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기후행동의원 모임 '비상' “덴마크 해상풍력, 입찰부터 계통 연계까지 정부가 책임”

‘비상’, 덴마크 에너지청 부청장 초청 강연 들어

김충열 정치전문기자 | 기사입력 2024/11/28 [14:15]

더불어민주당 기후행동의원모임 ‘비상’(대표 이소영 의원)은 28일, 덴마크 에너지청  부청장 스티 우페 페더슨(Stig Uffe Pedersen)을 초청해 덴마크 해상풍력 확대 사례와 시사점에 대해 듣는 자리를 마련했다. 

 

비상의 대표 이소영 의원은 “덴마크 사례는 적극적인 지원이 재생에너지 확대의 성패를 좌우한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준다”며, “국회에서도 「해상풍력특별법」제정을 통해 정부가 재생에너지 확대에 책임을 다하도록 노력할 것”이라 밝혔다.   © 김충열 정치전문기자

 

덴마크, 해상풍력 6GW까지 정부가 계통 연계 보장, 2030년 총 에너지의 55% 재생에너지 목표

 

덴마크는 현재 약 2.7GW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 용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1GW 규모의 토르(Thor) 해상풍력 단지가 2027년 완공 예정이다. 또한, 최소 6GW에서 최대 10GW 규모까지 설치 가능한 해상풍력단지를 올해 4월 입찰 접수를 시작해 12월 첫째 주 마감을 앞두고 있다. 덴마크는 해상풍력을 적극적으로 확대해 2030년 총에너지 소비의 55% 이상을 재생에너지로부터 얻는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번 강의는 세계적인 재생에너지 선도 국가인 덴마크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 해상풍력 분야에서의 발전 가능성과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페더슨 부청장은 발표를 통해 덴마크의 성공적인 해상풍력 확대를 가능하게 한 핵심 요소를 공유했다.

 

덴마크는 에너지청의 주도 아래 대규모 해상풍력 프로젝트의 인허가 과정을 일괄 지원하는 ‘원스톱숍(one-stop-shop)’ 제도를 도입하여 사업 절차를 간소화하고, 다양한 이해당사자 간의 조율을 통해 개발사의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있다. 또한 입찰부터 계통 연계까지 정부가 책임지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사업 초기 계획 단계부터 계통 접속이 보장되도록 에너지청과 계통운영자(TSO)가 함께 조율해 계획을 세운다. 

 

그럼에도 계통 접속이 어려워질 경우 계통운영자(TSO)가 사업개발사에게 보상하도록 하고 있다. 해상풍력 사업이 낙찰되더라도 이후 인허가 과정은 물론 계통 접속이 보장되지 않는 등 사업 불확실성이 큰 한국의 현실과는 정반대다. 

 

효과적인 해상풍력 확대 정책 덕분에 덴마크에서는 초기 해상풍력 투자를 이끌었던 정부 보조금 없이도 보급할 수 있을 정도로 해상풍력 발전단가가 하락했다. 덴마크 정부의 적극적인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은 관련 산업 발전의 기틀을 마련해 덴마크가 해상풍력 산업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에도 일조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강연을 맡은 페더슨 부청장은 “해상풍력 발전을 위한 한국 정부와 산업계의 노력과 성과가 매우 인상 깊다”며, “한국의 여러 야심 찬 프로젝트들이 입찰 단계에서 실제 운영으로 실현되는 과정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응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내 해상풍력 확대는 답보 상태다. 2030년 해상풍력 보급 목표는 14.3GW지만 2024년 기준 국내 상업 운전 중인 용량은 0.1GW에 불과하다. 정부는 얼마 전 ‘해상풍력 경쟁입찰 로드맵’을 통해 2026년 상반기까지 7~8GW 물량을 입찰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입찰이 완료되더라도 계통 접속이 될 수 있을지 불확실하다. 

 

현재 한전은 계통 부족을 이유로 ‘계통관리변전소’로 지정된 지역의 신규 재생에너지 발전사업허가를 2031년까지 전면 중단한 상황이다. 덴마크의 ‘원스톱숍’ 제도와 유사한 인허가 촉진을 위한「해상풍력특별법」이 21대 국회에서 발의됐으나 임기 만료로 폐기된 바 있고, 22대 국회에서는 이제 막 법안 심의가 시작된 상황이다.

 

비상 “해상풍력 입찰뿐 아니라 계통 연계까지 정부가 책임지는 시스템 마련 필요”

 

‘비상’의 대표를 맡고 있는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소영 의원은 “덴마크 사례는 적극적인 지원이 재생에너지 확대의 성패를 좌우한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준다”며, “국회에서도 「해상풍력특별법」제정을 통해 정부가 재생에너지 확대에 책임을 다하도록 노력할 것”이라 밝혔다. 

