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전통종교인 증산교의 대순전경(大巡典經)은 증산(甑山) 강일순(姜一淳:1871∼1909년) 선생(先生)의 가르침을 전(傳)하는 경전(經典)이다.
그런 의미에서 대순전경(大巡典經) 육필본은 이양섭(李良燮)선생이 1920년에 기술한 현존하는 유일 최초의 증산교 경전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 근거는 1909년 강일순 상제가 화천한 11년 후인 10주기를 기하여 1920년 신도들에 의해 강일순 상제의 흔적 등을 기록에 의해 1920년 7월 26일에 완필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역사적 배경은 문화재청에서 발간한 ‘근.현대문화유산 종교(민족종교)분야 목록화 조사연구 보고서(2016년)에 따르면 ’대순전경 필사본(이하, 강희준 소유자), 참 정신으로 배울 일, 천심경, 간찰류 등을 민족종교분야의 소중한 자산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에 그 역사적인 소중한 대순전경(大巡典經)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 브레이크 뉴스는 석암역사문화재단(경남 진주시 소재)강희준 이사장을 2차에 걸쳐 인터뷰했다.
강희준 이사장은 “당년 41세의 이양섭 선생은 대순전경 육필본을 1920년 7월 26일 완필했다“며, ”채약가, 처세가, 서전서문, 지지가, 김일부 선생의 궁을가, 상세가, 증산대 선생 약사 문답, 제세신약가의 8개의 육필본은 대순전경의 경전으로 승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불교에서 반야심경, 금강경 등이 존재하고 원불교에서는 반야심경을 토대로 하고 있지만 증산교의 경전인 대순경전에는 채약가, 처세가, 서전서문, 지지가, 궁을가, 상세가, 증산대 선생 약사 문답, 제세신약가 등의 8개 경문(經文)으로 존재한다는 것. 한줄기 빛이나 희망이 없는 막막한 일제치하 시대적 상황에서 채약가, 처세가, 지지가, 궁을가 등이 현대적 시각에서 재해석해 ‘경문(經文)’으로 평가했다.
일례로 기독교, 유대교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으로 일컫는 성경(聖經)은 히브리어: ביבל, 그리스어: τὰ βιβλία) 또는 성서(聖書, 라틴어: Biblia, 영어: Bible로 다양하게 쓰고 있다.
기독교는 여호와를 따르던 히브리인들이 기록한 구약성경(히브리성경) 39권과 예수를 따르던 베드로를 포함 마태, 마가, 누가, 요한, 바울 등이 저술한 신약성경(헬라어성경) 27권을 성경으로 부른다. 유대교에서는 히브리어 성경만을 성경이라고 부른다.
유대교인과 기독교인은 성경을 '신의 영감이 담긴 신의 말씀' 또는 '신과 인간의 관계'를 기록한 거룩한 문서로 받아들인다. 구약성경 구성은 내용은 동일하지만 분류가 달라 기독교(39권)와 유대교(24권)가 차이가 있다. 유대교는 기독교에서 구약성경에 해당하는 부분의 히브리어본인 '타나크'만을 사용한다.(출처, 나무위크 중에서) 그렇다고 해서 성경에 대해서 시비를 거는 사람은 없다.
그런 측면에서 경문(經文)이라는 것은 어느 날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것이 아니라 당시의 현존하는 사람들이 시대적 상황, 시대정신을 담아내는 그릇이라는 것.
특이한 점은 궁을가(宮乙歌)가 작자. 연대미상의 동학가사가 1932년에 경상북도 상주의 동학본부에서 국한문 혼용본과 국문본 2종이 간행되었다(용담유사 36권에 실려있음). 하지만 1920년에 쓰여진 이양섭의 대순전경에 나타난 궁을가는 그보다 12년이나 앞선 기록물로 작자와 연대가 명확히 전해지고 있다.
강희준 이사장은 “經典(경전)이라 함은 경전이 제시하는 가르침을 의지하여 신도(信徒)들로 하여금 수련(修鍊)을 통하여 開眼(개안)하고, 그 개안을 통하여 神通(신통)을 얻어 도통군자(道通君子)로 거듭나게 하는 것이 존재(存在)의 의의(意義)라 한다”면, “이상호 본(李祥昊 本)은 그 내용에 있어서 甑山(증산) 선생의 일대기(一代記)에 지나지 않고, 天地公事(천지공사)를 통한 해원(解冤)의 이상세계(理想世界)를 제시했으면서도, 정신수련의 精髓(정수)라 할 수 있는 교화(敎化)의 구체적 방향과 수련에 필요한 요결(要訣)로 안내하는 가르침 부분이 결여(缺如)되어 있다”며 아쉬움을 표했다.
