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잌크뉴스인천 박상도 기자) 내년 3 월부터 AIDT(AI 디지털교과서 ) 가 도입 예정인 가운데 , 학교 현장은 디바이스 수량 , 성능 , 인터넷 속도 , 지원인력 배치 등 인프라가 미비하고 지역별 격차도 천차만별인데 정부 대책은 안일하다는 지적이 국회에서 제기됐다 .
국회 교육위원회 백승아 의원 ( 더불어민주당 ) 이 공개한 “2025 년 AIDT 대상학년 ( 학교 ) 디지털 인프라 1 차 진단결과 ” 에 따르면 , 전체 진단대상 학교 12,090 교 중 무선속도 1 차 점검이 완료된 학교는 5,459 교 (45.2%) 이고 이중 무선속도 개선이 필요한 학교는 1,452 교 (26.6%) 였다.
1,300 개 학교는 교실의 무선 AP 에서 적정 대역폭이 확보되도록 조치가 필요 , 152 개교는 최신 AP(WiFi6 지원 ) 로 교체해야 하는 상황이다 .
디바이스 수량의 경우 1 차 점검완료 6,749 교 중 아직 디바이스 보급이 되지 않은 학교가 1,720 교 (25.5%) 였고 , 내년 2 월까지 보급될 예정이다.
디바이스 성능의 경우 1 차 점검완료 6,792 교 중 155 교 (2.3%) 가 개선이 필요했다.
해당 학교에서는 터치불량 , 액정잔상 , MDM 설치 오류 , 배터리 고장 , 부팅불가 등의 문제점이 확인됐다.
충전보관함의 경우 1 차 점검완료 6,792 교 중 보급이 필요한 학교는 564 교 (8.3%) 였고 , 충전함 일부포트 고장학교 (4 개교 ) 를 제외한 560 개교는 충전보관함이 부족한 실정이다 .
한편 인프라 점검이 완료되면 디바이스 보급 , 교체 , 성능 및 속도개선이 필요한 학교 수는 더 늘어날 전망이며 , 교육부 관계자는 “ 디바이스 , 무선속도 등을 종합 점검 및 개선하여 내년 AIDT 활용에 문제없도록 조치할 계획 ” 이라고 밝혔다 .
진단 현황 및 결과는 시도교육청별로 천차만별이었다.
디바이스 수량의 경우 전국 17 개 시도교육청 중 9 개 지역만이 진단 완료됐다.
서울은 진단대상 1,338 교 모두 진단 완료됐으며 이중 435 교 (32.5%) 에만 디바이스가 보급됐고 , 나머지 903 교 (67.5%) 는 아직 제대로 디바이스 보급이 되지 않았다 .
강원지역 573 개교 가운데 102 개교 (17.8%) 에서 디바이스 성능개선이 필요한 상태이고 , 경남 1,001 개교 중 419 개교 (41.9%) 가 충전보관함 보급이 필요했다.
무선속도 또한 대전 307 교 중 190 교 (61.9%), 인천 514 교 중 268 교 (52.1%), 강원 573 교 중 279 교 (48.7%), 경남 1,001 교 중 374 교 (37.4%) 등에서 개선이 필요했다 .
학교 인프라 관리 진단결과에서도 시도별 온도차는 뚜렷했다.
서울 등 8 개 지역이 학교 인프라 관리 인력 조사를 마무리한 가운데 , 부산 628 교 중 625 교 (99.5%), 경기 2,558 교 중 2,444 교 (95.5%), 제주 192 교 중 177 교 (92.2%) 가 진행 중이고, 충남과 전남은 완료된 곳이 한 곳도 없었다.
또한 서울이 전체 진단대상 1,338 교 중 1,274 교 (95.2%) 에 디지털 튜터 등 지원 인력을 배치한 반면에 , 경남은 1,001 교 중 38 교 (3.8%), 인천 514 교 중 27 교 (5.3%), 강원 649 교 중 59 교 (9.1%), 전북 765 교 중 180 교 (23.5%) 배치에 그쳤다 .
교사노조연맹 ( 김용서 위원장 ) 은 “ 지난 3 월 교사노조연맹이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 디지털 기반 교육 ’ 을 위해 정부가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을 묻는 질문에 현장 교사들은 1 순위로 ‘ 디지털 인프라 확충 ( 교실 환경 조성 및 무선망 구축 )’ 을 꼽았다.
학교 디지털 기반 교육 혁신의 가장 큰 장애물로는 현장 교사 74.3% 가 ‘ 디지털 기기 유지 , 보수 , 관리의 어려움 ( 관리 인력 부재 )’ 을 꼽았다.
백승아 의원실에서 제공한 학교 인프라 진단결과대로라면 , AI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이 오히려 교사들을 교육에 집중할 수 없게 만드는 것은 아닌지 크게 우려된다.
교육부는 학교 현장 교사들과의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을 통해 정책을 함께 만들고 , 교사들에게 과도하게 부여되고 있는 업무와 책임부터 정상화하기 바란다 .” 고 밝혔다 .
백승아 의원은 “ 교육부의 AI 디지털교과서 부실 도입은 교육혁명이 아니라 교육대란이 우려된다 ” 며 “ 교육적 효과 연구와 사회적 합의를 비롯해 법적 근거 , 교과서 제작 및 보급 , 교원 연수 , 인프라 구축 등 모든 준비가 미흡하다 ” 고 비판했다 .