 

‘비상’ 간사로 활동하고 있는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박지혜 의원 역시 “해상풍력 확대는 기후위기 해결을 위해 필수적인 만큼 관련된 법 제도를 빠르게 정비해야 한다”며, “정부 또한 2030년 해상풍력 보급 목표 달성을 위한 제반 조치를 빠르게 실시해 해상풍력 확대와 단가 하락을 도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pf21@naver.com

 

*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Emergency “Danish offshore wind power, government is responsible from bidding to grid connection”

Climate Action Lawmakers’ Group ‘Emergency’ invites the Danish Energy Agency’s Deputy Director to a lecture

 

The Democratic Party’s Climate Action Lawmakers’ Group ‘Emergency’ (Representative Lee So-young) invited the Danish Energy Agency’s Deputy Director Stig Uffe Pedersen on the 28th to hear about the Danish offshore wind power expansion case and implications.

 

Denmark, government guarantees grid connection up to 6GW of offshore wind power, aims for 55% renewable energy in total energy by 2030

 

Denmark currently has an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capacity of approximately 2.7GW, and the 1GW Thor offshore wind farm is scheduled for completion in 2027. In addition, bids for offshore wind farms with a minimum of 6GW and a maximum of 10GW will begin in April of this year, with the deadline set for the first week of December. Denmark is actively expanding offshore wind power and plans to obtain more than 55% of its total energy consumption from renewable energy by 2030.

 

This lecture was prepared to explore the development potential and specific implementation plans in the Korean offshore wind power sector based on the experience of Denmark, a world-leading renewable energy country. In his presentation, Deputy Director Pedersen shared the key factors that made Denmark’s successful expansion of offshore wind power possible.

 

Denmark has introduced a ‘one-stop-shop’ system that comprehensively supports the licensing process for large-scale offshore wind power projects under the leadership of the Energy Agency, simplifying business procedures and minimizing risks for developers through coordination among various stakeholders. Another characteristic is that the government is responsible for everything from bidding to grid connection. From the initial planning stage of a project, the Energy Agency and the System Operator (TSO) coordinate and establish a plan to ensure grid connection.

 

However, if grid connection becomes difficult, the System Operator (TSO) compensates the project developer. This is the complete opposite of the reality in Korea, where even if an offshore wind power project is awarded, there is a lot of uncertainty in the business, such as the subsequent licensing process and grid connection not being guaranteed.

 

Thanks to the effective offshore wind power expansion policy, the unit price of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in Denmark has dropped to the point where it can be distributed without the government subsidies that initially led to offshore wind power investment. The Danish government’s active renewable energy expansion policy is evaluated to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related industries, contributing to Denmark’s leap forward as a powerhouse in the offshore wind power industry.

 

Deputy Director Pedersen, who gave the lecture, emphasized, “The efforts and achievements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industry for offshore wind power development are very impressive,” and “I will pay close attention and support the process of many ambitious projects in Korea being realized from the bidding stage to actual operation.”

 

Meanwhile, the expansion of offshore wind power in Korea is at a standstill. The target for offshore wind power distribution in 2030 is 14.3 GW, but as of 2024, the capacity in commercial operation in Korea is only 0.1 GW. The government recently announced through the ‘Offshore Wind Power Competitive Bidding Roadmap’ that it would bid for 7-8 GW by the first half of 2026, but even if the bidding is completed, it is uncertain whether grid connection will be possible.

 

Currently, KEPCO has completely suspended new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business permits in areas designated as ‘grid management substations’ until 2031 due to grid shortages. The ‘Offshore Wind Power Special Act’, which was proposed in the 21st National Assembly to promote licensing similar to Denmark’s ‘one-stop shop’ system, was scrapped due to the expiration of the term, and the 22nd National Assembly has just begun deliberation on the bill.

 

Emergency “We need to establish a system where the government is responsible for not only offshore wind power bidding but also grid connection”

 

Lee So-young, a member of the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ommittee and the representative of ‘Emergency,’ said, “The Danish case clearly shows that active support determines the success or failure of expanding renewable energy,” and added, “The National Assembly will also make efforts to ensure that the government takes responsibility for expanding renewable energy by enacting the ‘Special Act on Offshore Wind Power.’”

 

Park Ji-hye, a member of the Industry, Trade, Resources, Small and Medium Venture Business Committee and the secretary of ‘Emergency,’ also emphasized, “We need to quickly reorganize related laws and systems as offshore wind power expansion is essential to resolving the climate crisis,” and “The government should also quickly implement various measures to achieve the 2030 offshore wind power distribution goal and promote offshore wind power expansion and lower unit prices.” hpf21@naver.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