 세계 최대 핵미사일인 SS-18 사탄을 설계한 곳이기도 하다. 소련 붕괴 이후 우크라이나가 독립하여 비핵화를 단행한 이후에는 순수하게 우크라이나 국영 우주로켓 설계회사가 되었지만 누군가의 지원을 받으면 그 또한 어찌될지는 알 수 없다. 이곳에서 생산된 제니트 엔진은 2010년 당시 미국에서 세계 최고의 엔진으로 호평을 받았고 미국 최대 방산회사인 록히드 마틴이 이를 수입해 최신형 아틀라스 V 우주 발사체에 100여 발을 장착하고 있다. 그동안 냉전으로 인해 수입이 불가능했지만 당시에는 친서방정권이 들어선 우크라이나 정부의 허가로 인해 미국의 우주로켓 사업에 큰 보탬이 되었다. 2012년 6월 8일, 북한 무역부 직원이 유즈노예에 접근해 엔진 설계도를 빼돌리려다가 우크라이나 경찰에 체포된 사건이 발생했다. 

 

이 때까지는 유즈노예나 유즈마쉬가 북한과 접촉했다는 징후가 없었던 때였다. 북한과 우크라이나의 관계를 이야기하자면 우크라이나의 독립 후에도 그리 나쁜 관계는 아니었다. 북한은 1991년 소련 해체 이후 우크라이나를 승인하여 외교관계를 맺었지만1998년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자 대북제재를 할 때 우크라이나가 이를 지지함으로써 그에 보복조치로 키예프에 북한 대사관을 철수하기도 했다. 그리고 2015년 북한이 크림 반도를 러시아 영토로 승인하자 결국 외교적 보복조치로 모든 무비자 협정을 파기하고 북한인들을 추방하는 조치를 취함으로써 관계는 거의 단절되다시피 했다. 그러나  2017년 북한이 처음으로 사거리 10,000km의 ICBM 발사에 성공했을 때에, 당시 미 정보정보당국과 안보전문가들은 이 미사일에 장착된 핵심 엔진 로터의 출처로 유즈마쉬를 지목했다. 우선 북한은 2015년까지 계속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서 실패했다. 

 

당시 미국 오바마 행정부의 정보당국이 북한이 미사일 부품 구입 프로세스에 개입하여 지속적으로 방해 공작을 폈기 때문이다. 그래서 북한은 여태까지 해왔던 노선을 바꾸는 시도를 하게 된다. 그것이 2016~2017년 북한의 엔진 디자인이 새롭게 바뀐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미 정보국에 의해 부품 구입 프로세스도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2017년 3월 신형 엔진의 연소 실험에 성공하더니만 5월에는 괌 미군기지를 뛰어넘을 사거리 5000㎞의 ‘화성 12형’ 발사에 성공하게 된다. 곧이어 7월에는 ‘화성 14형’ 로켓을 연거푸 발사해 성공했다. 첫 번째 것은 알래스카에, 7월 28일 발사한 두 번째 것은 미국 중부의 시카고와 덴버까지 닿을 수 있는 10,000km 사거리였다. 비록 정확성에 의문은 재기되었지만 어쨌든 북한 입장에서 볼 때 첫 ICBM 발사 성공이었다. 이를 두고 영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의 미사일 전문가인 마이클 엘먼이 말하기를 “북한의 새로운 미사일은 북한이 독자적으로 단기간에 바꾸기에는 복잡한 기술에 기초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정상적인 기술 발전 속도가 아닌 누군가의 기술 이전 및 지원이라는 뜻이다. 미국의 정보분석가들은 ‘화성 12호’가 성공한 이래 김정은이 이 신형 로켓 모터를 시찰하는 사진을 판독한 결과 이번 미사일 엔진은 미 정보당국이 그 동안 봐왔던 곳이 아닌 제조회사에서 나온 것으로 분석에 성공했다. 2017년 8월 미국 원자력과학자회보(The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는 “자세한 사양을 검토한 결과, 북한의 새 엔진은 RD-250에서 나온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러시아에는 이 엔진은 더 이상 생산되지 않는데다 공장 자체가 없고 나올 만한 곳 또한 구소련에서 몇 곳 없다. 결국 이 엔진의 출처 중 현재까지 발행하고 있는 가장 유력한 곳으로 우크라이나 드네프로 페트로프스크의 ‘유즈마쉬’로 결론을 내게 된다. 2015년 돈바스 전쟁이 개막되면서 우크라이나가 혼란을 겪자 유즈마쉬의 보안은 허술해졌고, 경영난에 허덕이게 된다. 우크라이나의 미사일과 핵 과학자들은 하루 아침에 실직자가 된 셈이다.

 

2014년 7월 카네기 국제평화재단 보고서는 “실직한 과학자들이 결정적인 노하우를 불량국가나 핵확산 집단에 넘길 수 있다”며 미리 경고한 바 있었다. RD-250이 유출된 경위는 당시 실직자들이 넘쳐난 우크라이나 과학자들에게서 그 기술과 노하우를 북한에 넘기지 않고서는 북한까지 RD-250 엔진이 넘어갈리 없다. IISS의 엘먼조차도 “이 엔진들은 우크라이나에서 북한으로 불법적인 경로로 밀수입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내렸다.  결국 북한의 화성 미사일은 17형까지 나왔다. 

 

우크라이나에서 입수한 엔진을 받은 미사일은 결국 대한민국으로 정조준 되고 있는 셈이다. 오레슈닉은 극초음속 중거리 탄도 미사일이다. Oрешник은 러시아어로 "개암나무"를 뜻한다. 낙하하는 과정에서 여러 탄두들이 낙하하는 모습이 개암나무의 꽃을 닮아 붙여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알려진 바로는 마하 10 수준의 극초음속 탄도 미사일이며, 36개의 탄두를 종말 가속으로 투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 강한 미사일이 유즈마쉬(Южмаш)를 때린 것이다. 북한 ICBM 미사일 기술 제공 공장을 때려서 파괴했으니 우리 입장에서는 오히려 잘 된 일 아닌가? 

lukybaby7@gmail.com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What is Yuzhmash, recently hit by the Russian missile Oreshnik?

