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드의 역사는 무아위야 왕조의 시대로 접어든다. 661년 무아위야 이븐 아부 수프얀(Muawiyah ibn Abn Sufyan : 661~680)이 칼리프에 즉위하면서 라시둔 칼리프(Al-khulafa‘ Al-rashidun) 시대는 끝나고 우마이야 왕조(Umayyah Dynasty : 661~750) 시대가 개막되었다. 그러나 시아파 입장에서 우마이야 왕조 칼리프들은 공동체의 정당한 지도자인 알리와 그 아들로부터 칼리프 지위를 찬탈하고 그 후손들을 살해하거나 박해한 패덕자이며 이슬람의 정통적 가르침을 거부하고 타락시킨 폭군으로 인식되었다. 수니파의 입장에서 보더라도 우마이야 칼리프들은 찬탈자나 폭군은 아니라 해도 그들의 목적과 방법은 세속적이고 비(非) 종교적이었다.
따라서 무아위야에게는 정치적, 종교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일이 급선무였다. 그는 제국의 체제를 이슬람의 신정제(神政制)에서 아라비아 부족의 세습적인 신분제를 기반에 둔 군주제로 변환하는 것에서 문제의 해결책을 찾았다. 그는 자신의 모든 정치적 수완을 동원해서 계승이 이루어질 때 충성의 맹세를 표해야 한다는 규칙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자신의 아들 야지드(Yazid)를 왕위 계승자로 인정하도록 제국의 지도세력들을 설득했다. 그러한 방법을 통해 그는 타협안을 마련했다. 이론적으로 선거인들의 의사는 존중되었다. 그들이 지배 군주가 지명한 계승자를 거부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로 거부할 수 있었던 사람은 4~5명뿐이었다. 이것은 사실상 선거제도의 폐지를 의미했다.
그리고 이제는 국가 원수가 제국의 지배자로서 자신의 위치를 자각하고 동료 신앙인들과 정복된 민족들 모두에게 단호하게 칼리프의 중요성을 깨닫게 해야 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나간 시절의 단순한 생활과 온정주의적 방법을 버리고 자신과 사람들 사이에 거리를 두어야 했다. 그는 자신의 주위를 조정의 신하들로 둘러싸고, 의례상의 관례를 제도화했으며, 경호원들의 보호를 받으며 후투바(Hutuba)에 모습을 드러내고, 화려한 행렬을 연출했다. 그러나 이러한 무아위야와 우마이야 왕조에 반기를 들며 게릴라 전법을 사용하는 시아파의 무리들을 두고 지하드의 시작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조직들은 자신들 스스로를 ‘지하디스트(Jhadist)’ 라 지칭하고 있다. 이는 지하드를 수행하는 사람이라는 뜻인데, 지하드는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꾸란에서는 성전(Holy war)을 의미하고 있다. 알라의 뜻에 따라 성스러운 전쟁을 치르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이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원래 꾸란에서 말하는 성전이란 두 가지의 뜻이 있다고 주장한다. 첫째는 자기 수양으로 자기 자신을 다스리며 내부의 적인 악(惡)과 벌이는 내면의 전투를 말한다. 이는 종교에서 말하는 자기성찰의 과제로 자신과의 전쟁으로 인하여 진정한 이맘이 되는 것을 말하고 있다. 그리고 두 번째가 이교도와의 전투로 대부분의 지하드를 이러한 외부적 전투로 오인하고 있다.
