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태국, 특이한 양면성의 모순적 사회를 갖고 있는 나라

정길선 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24/12/02 [02:02]

▲ 정길선 박사     ©브레이크뉴스

태국은 매우 자유롭고 개방적인 국가이면서 폐쇄적이고 권위주의적이며 신분사회도 함께 고수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충분히 선진국으로 진입할 수 있는 자원을 가지고 있지만 사회적인 부분과 관습적인 부분으로 인해 뚜렷한 한계도 갖고 있는 국가이다. 북쪽 러시아의 길도 막히고 일본과 미국만을 상대로 무역을 하기에는 우리 경제가 버텨낼 수 있는 충분한 자원을 갖고 있지 못하다. 게다가 한 쪽만 편중되는 경제로는 미국과 일본이 약세로 돌아섰을 때 우리는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을 맞이할 수 있다. 한 때 아시아의 선진국이었다가 중진국으로 떨어진 대만, 개도국 및 중진국 함정에 빠져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는 필리핀이나 태국을 보면 나락은 한 순간이다. 결국 경제적, 물류적, 무역적인 다양성을 추구해야 하기에 어쩔 수 없이 중국이나 동남아시아로 향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동안 우리는 베트남에 공을 들였지만 이제는 베트남을 벗어나 태국과 인도네시아에 공을 들여야 한다. 인구도 많고 자원도 풍부하니 바닷길로 유라시아를 통과하는 무역통로로써 가지는 지정학적 가치는 엄청나기 때문이다. 

 

그러려면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정치, 역사, 문화, 사회성을 파악하고 거기에 맞게 움직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 중에서 동남아시아의 대국(大國) 태국의 사회를 보자면 매우 개방적이면서도 권위주의 사회이며 신분사회가 자리잡은 보수적인 사회다. 한국 사람들이 흔히 착각하는 것이 성적으로 개방적이면 모든 것이 개방적일 것이라 보는 경향이 강한데 그건 매우 일반적인 오류다. 실질적인 사회 면면을 뜯어보면 태국만큼 보수적인 국가는 동남아시아에서도 손에 꼽는다. 미국의 사회학자이자 동남아시아 현대 사회사의 전문가로 알려진 존 엠브리(John Embree) 교수는 태국의 사회를 일반적으로 '느슨하고 완만하게 구조화된 사회(A loosely and gently structured society)' 라고 정의해 왔다. 불교 국가인 태국은 단순한 불교 국가의 이미지가 아니다. 그냥 생활 자체가 부처와 일체화가 되어 있다. 따라서 그 의식조차도 윤회와 업보에 대한 사상이 지배하고 있는 현실이다. 태국인들은 선한 업을 만들면 선한 결과를 가져오고 악한 업을 만들면 악한 결과를 가져 온다고 믿고 있다. 

 

특히 악한 행동을 했을 때 따라오는 결과는 결코 피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당사자가 악업을 받지 아니하더라도 후손이 그 업을 받는다고 믿고 있다. 그래서 살아 생전 공덕을 쌓고 자신에게 닥치는 현실이 아니더라도 후손에게는 잘되기를 바라는 미래에까지 염두해두고 정성을 다한다. 그래서 아침마다 탁발을 나온 승려에게 음식을 바치거나 절에서 행하는 각종 사업들 중, 불상의 조성 및 사원을 수리하고 승려들의 수행 및 일용품을 지원하는 일 등을 하며 이를 "탐분(ทำบุญ)"이라고 한다. 이어 어려움에 처한 다른 사람이나 동물에 대해 불쌍하게 여기는 마음, 자비심을 갖고 도와주는 것을 인간의 도리로 여긴다. 그래서 태국에는 거지가 많으며 이들에게 적선하는 것을 당연하다 생각한다. 태국에서 거지는 자신에게 받아들여지는 운명 중 하나라 여기며 전생에 무슨 악업을 쌓았기 때문에 현세에서 그 업을 받고 있다 생각하고 현세에서 그 업을 치르면 내세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할 수 있다고 믿는다. 

 

나는 태국에 있으면서 최하의 극빈층이라 불리는 거지들과도 이야기를 나눠봤다. 물론 대부분이 영어가 통하지 않아 고생했지만 영어를 아주 잘하는 거지도 있었다. 해당 거지를 두고 우스갯 소리로 "고위층 거지"라고 하는데 대개 이런 거지들은 도박을 하고 막대한 빚을 떠 안으며 파산한 자들이다. 그런 자들은 대개 고위 직종에 속해 있는 자들이 많았는데 대개 고학력자들이다. 이런 "고위층 거지"들과는 영어로 소통이 가능하다. 이들이 갖고 있는 학력, 그리고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음에도 거지 생활을 좀처럼 벗어나려 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바로 현세에서의 운명론(Fatalism) 때문이다. 스스로의 노력으로 그러한 생활을 바꿀 수 없으며 전생에 쌓은 업 때문에 자신이 도박에 빠지게 되었고 가산을 탕진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게다가 그 업 때문에 부처님께서 현세에 이렇게 될 것이라고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본인의 생활이 그렇게 되었다는 예정론(Predestination)적인 시각도 갖고 있었다. 그래서 적당히 능력이 있어도 이들은 어떠한 일도, 노력도 하지 않는다. 태국의 발전이 지체되고 선진국이 될 수 없는 이유 중에 하나가 여기에 있다.