 

Columnist Jeong Gil-seon

 

Recently, seeing Yuzhmash, which was hit by the Russian missile Oreshnik, reminded me of a post I made a long time ago, so I am reposting it. In the city of Petrovsk in Dnieper, south-central Ukraine, there is a missile manufacturing company and factory called Yuzhmash, which manufactured the Soviet Union's SS-18 ICBM during the Cold War. Yuzhmash is a Ukrainian state-run space launch vehicle, ballistic missile, and rocket engine manufacturing company, and usually has a pattern where rockets designed by the Yuzhnoye Design Bureau are produced by Yuzhmash. The Zenit rocket engine, famous for being the most high-performance and affordable in the world, was made here in Yuzhmash and was also used as the first stage engine of Naro, which was produced to launch our country's satellite.

 

The design company Yuzhnoye (Южное) was originally a Soviet/Ukrainian space launch vehicle design company. It was established in 1951 and also designed the SS-18 Satan, the world's largest nuclear missile.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Ukraine became independent and denuclearized, and it became a purely Ukrainian state-run space launch vehicle design company, but it is uncertain what will happen if it receives support from someone. The Zenit engine produced here was acclaimed as the world's best engine in the United States in 2010, and Lockheed Martin, the largest defense company in the United States, imported it and installed about 100 of them on its latest Atlas V space launch vehicle. Imports had been impossible due to the Cold War, but at the time, the Ukrainian government, which had a pro-Western government, gave permission, which greatly contributed to the U.S. space launch business. On June 8, 2012, an employee of the North Korean Ministry of Trade approached Yuzhnoye and attempted to steal engine designs, but was arrested by Ukrainian police. Until then, there was no sign that Yuzhnoye or Yuzhmash had contacted North Korea. Speaking of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Ukraine, even after Ukraine’s independence, the relationship was not so bad.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in 1991, North Korea recognized Ukraine and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but when North Korea launched a missile in 1998, Ukraine supported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in retaliation, the North Korean embassy in Kiev was withdrawn. Then, when North Korea recognized Crimea as Russian territory in 2015, the North Korean government eventually terminated all visa-free agreements and expelled North Koreans as a diplomatic retaliatory measure, and relations were almost severed. However, when North Korea successfully launched an ICBM with a range of 10,000 km for the first time in 2017, U.S. intelligence and security experts at the time pointed to Yuzhmash as the source of the core engine rotor mounted on the missile. First of all, North Korea continued to fail in long-range missile launches until 2015. At that time, the intelligence agency of the Obama administration in the United States intervened in North Korea’s missile parts purchase process and continued to sabotage it. So North Korea attempted to change the course it had been taking. It started with the change in North Korea’s engine design in 2016–2017. It was confirmed by the US intelligence agency that the parts purchase process had also changed. Then, in March 2017, they successfully conducted a combustion test of the new engine, and in May, they successfully launched the ‘Hwasong-12’ with a range of 5,000 km, surpassing the US military base in Guam. Then, in July, they successfully launched the ‘Hwasong-14’ rocket in succession. The first one was launched to Alaska, and the second one, launched on July 28, had a range of 10,000 km, reaching Chicago and Denver in the central United States. Although questions were raised about its accuracy, it was the first successful ICBM launch from North Korea’s perspective. Regarding this, Michael Elman, a missile expert at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IISS) in the UK, said, “North Korea’s new missile is based on a complex technology that North Korea cannot change on its own in a short period of time.” This means that it is not a normal technological development speed, but rather a transfer and support of technology from someone else. After analyzing the photos of Kim Jong-un inspecting this new rocket motor since the success of the Hwasong-12, US intelligence analysts succeeded in analyzing that this missile engine came from a manufacturing company other than the one that US intelligence agencies had previously observed. In August 2017, the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concluded that “after reviewing the detailed specifications, North Korea’s new engine is from the RD-250.” This engine is no longer produced in Russia, and there are no factories, and there are only a few places in the former Soviet Union where it could come from. Ultimately, the most likely source of this engine that is still being issued is ‘Yuzmash’ in Dnipro Petrovsk, Ukraine. As the Donbass War began in 2015 and Ukraine fell into chaos, Yuzhmash’s security became lax and it suffered from management difficulties. Ukrainian missile and nuclear scientists became unemployed overnight.

 

In July 2014, the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warned in advance that “unemployed scientists could pass on crucial know-how to rogue states or nuclear proliferation groups.” The reason the RD-250 was leaked was that the RD-250 engine could not have reached North Korea without the technology and know-how being passed on to North Korea by Ukrainian scientists who were overflowing with unemployed people at the time. Even Elman of IISS concluded that “these engines were likely smuggled from Ukraine to North Korea through illegal routes.” In the end, North Korea’s Hwasong missiles reached the 17th type.

 

The missiles that received engines acquired from Ukraine are ultimately aimed at South Korea. The Oreshnik is a hypersonic medium-range ballistic missile. Oрешник means "hazelnut" in Russian. It seems to have been named so because the way the multiple warheads fall during the landing resembles the flowers of the hazelnut tree. It is currently known to be a hypersonic ballistic missile of Mach 10 level, and it is known to drop 36 warheads with terminal acceleration. Such a powerful missile hit Yuzhmash. Since we hit and destroyed the North Korean ICBM missile technology supply plant, isn't it a good thing from our perspective?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