하지만 이양섭 본(李良燮 本)의【大巡典經】은 후반부에 口傳(구전) 형식의 여러 가르침이 歌詞(가사) 형태로 첨부되어 있음으로 정신 도야(陶冶)와 수련에 필요한 요체(要諦)를 갖춤으로서 經典(경전)의 구비요건을 비로소 갖추었다고 평가했다.
이렇듯 經典(경전)의 중요성은 그 경전을 바탕으로 하는 종교(宗敎)의 발흥(發興)과 전도(傳導)의 역정(歷程)에서 종교지도자(宗敎指導者)의 역량(力量)은 물론 교세확산(敎勢擴散)에 있어서 절대적(絶對的) 가치(價値)와 긍정적(肯定的) 영향력(影響力)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대순전경(大巡典經)- 이양섭 본(李良燮 本)과 이상호(李祥昊 本)의 실체
대순전경(大巡典經)의 이양섭 본(李良燮 本)의 완필(完筆) 연대(年代)인 1920년을 덧칠하여 서기 1957년 7월로 첨작(添作)한 흔적이 있는 것은 확실하다.
‘一千九百五十七年 七月二十六日 完筆’로 되어 있으나, 덧칠된 흔적으로 보아 ‘1957년 7월 26일’이 아니고 ‘1920년 7월 26일’로 유추된다.
그 이유는 이양섭 본『李良燮 本』과 이상호 본, 양본(兩本)이 내용은 동일하다. 하지만『李良燮 本』에서 보이는 문장의 수식어나 접속사 또는 술어 부분에서 부사나 조사의 표현이 어색한 부분은『李祥昊 本』에서 이해하기 쉽게 임의(任意)로 고친 흔적이 많이 보임으로, 당시의 문체(文體)나 어투(語套) 변화에 비추어 볼 때 “이양섭 본(李良燮 本)이 이상호 본(李祥昊 本)보다 앞선다“고 보았다.
이상호 선생이 자신의 저술로 명기하여 별도의 인쇄본으로 출간해 보니 ‘이양섭 선생의 육필본에 완기된 연대가 1920년으로 기록되어 있는 까닭에, 자신의 저술로 밝힌 대순전경 연대가 1929년으로 9년이나 늦은 점이 불편해서 1929년 보다 늦은 ‘一千九百五十七年 七月二十六日 完筆’로 첨작((添作)했다는 것. 따라서 이양섭 본의 최초 육필본의 씌어진 연도는 ‘1957년 7월 26일’이 아니고 ‘1920년 7월 26일’로 유권해석을 했다.
인간의 욕심이 앞섰다. 당시에는 논문이 보편화되지 못한 시절이라 만약 이상호가 출처를 밝혔더라면 대순전경도 살고 이양섭, 이상호도 동시에 대순전경을 계승 발전시키는데 큰 역할을 했을 것으로 평가된다. 그렇다고 해서 근본적인 그 가치가 훼손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 강희준 이사장은 “1920년에 쓰여진 이양섭의 대순전경에는 8개의 경문이 있는 반면에 1929년에 기술한 이상호의 대순경전에는 대순경전의 핵심 경전인 8개의 경문이 없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에는 수많은 민족종교들이 출현하고 있는데 신흥 민족종교들을 족보별로 분류하면 크게 동학계, 증산계, 단군계, 무속계 등이 있다.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신흥종교는 증산계 종단들이다. 동학에서 파생된 증산교는 1902년 강일순(호는 증산)에 의해 창시된 이래 일제시대에는 한국 신흥종교를 대표하는 종단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조선총독부는 민족종교를 말살시키고자 촉탁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을 시켜 1938년 한국의 민족종교들을 ‘유사종교 해산령’으로 일괄 정리하면서, 총 5계파 66교로 분류해 철저히 탄압했다.
조선 조정은 동학혁명이 들불처럼 번져 한양으로 진격해 오자 외세인 일본을 끌어들여 전봉준 장군이 이끄는 민중투쟁을 압살했다.
