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우원식 국회의장 "지금이 개헌 적기" 26년 6월까지 국민투표 제안

개헌은 대한민국의 길을 새롭게 열고, 헌법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일

김충열 정치전문기자 | 기사입력 2024/11/28 [10:24]

우원식 국회의장은 27일 오후 국회박물관 대강당에서 열린 대한민국헌정회 주최 '정치선진화를 위한 헌법개정 대토론회'에 참석했다.

 

우원식 의장은 "개헌의 시기와 폭은 모두 열어놓고 합의할 수 있는 만큼 하되, 늦어도 다음 지방선거를 치르는 2026년 6월까지는 국민투표에 부치자"고 제안하면서 "국민중심 개헌안을 잘 만들고, 개헌의 필요성·중요성에 대해 국민들에게 알리는 공론화 작업을 더 열심히 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사진, 국회의장실 제공) © 김충열 정치전문기자

 

이 자리에서 우 의장은 "입법부는 법을 통해 길을 만들고, 행정부는 그 길을 따라 국민이 윤택하게 살 수 있도록 관리하고, 사법부는 그 길을 지켜주는 역할을 하는데, 그 중심이 되는 가장 큰 대로가 바로 헌법"이라며, "개헌은 대한민국의 길을 새롭게 여는 일, 헌법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우 의장은 "‘87년 개헌 이후 우리나라는 식민지를 겪은 나라 중 유일하게 선진국에 진입했다"며, "사회 전 분야에서 큰 변화를 만들어왔지만, 37년 전에 머물러 있는 헌법은 그 변화를 담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우 의장은 이어 "저출생·고령화, 양극화, 지방소멸, 기후위기, 디지털 전환 등 많은 도전이 우리 앞에 있는데, 37년 전에 만들어진 길로는 감당할 수 없다"며, 정치적 갈등 및 균형발전과 관련하여 "권력구조 때문에 생기는 소모적 정쟁으로 국민들의 실망이 크고, 지역 소멸 문제는 저출생·고령화와도 직결되어 있다"면서 개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아울러 "앞으로 2년간 큰 선거가 없는 제22대 국회 전반기야말로 개헌의 적기"라면서, "반드시 개헌을 성사시키기 위해 '국민 미래 개헌자문위'를 출범했지만, 아쉽게도 여당 추천 자문위원들의 자리가 아직 채워지지 않았다"며, "개헌 준비의 시급성으로 개문 발차했지만, 온전한 자문위가 될 수 있도록 문을 열고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우원식 의장은 "개헌의 시기와 폭은 모두 열어놓고 합의할 수 있는 만큼 하되, 늦어도 다음 지방선거를 치르는 2026년 6월까지는 국민투표에 부치자"고 제안하면서 "국민중심 개헌안을 잘 만들고, 개헌의 필요성·중요성에 대해 국민들에게 알리는 공론화 작업을 더 열심히 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정대철 헌정회장 "4년 중임 대통령제, 대통령의 권한 축소, 국회 상원 도입 등 지방분권 강화해야“

 

한편, 정대철 헌정회장은 개회사에서 "국민이 정치를 걱정하는 불행한 나라가 되지 않기 위해 소모적 정쟁을 해소하고 지방분권을 강화해야 한다"며, "4년 중임 대통령제, 대통령의 권한 축소, 국회 상원 도입 등을 담은 헌정회의 개헌안을 국회와 정부에 건의한다"고 밝혔다.

 

토론회는 이시종 헌정회 헌법개정위원의 추진개요 설명, 성낙인 전 서울대총장과 안성호 대전대 석좌교수의 주제발표에 이어 종합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종합토론에는 정종섭 전 서울대 법과대학장, 강원택 서울대 교수, 이기우 인하대 명예교수, 한상희 건국대 교수, 우윤근 제18대국회 법제사법위원장, 이정민 중앙일보 논설주간, 임영서 MBC보도본부 저널리즘 책무실장, 김용균 전 헌법재판소 사무처장이 참여했다.