 

태국의 역사로 볼 때 아유타야 왕조 시대부터 불교 사찰은 태국인들에게 있어 생활의 중심지이고 승려는 생활의 스승이자 영혼의 안내자이기도 했다. 그렇게 때문에 사찰은 학교나 병원, 사법 재판소, 각종 오락시설, 놀이터, 여행객을 위한 여관, 복지관, 집회장, 박물관, 양로원, 고아원, 창고, 장례식장 등 상당히 많은 복합적인 다용도의 기능을 하고 있다. 승려는 종교적인 역할 외에도 스승, 상담자, 새로운 문물을 전달하는 선각자이기도 한다. 태국에서 승려가 가지는 권위는 왕실을 압도한다. 그렇기 때문에 승려는 정부와 국민의 가교 역할을 하는 사람들이다. 그리고 의료인들 중에 승려도 많으며 심지어 법정의 재판관들, 판, 검사 및 변호사도 승려가 맡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은 도시에서는 자유롭지만 시골로 갈수록 보수적이다. 따라서 불교와 사원, 승려는 태국 사회의 보수성과 사회적 일체감의 상징이기도 하고, 정신적인 총체가 되면서 지도자가 되는 것이다. 불교라는 종교가 지배하고 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태국은 헌법상 종교 자유국가이다. 다만 허락하는 종교를 제한하여 불교, 시크교, 그리스도교, 힌두교, 이슬람교 등 5가지 종교 안에서만 신앙의 자유를 허락하고 있지만 전 국민의 95%가 불자일 뿐이다. 

 

타이족의 "타이"라는 단어 자체가 "자유"를 의미한다. 엄격한 형식을 갖거나 남에게 예속되는 것을 매우 싫어한다. 이런 문화적 습관은 외교에서도 극명하게 드러난다. 태국은 차크리 왕조 라마 4세 몽꿋 왕 때부터 전형적인 중립 외교인 "대나무 외교"를 외교적 원칙으로 고수해왔다. 이는 냉전 시대에도 공산주의를 선택하지 않았으며, 그렇다고 미국식 자유 민주주의도 선택하지 않았다. 태국은 양 진영 모두 자유롭게 외교를 구사하거나 왕래할 수 있었으며 주변 국가들이 공산주의의 물결에 휩쓸려 갈 때 나름 원칙을 고수하며 중립을 유지할 수 있었다. 어떠한 원칙이 성립이 될 때, 중립도 힘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태국인들은 무엇이든 하고 싶을 때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자유를 선호한다. 그러한 사회 분위기가 한쪽으로 휩쓸리지 않고, 남의 눈치를 보지 않으며 개인적 자유가 보장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그 안에서 또한 매우 폐쇄적이고 보수적인 어떠한 선이 그어져 있다. 그 선 안에서의 자유는 뭐든 허용된다. 그래서 태국이라는 국가는 "특이하고 양면성의 모순적 사회를 갖고 있는 나라(A country with a peculiar, two-faced, contradictory society)"라고 정의할 수 있다. 

lukybaby7@gmail.com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hailand, a country with a unique duality and contradictory society

Columnist Jeong Gil-seon

 

Thailand is a very free and open country, but it is also closed, authoritarian, and maintains a class society. Therefore, it has enough resources to enter the ranks of advanced countries, but it also has clear limitations due to social and customary aspects. The road to Russia in the north is blocked, and our economy does not have enough resources to survive by trading only with Japan and the United States. Furthermore, if our economy is biased towards only one side, we may face a level that is difficult to handle whe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urn weak. Looking at Taiwan, which was once an advanced country in Asia but fell to a middle-income country, and the Philippines and Thailand, which are stuck in the developing and middle-income country trap and cannot escape, the abyss is only a moment. In the end, we have no choice but to head to China or Southeast Asia because we have to pursue economic, logistical, and trade diversity. We have been working hard in Vietnam, but now we need to move beyond Vietnam and focus on Thailand and Indonesia. Because it has a large population and abundant resources, its geopolitical value as a trade route through Eurasia via the sea is enormous.