이어 “ 현재 실태조사 결과 , 인프라 관리 부문에서 교원 업무 경감을 위해 교원 외 추가 인력이 배정된 학교는 53.1% 에 불과해 교사들이 본연의 교육 활동에 집중하게 되기는커녕 인프라 관리까지 떠맡게 될 상황 ” 이라며 “AI 디지털교과서 사업에 대한 교육계의 불만과 분노는 계속 커지고 있기 때문에 전면 재검토를 촉구한다 ” 고 밝혔다 .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번역'으로 번역한 영문기사의 [전문]입니다.‘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trying to improve comprehension.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Rep. Baek Seung-ah. Federation of Korean Teachers' Unions, AI Digital Textbook Infrastructure Diagnosis Results Insufficient, Large Gap by Province..,
-Break News Incheon Park Sang-do reporter
With AIDT (AI Digital Textbook) scheduled to be introduced starting in March next year, schools are lacking in infrastructure such as the number of devices, performance, internet speed, and support staff placement, and the gap by region is also very different, and the government's response has been criticized as being complacent in the National Assembly.
According to the “2025 AIDT Target Grade (School) Digital Infrastructure 1st Diagnosis Results” released by Rep. Baek Seung-ah (Democratic Party) of the National Assembly Education Committee, out of 12,090 schools subject to the diagnosis, 5,459 schools (45.2%) completed the first wireless speed inspection, and 1,452 schools (26.6%) needed to improve the wireless speed.
1,300 schools need to take measures to ensure adequate bandwidth in classroom wireless APs, and 152 schools need to replace their APs with the latest ones (supporting WiFi 6).
In terms of the number of devices, out of 6,749 schools that completed the first inspection, 1,720 schools (25.5%) have not yet received devices, and they are scheduled to be distributed by February next year.
In terms of device performance, 155 schools (2.3%) out of 6,792 schools that completed the first inspection needed improvement.
The schools in question were found to have problems such as poor touch, LCD afterimages, MDM installation errors, battery failures, and failure to boot.
In terms of charging storage boxes, 564 schools (8.3%) out of 6,792 schools that completed the first inspection needed to be supplied, and 560 schools, excluding schools with malfunctioning charging ports (4 schools), are lacking charging storage boxes.
Meanwhile, once the infrastructure inspection is completed, the number of schools that need device supply, replacement, performance, and speed improvements is expected to increase, and an official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stated, “We plan to comprehensively inspect and improve devices, wireless speeds, etc. to ensure that there are no problems in utilizing AIDT next year.”
The diagnosis status and results varied greatly by provincial and municipal offices of education.
In terms of the number of devices, only 9 out of 17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nationwide have completed the diagnosis.
In Seoul, all 1,338 schools subject to diagnosis have been diagnosed, but only 435 schools (32.5%) have been supplied with devices, and the remaining 903 schools (67.5%) have not yet been properly supplied with devices.
Out of 573 schools in Gangwon Province, 102 schools (17.8%) need device performance improvement, and out of 1,001 schools in Gyeongnam Province, 419 schools (41.9%) need charging storage boxes.
Wireless speed also needed improvement in 190 out of 307 schools in Daejeon (61.9%), 268 out of 514 schools in Incheon (52.1%), 279 out of 573 schools in Gangwon (48.7%), and 374 out of 1,001 schools in Gyeongnam (37.4%).
The temperature difference by city and province was also evident in the results of the school infrastructure management diagnosis.
While 8 regions including Seoul have completed the school infrastructure management personnel survey, 625 out of 628 schools in Busan (99.5%), 2,444 out of 2,558 schools in Gyeonggi (95.5%), and 177 out of 192 schools in Jeju (92.2%) are in progress, while none of Chungnam and Jeonnam have completed it.
In addition, while Seoul deployed support personnel such as digital tutors to 1,274 out of 1,338 schools (95.2%), Gyeongnam deployed them to 38 out of 1,001 schools (3.8%), Incheon deployed them to 27 out of 514 schools (5.3%), Gangwon deployed them to 59 out of 649 schools (9.1%), and Jeonbuk deployed them to 180 out of 765 schools (23.5%).
The Korean Federation of Teachers' Unions (Chairman Yongseo Kim) said, "In a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n Federation of Teachers' Unions in March, when asked what the government should do first for 'digital-based education', teachers in the field chose 'expanding digital infrastructure (creating classroom environments and establishing wireless networks)' as the top priority.
The biggest obstacle to digital-based education innovation in schools was cited by 74.3% of field teachers as ‘difficulty in maintaining, repairing, and managing digital devices (lack of management personnel)’.
According to the school infrastructure diagnosis results provided by Rep. Baek Seung-ah’s office, there is great concern that the introduction of AI digital textbooks may actually prevent teachers from focusing on edu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continue to communicate and cooperate with teachers in the field to create policies together and normalize the excessive tasks and responsibilities given to teachers.”
Rep. Baek Seung-ah criticized, “The Ministry of Education’s poor introduction of AI digital textbooks is not an educational revolution, but rather an educational disaster,” and “All preparations, including educational effectiveness research and social consensus, legal basis, textbook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eacher training, and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re insufficient.”
He continued, “According to the current survey results, only 53.1% of schools have assigned additional personnel other than teachers to reduce teachers’ workload in the infrastructure management sector. This means that teachers are not only unable to focus on their original educational activities, but are also taking on the burden of infrastructure management,” and “The education community’s dissatisfaction and anger toward the AI digital textbook project continues to grow, so we urge a comprehensive review.”
원본 기사 보기:ebreak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