『이슬람은 그렇게 말하지 않았다』를 저술한 서정민은 “자신과의 싸움을 ‘대(大) 지하드’, 이교도와의 전투를 ‘소(小) 지하드’ 라고 한다.” 라며 “정신과 언행으로 보여주는 지하드가 더 큰 의미를 갖는다.” 고 하였다. 특히 전투를 뜻하는 소(小) 지하드의 경우도 “저들이 먼저 너희들에게 싸움을 걸어온다면 살해하라. 이것이 신앙을 억압하는 저들의 대가” 라는 뜻이라고 하였다. 이는 먼저 공격하여 이교도들을 무력으로 공격해 개종시키거나 살해하는 것이 아니라, 침입을 받을 경우에만 최소한의 방어적 수단으로 무력을 사용하라는 뜻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꾸란에 기록된 지하드는 시간이 흐르며 변질되었다. 성전의 개념을 보다 공격적이고 과격하게 해석한 자들이 나타난 것으로 이는 이슬람 국가가 유럽의 십자군 공격을 받아 많은 전사자들을 내었고 결국 몽골의 침략을 받아 멸망하면서, 이슬람 사회에서는 “공격적인 지하드가 신자의 의무(Aggressive Jihad is the duty of believers).” 라는 개념이 생성되었다. 이러한 생각을 가장 확고하게 이론으로 정리하여 전파시킨 인물이 이집트의 사이드 쿠틉(Sayyid Qutb, 1906~1966)이다. 시인이자 문학 장학생이었던 사이드 쿠틉은 정부 장학금으로 미국에서 유학생활을 했지만 귀국하여 서구 문명을 전파할 것으로 기대했던 정부의 예상과는 달리 그는 서구 · 세속주의에 환멸을 느끼고 귀국하였다.
이슬람 과격주의의 이론을 세운 사이드 쿠틉은 이집트로 돌아왔고 이집트가 영국의 식민지로 전락한 이후 많은 이슬람 국가들이 서방 국가들에게 침탈당한 것은 이슬람 본연의 의무를 다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슬람이 아닌 모든 곳을 이슬람의 힘으로 해방시켜야 할 대상으로 보고 무력을 통한 성전을 최고의 종교적 행위(For that all non-Muslims should be liberated by the power of Islam, the temple through force is the best religious activity)”라고 주장하는 등 종교적인 부분을 더 부각시킴으로써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을 선동했다.
본래 꾸란에서는 이슬람의 지도자인 칼리프만이 성전의 개시를 선포할 수 있지만, 쿠틉은 ‘가만히 있는 것(Stay of still)’ 자체를 죄악으로 판단했기 때문에 누구나 필요에 따라 성전을 수행할 수 있다고 설파했다. 이는 ‘무한 지하드의 시대(The Age of Infinite Jihad)’ 를 개명(開名)한 것이었다. 쿠틉은 1966년 대통령 암살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당하였지만 그러나 그의 지하드의 관념에 대한 생각은「진리를 향한 이정표(A milestone toward truth)」등 옥중에서 남긴 글을 통해 ‘금서(Banned book)’ 가 되어 더 은밀하면서 광범위하게 분포되었다. 이러한 쿠틉의 이론은 이후 모든 이슬람 과격주의자들에게 무자비한 테러를 일으키는 근본 논리이자 명분이 되었다.
또한「지하디스트의 여정(Journey of the Jihadist)」을 서술한 레바논 출신 미국인인 저널리스트 파와즈 게르게스(Hawas Gerges)는 “과거 이슬람의 지하드가 가까운 적, 내부의 적과의 싸움이었다면 과격주의가 거세지면서 점점 더 멀리 있는 적, 가장 큰 적과 싸워야 한다는 프레임이 형성됐다(In the past, if Islamic jihad had been a close enemy, a fight against the enemy inside, radicalism was formed and a frame was formed to fight the enemies).”고 분석했다.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History of Islamic Extremist Jihad
Columnist Gil-seon Jeong
The history of jihad begins with the era of the Muawiyah dynasty. When Muawiyah ibn Abn Sufyan (661~680) ascended to the caliphate in 661, the era of the Rashidun Caliphate (Al-khulafa‘ Al-rashidun) ended and the era of the Umayyad Dynasty (661~750) began. However, from the Shiite perspective, the Umayyad caliphs were perceived as tyrants who usurped the caliphate from the rightful leaders of the community, Ali and his son, and killed or persecuted their descendants, and as tyrants who rejected and corrupted the orthodox teachings of Islam. From the Sunni perspective, even though the Umayyad caliphs were not usurpers or tyrants, their goals and methods were secular and non-religious.