 

To do so,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olitics, history, culture, and sociality of Southeast Asian countries and act accordingly. Among them, if we look at the society of Thailand, a large country in Southeast Asia, it is a very open but authoritarian society and a conservative society with a class society. A common misconception among Koreans is that if they are sexually open, everything will be open, but that is a very common error. If we look at the actual social aspects, there are only a few countries in Southeast Asia that are as conservative as Thailand. Professor John Embree, an American sociologist and expert on modern Southeast Asian social history, has generally defined Thai society as a 'loosely and gently structured society.' Thailand, a Buddhist country, is not simply an image of a Buddhist country. Life itself is integrated with Buddha. Therefore, even its consciousness is dominated by the idea of ​​reincarnation and karma. Thai people believe that if you do good karma, you will get good results, and if you do bad karma, you will get bad results.

 

In particular, the consequences of doing bad deeds are unavoidable. Therefore, even if the person involved does not receive bad karma, they believe that their descendants will receive it. Therefore, they accumulate virtue while they are alive and put their heart into it, and even if it is not their own reality, they think of the future and hope that it will be good for their descendants. Therefore, they offer food to monks who come out for alms every morning, or do various projects at temples, such as creating Buddha statues, repairing temples, and supporting monks' training and daily necessities, and this is called "Tambun (ทำบุญ)." Furthermore, they consider it a human duty to feel pity for other people or animals in need and help them with compassion. Therefore, there are many beggars in Thailand, and they think it is natural to do good deeds for them. In Thailand, beggars are considered one of the accepted fates, and they believe that they are receiving karma in this life because they committed bad deeds in their previous lives, and that if they pay for their karma in this life, they can start a new life in the next life.

 

While I was in Thailand, I also talked to beggars who were considered the poorest of the poor. Of course, most of them had a hard time because they didn’t speak English, but there were some who spoke English very well. They are jokingly called “high-class beggars,” and these beggars are usually those who gambled, took on huge debts, and went bankrupt. They are usually in high-ranking positions and are usually highly educated.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se “high-class beggars” in English. Despite their education and ability, they do not try to escape their beggary lifestyle. The reason is their fatalism in this life. They cannot change their lives through their own efforts, and they say that they became addicted to gambling and lost their family fortune because of the karma they accumulated in their previous lives. In addition, because of that karma, they also had a predestination perspective that their lives were like that because the Buddha had already decided that they would be like this in this world. Therefore, even if they have moderate ability, they do not do anything or make any effort. This is one of the reasons why Thailand's development is delayed and it cannot become an advanced country.

 

Looking at Thai history, since the Ayutthaya Dynasty, Buddhist temples have been the center of life for Thai people, and monks have been teachers of life and guides of the soul. Therefore, temples have many complex and multi-purpose functions such as schools, hospitals, courts of law, various entertainment facilities, playgrounds, inns for tourists, welfare centers, meeting places, museums, nursing homes, orphanages, warehouses, and funeral homes. In addition to their religious role, monks are also teachers, counselors, and visionaries who convey new cultures. The authority of monks in Thailand overwhelms that of the royal family. Therefore, monks are people who act as a bridge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And there are many monks among medical professionals, and even judges, judges, prosecutors, and lawyers in courts are often monks. And these functions are free in the city, but they become more conservative as you go further into the countryside. Therefore, Buddhism, temples, and monks are symbols of the conservatism and social unity of Thai society, and they become leaders as they become a spiritual whole. Although Buddhism is the dominant religion, ironically, Thailand is a country with freedom of religion under the constitution. However, the religions allowed are limited, and freedom of belief is allowed only within five religions: Buddhism, Sikhism, Christianity, Hinduism, and Islam, but 95% of the entire population is Buddhist.

 

The word "Thai" itself means "freedom." They strongly dislike strict formalities or being subordinate to others. This cultural habit is clearly revealed in diplomacy. Thailand has maintained "bamboo diplomacy," a typical neutral diplomacy, as a diplomatic principle since the reign of King Rama IV of the Chakri Dynasty. This means that even during the Cold War, Thailand did not choose communism, nor did it choose American-style liberal democracy. Thailand was able to freely engage in diplomacy and exchanges with both sides, and was able to maintain neutrality by sticking to its principles while surrounding countries were being swept away by the wave of communism. When certain principles are established, neutrality can also gain strength. Thai people prefer the freedom to do whatever they want whenever they want. Such a social atmosphere ensures that individuals are not swept away to one side, do not have to worry about what others think, and are able to secure their personal freedom. However, there is also a very closed and conservative line drawn within it. Any freedom is permitted within that line. Therefore, Thailand can be defined as "a country with a peculiar, two-faced, contradictory society."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