역사에 가정은 없다지만 조선은 동학혁명 때 그 명운을 다하고 새로운 정치체제가 들어섰어야 했다. 무능한 조선 조정은 관군으로는 동학혁명군을 막아낼 수 없어서 외세인 일본과 청나라를 끌어들여 그 결과 조선 한반도가 청일전쟁의 전쟁터가 되게 하는 우를 범했다. 그러나 불행히도 조선의 무능한 고종 체제는 외세와 결탁하여 민족정통세력을 와해시키고 조선 식민체제를 가속화 시켰다. 그 후 일제는 우리의 전통종교를 철저히 압살했다.
- 대순전경이 증산교단 설립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 1945년 8월 15일 조선은 광복이 되어 유동열 장군을 중심으로 증산교단 통합으로 증산교의 17개 교단 대표들이 모여 1949년에 유동열 장군(임시정부 참모총장)이 통교로 추대되고 1929년 대순전경을 발표한 이상호 선생이 부통교로 증산교단 통정원이 1949년 설립이 되어 대순전경이 핵심적 역할을 했다.
- 일제치하에서 증산교단의 활동은?
▶ 증산교단이 설립한 통정원은 전국의 순회단 조직의 대순전경 강연 행진이 시작되자, 1949년 7월에 이양섭의 대순전경 육필본이 한 권의 책으로 제본이 되었다. 여기에 1948년에 참정신으로 배울 일, 천심경, 그리고 그 시대 아픔의 증언인 서간문 일체가 합본되어 신도 확보 및 전도를 목적으로 전국 차원의 순회강연을 하던 중, 한국전쟁인 6.25동란이 발발되어 유동열 통교가 납북이 되고, 또 1929년 대순전경의 부통교 이상호 선생은 1967년 돌아가실 때까지 증산교 교주로 생을 마감했다. 그 후 증산교단 통정원이 해체되어 와해되는 아픔을 겪었다.
일제치하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민족종교인 족보를 해부하면 동학-증산교-태극도- 대순진리회로 발전해 왔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증산도(증산교)는 대순진리회를 강증산을 이어갈 적통이 되지 못하는 일종의 이단중의 이단으로 여기고 있지만 신도수의 세력은 대순진리회가 증산도를 능가하고 있다.
끝으로 강희준 이사장은 “지금까지 우리의 정신세계는 토착신앙으로 인식되고 있는 불교, 기독교 등의 외래 종교에 지배당해 왔다면 앞으로는 여태까지 뚜렷한 중심축(中心軸)이 없이 지리멸렬하게 散在(산재)해 온 민족종교의 大統合(대통합)을 이루어내는 일에 이양섭 본(李良燮 本)의 대순경전【大巡典經】이 그 중추적(中樞的) 역할을 하는 날이 오길 기대한다”며, “바야흐로 후천개변(後天開闢)의 도수(度數)가 열리고, 한민족(韓民族) 삼천년 回運(회운)의 대세(大勢)가 도래(到來)하길 소망한다”고 원대한 포부를 밝혔다. hpf21@naver.com
*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Seokam History and Culture Foundation Director Kang Hee-jun “Talking about the 8 scriptures of Jeungsanism”
I hope the day will come when Daesunjeongyeong will play a pivotal role in achieving the great unification of national religions...
The Daesunjeongyeong (大巡典經) of Jeungsanism, a traditional religion of our country, is a scripture that transmits the teachings of Jeungsan (甑山) Kang Il-sun (姜一淳: 1871∼1909).
In that sense, the handwritten copy of Daesunjeongyeong (大巡典經) is evaluated as the only existing original Jeungsanism scripture written by Lee Yang-seop (李良燮) in 1920. The basis for this is that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completed on July 26, 1920, 11 years after the death of Sangje Kang Il-sun in 1909, by the believers who recorded the traces of Sangje Kang Il-sun in 1920.
According to the ‘Report on the Inven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Religion (Folk Religion)’ publish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6), the ‘Daesunjeonkyung manuscript (hereinafter, Kang Hee-jun’s owner), things to learn with true spirit, Cheonsimgyeong, Ganchalryu, etc. are evaluated as valuable assets in the field of folk religion.
According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ue nature of this historically valuable Daesunjeonkyung (大巡典經), Break News interviewed Kang Hee-jun, the chairman of the Seokam History and Culture Foundation (located in Jinju, Gyeongsangnam-do) twice.