Therefore, securing political and religious legitimacy was a top priority for Muawiyah. He found a solution to the problem in transforming the imperial system from an Islamic theocracy to a monarchy based on the hereditary caste system of the Arabian tribes. He used all his political skills to persuade the imperial leaders to recognize his son Yazid as the heir to the throne without compromising the rule that allegiance had to be sworn in when the succession was made. In this way, he achieved a compromise. In theory, the will of the electors was respected, because they could reject the successor nominated by the ruling monarch. In practice, however, only four or five could reject him. This meant, in effect, the abolition of the electoral system. And now the head of state had to realize his position as the ruler of the empire and make both his fellow believers and the conquered peoples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caliphate. To do this, he had to abandon the simple life and paternalistic methods of the past and distance himself from the people. He surrounded himself with courtiers, institutionalized ceremonial practices, and was protected by bodyguards, appeared in Hutuba, and staged magnificent processions. However, it is reasonable to view these groups of Shiites who rebelled against Muawiyah and the Umayyad dynasty and used guerrilla warfare as the beginning of jihad.
These Islamic extremist armed groups call themselves ‘jihadists’. This means a person who carries out jihad, and jihad means holy war in the Quran as mentioned above.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person who wages a holy war according to the will of Allah. However, scholars who study this claim that the original meaning of jihad in the Quran is twofold. First, it refers to the inner battle that one wages against evil, the enemy within, by disciplining oneself. This refers to the task of self-reflection in religion, and it refers to becoming a true imam through war with oneself. And the second is the battle against the infidels, and most people mistake this external battle for jihad.
Seo Jeong-min, who wrote “Islam Didn’t Say That,” said, “The battle against oneself is called ‘great jihad,’ and the battle against the infidels is called ‘small jihad.’” He added, “Jihad shown through spirit and words has a greater meaning.” In particular, he said that the small jihad, which means battle, means, “If they come to fight you first, kill them. This is the price they pay for suppressing faith.” This should be understood as meaning that, rather than attacking first and converting or killing the infidels with force, force should be used only as a minimum defensive measure when invaded.
However, the jihad recorded in the Quran has changed over time. Those who interpreted the concept of holy war more aggressively and radically emerged, as Islamic countries suffered many casualties from the attacks of European crusaders and were eventually invaded by the Mongols, and as a result, the concept of “aggressive jihad is the duty of believers” was created in Islamic society. The person who most firmly organized and spread this idea into a theory was Egypt’s Sayyid Qutb (1906-1966). Sayyid Qutb, a poet and literature scholarship student, studied abroad in the United States on a government scholarship, but contrary to the government’s expectations that he would return to his country and spread Western civilization, he became disillusioned with the West and secularism and returned home.
Sayyid Qutb, who established the theory of Islamic radicalism, returned to Egypt and argued that many Islamic countries were invaded by Western countries after Egypt became a British colony because they did not fulfill their original duty to Islam. He incited Islamic fundamentalists by emphasizing the religious aspect, such as claiming that “all non-Muslims should be liberated by the power of Islam, the temple through force is the best religious activity.” Originally, in the Quran, only the caliph, the leader of Islam, could declare the start of a holy war, but Qutb considered “staying still” itself a sin, so he preached that anyone could carry out a holy war if necessary. This was a renaming of “The Age of Infinite Jihad.” Qutb was executed in 1966 for his involvement in the assassination of the president, but his ideas on the concept of jihad were distributed more secretly and widely through his writings from prison, such as “A milestone toward truth,” which became a “banned book.” This theory of Qutb has since become the fundamental logic and justification for all Islamic radicals to carry out merciless terrorism.
Also, Lebanese-American journalist Hawas Gerges, who wrote “Journey of the Jihadist,” analyzed that “In the past, if Islamic jihad had been a close enemy, a fight against the enemy inside, radicalism was formed and a frame was formed to fight the enem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