 

이날 행사에는 정대철 헌정회장, 국민의힘 김승수·박정하 의원, 더불어민주당 전현희·임호선·장종태·박희승 의원,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 김찬동 한국지방자치학회 부회장 등이 함께 했다. hpf21@naver.com

 

*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Speaker Woo Won-shik: "Now is the right time for constitutional revision... 'Let's hold a national referendum by June 26'

Constitutional revision is opening a new path for the Republic of Korea and breathing life into the Constitution" -

 

On the afternoon of the 27th, Speaker Woo Won-shik attended the 'Constitutional Revision for Political Advancement' hosted by the Constitutional Society of the Republic of Korea held in the main auditorium of the National Assembly Museum.

 

At this event, Speaker Woo said, "The legislative branch creates a path through laws, the executive branch manages the path so that the people can live well along the path, and the judiciary plays a role in protecting the path, and the biggest road at the center of all of this is the Constitution," and emphasized, "Constitutional revision is opening a new path for the Republic of Korea and breathing life into the Constitution."

 

Speaker Woo said, "Since the constitutional revision in 1987, our country has become the only country among those that underwent colonial rule to enter the ranks of advanced countries," and added, "We have made great changes in all areas of society, but the Constitution, which has remained stagnant for 37 years, is not able to contain those changes."

 

Speaker Woo continued, "Low birth rate, aging population, polarization, Many challenges such as local extinction, climate crisis, and digital transformation are before us, but we cannot handle them with the path established 37 years ago,” he said, and regarding political conflict and balanced development, “The public is greatly disappointed by the wasteful political strife caused by the power structure, and the problem of local extinction is directly related to low birth rates and aging population,” emphasizing the need for constitutional revision.

 

In addition, he said, “The first half of the 22nd National Assembly, when there will be no major elections for the next two years, is the right time for constitutional revision,” and “We launched the ‘National Future Constitutional Revision Advisory Committee’ to make sure that the constitutional revision is a success, but unfortunately, the positions of the advisory committee members recommended by the ruling party have not yet been filled,” and “We have opened the committee due to the urgency of preparing for the constitutional revision, but we will wait with the committee open so that it can become a complete advisory committee.”

 

Chairman Woo Won-sik suggested, “The timing and scope of the constitutional revision should be open to the extent that an agreement can be reached, but let’s hold a national referendum by June 2026, when the next local elections are held, at the latest.” He promised, "We will work harder to create a constitutional amendment that is centered on the people and to publiciz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to the people." Jeong Dae-cheol, Chairman of the Constitutional Assembly, "We must strengthen local autonomy by implementing a 4-year term presidency, reducing the president's authority, and introducing a National Assembly Senate"

 

Meanwhile, Jeong Dae-cheol, Chairman of the Constitutional Assembly, said in his opening speech, "In order to avoid becoming an unfortunate country where the people worry about politics, we must resolve wasteful political strife and strengthen local autonomy," and "I propose a constitutional amendment bill of the Constitutional Assembly that includes a 4-year term presidency, reducing the president's authority, and introducing a National Assembly Senate to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government."

 

The discussion was held in the following order: an explanation of the outline of the project by Lee Si-jong, a member of the Constitutional Assembly's constitutional amendment committee, a presentation by former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Seong Nak-in and a distinguished professor at Daejeon University Ahn Seong-ho, followed by a general discussion. The general discussion included former Seoul National University Law School Dean Jeong Jong-seop, Seoul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Kang Won-taek, Inha University Professor Emeritus Lee Ki-woo, Konkuk University Professor Han Sang-hee, 18th National Assembly Legislation and Judiciary Committee Chairman Woo Yoon-geun, JoongAng Ilbo Editorial Editor Lee Jeong-min, MBC News Headquarters Journalism Director Lim Yeong-seo, and Kim Yong-gyun. The former head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fice participated.

 

The event was attended by Jeong Dae-cheol, chairma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Kim Seung-soo and Park Jeong-ha, members of the People Power Party, Jeon Hyeon-hee, Lim Ho-seon, Jang Jong-tae, and Park Hee-seung, members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Kim Gwan-young, governor of North Jeolla Province, and Kim Chan-dong, vice president of the Korean Local Government Association. hpf21@naver.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