Chairman Kang Hee-jun emphasized, “At the time, Mr. Lee Yang-seop, who was 41 years old, completed the handwritten copy of the Daesunjeonkyung on July 26, 1920,” and “The eight handwritten copies of Chaeyakga, Cheosega, Seojeonseomoon, Jijiga, Kim Il-bu’s Gungeulga, Seongjaga, Jeungsandae Seonsa’s Q&A, and Jeseshinyakga should be elevated to the scriptures of the Daesunjeonkyung.”
In Buddhism, there are the Heart Sutra and the Diamond Sutra, and in Won Buddhism, the Heart Sutra is the basis, but in the Daesunkyungjeon, the scripture of Jeungsangyo, there are eight scriptures: Chaeyakga, Cheosega, Seojeonseomoon, Jijiga, Gungeulga, Seongjaga, Jeungsandae Seonsa’s Q&A, and Jeseshinyakga. In the bleak situation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without a single ray of light or hope, Chaeyakga, Cheosega, Jijiga, and Gungeulga were reinterpreted from a modern perspective and evaluated as ‘Gyeongmun (經文)’. For example, the Bible, which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scripture in Christianity and Judaism, is written in various ways as Hebrew: ביבל, Greek: τὰ βιβλία) or Bible (Latin: Biblia, English: Bible).
Christianity calls the 39 books of the Old Testament (Hebrew Bible) written by the Hebrews who followed Jehovah and the 27 books of the New Testament (Greek Bible) written by Matthew, Mark, Luke, John, Paul, and Peter who followed Jesus as the Bible. In Judaism, only the Hebrew Bible is called the Bible.
Jews and Christians accept the Bible as the 'word of God containing the inspiration of God' or a sacred document that records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The composition of the Old Testament is the same in content, but the classification is different, so Christianity (39 books) and Judaism (24 books) differ. Judaism has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Old Testament in Christianity Only the Hebrew version, Tanakh, is used. (Source: Namuweek) However, no one disputes the Bible.
In that sense, the scriptures are not something that fell from the sky one day, but rather a vessel in which the people of the time contained the situation and spirit of the times.
What is unique is that the author is Gung-eul-ga. The Donghak lyrics of unknown date were published in 1932 by the Donghak headquarters in Sangju, Gyeongsangbuk-do in two versions: a mixed version in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and a Korean version (included in Volume 36 of Yongdam Yusa). However, Gung-eul-ga, which appears in Lee Yang-seop's Daesunjeon-gyeong written in 1920, is a record that is 12 years earlier, and its author and date are clearly conveyed.
Chairman Kang Hee-jun said, "The scriptures are meant to enable believers to rely on the teachings presented in the scriptures and If “the meaning of existence is to open one’s eyes through training, and to gain divine powers through that opening, and to be reborn as a gentleman through the Way,” then “Lee Sang-ho’s version is nothing more than the life story of Master Jeungsan in terms of its content, and while it presents an ideal world of resolution through the public works of heaven and earth, it lacks the specific direction of education, which can be called the essence of mental training, and the teachings that guide us to the essential points necessary for training,” he expressed regret. However, the [Daejeonkyung] of Lee Yang-seop's version (李良燮 本) was evaluated to have finally met the requirements of a sutra by having the essentials necessary for mental cultivation and training, as various oral teachings were attached in the form of lyrics in the latter part. As such, the importance of the scriptures is because they have absolute value and positive influence in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religions based on the scriptures, as well as in the capacity of religious leaders. The Reality of the Daesunjeonkyung (大巡典經) - Lee Yang-seop's Version and Lee Sang-ho's Version
It is certain that the date of completion of the Daesunjeonkyung (大巡典經) by Lee Yang-seop was added to July 1957 by adding 1920.
It is written as '一千九百五十七年 七月二十六日 完筆', but judging from the added date, it is inferred to be 'July 26, 1920', not 'July 26, 1957'.
The reason is that the content of the Lee Yang-seop version, the Lee Sang-ho version, and the two versions are identical. However, in the Lee Yang-seop version, there are many traces of awkward expressions of adverbs and particles in the modifiers, conjunctions, or predicates of sentences that appear in the Lee Yang-seop version, which were arbitrarily changed to make them easier to understand in the Lee Sang-ho version. Therefore, considering the changes in writing style and speech patterns at the time, it is considered that “the Lee Yang-seop version is earlier than the Lee Sang-ho version.” When Mr. Lee Sang-ho published it as a separate printed version, stating it as his own work, he found it inconvenient that ‘since the year of completion in Mr. Lee Yang-seop’s handwritten version was recorded as 1920, the year of completion in his own work was 1929, which was 9 years later, so he added ‘一千九百五十七年 七月二十六日 完筆’, which was later than 1929. Therefore, the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was that the year of writing in the first handwritten version of Lee Yang-seop’s book was ‘July 26, 1920’, not ‘July 26, 1957’.
Human greed took precedence. At the time, theses were not common, so if Lee Sang-ho had stated the source, the Daesun Jeon Gyeong would have been alive, and Lee Yang-seop and Lee Sang-ho would have been alive at the same time. It is evaluated that he played a major role in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Daesunjeonkyung.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its fundamental value has been damaged.
Chairman Kang Hee-jun then emphasized, “While Lee Yang-seop’s Daesunjeonkyung, written in 1920, has eight sutras, Lee Sang-ho’s Daesunkyungjeon, written in 1929, does not have the eight sutras, which are the core sutras of Daesunkyungjeon.”
Numerous ethnic religions have emerged in our country, and if we categorize the new ethnic religions by genealogy, they are largely divided into Donghak, Jeungsan, Dangun, and Shamanism.
The most active new religions are the Jeungsan sects. Jeungsanism, derived from Donghak, was founded by Kang Il-gun (nickname Jeungsan) in 1902 and grew into a sect representing new Korean religio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ent Murayama Ji-jun (村山智順) to eradicate the ethnic religion. In 1938, Korea’s national religions were collectively organized under the “Ordinance to Disband Quasi-Religions,” and a total of 66 religions in five sects were thoroughly suppressed.
When the Donghak Revolution spread like wildfire and advanced toward Hanyang, the Joseon government brought in Japan, a foreign power, to suppress the popular struggle led by General Jeon Bong-jun.
There are no ifs and buts in history, but Joseon should have finished its fate during the Donghak Revolution and a new political system should have been established. The incompetent Joseon government could not stop the Donghak Revolutionary Army with government troops, so they brought in Japan and the Qing Dynasty, a foreign power, and as a result, the Joseon Korean Peninsula became a battlefield for the Sino-Japanese War. Unfortunately, however, the incompetent Gojong regime of Joseon colluded with foreign powers to collapse the national orthodoxy and accelerate the colonial system of Joseon. After that, Japan thoroughly suppressed our traditional religions.
-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Daesunjeonkyung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Jeungsan Church?
▶ On August 15, 1945, Korea was liberated, and the 17 Jeungsan religious groups gathered together to unite the Jeungsan religious group centered around General Yoo Dong-yeol. In 1949, General Yoo Dong-yeol (Chief of Staff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was elected as the Tonggyo, and Mr. Lee Sang-ho, who announced the Daesunjeongyeong in 1929, was appointed as the Vice Tonggyo. The Jeungsan religious group's Tongjeongwon was established in 1949, and the Daesunjeongyeong played a key role.
- What were the activities of the Jeungsan religious group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 When the Daesunjeongyeong lecture march of the traveling group organization across the country began, the Tongjeongwon established by the Jeungsan religious group bound Lee Yang-seop's handwritten copy of the Daesunjeongyeong into a single book in July 1949. Here, in 1948, the things to learn with the true spirit, Cheonsimgyeong, and all the letters that testified to the pain of that era were combined and were given nationwide lecture tours for the purpose of securing believers and evangelizing, but the Korean War broke out and Yoo Dong-yeol was kidnapped to the North, and in 1929, Lee Sang-ho, the vice-leader of Daesunjeonkyung, ended his life as the leader of Jeungsanism until his death in 1967. After that, he suffered the pain of the dissolution of the Jeungsanism Tongjeongwon.
If we dissect the genealogy of the national relig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Korean War, it developed into Donghak-Jeungsanism-Taegeukdo-Daesun Jinrihoe. It is noteworthy that Jeungsanism (Jeungsanism) regards Daesun Jinrihoe as a kind of heresy among heresies that cannot continue the tradition of Gang Jeungsan, but the power of Daesun Jinrihoe surpasses Jeungsanism in the number of believers.
Finally, Chairman Kang Hee-jun said, “Until now, our spiritual world has been dominated by foreign religions such as Buddhism and Christianity, which are recognized as indigenous beliefs. I look forward to the day when the Daesungyeongjeon [大巡典經] by Lee Yang-seop will play a pivotal role in achieving the great integration of our national religions, which have been scattered without a clear central axis until now,” and “I hope that the degree of the later heavenly transformation will open and the great trend of the three thousand year return of the Korean people will arrive.” hpf2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