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애 시인의 시집 “믿음의 유산”이 출간(출판사=휴먼 앤북스)됐다.
조정애 시인의 시집을 소개하는 보도자료는 “보이는 것만이 다가 아니다. 보이지 않은 곳에 인간의 더 중요한 무엇이 있다. 조정애 시인은 서문에서 “우리가 지상에서 나누는/보이지 않는 사랑은/단풍이 되어 날리고/눈 자락에 덮여도/믿음의 유산이여/다시 이 땅에/새봄으로 부활 하소서”라고 노래한다. 그런 ‘믿음의 유산’ 없이 우리의 삶이란 한시도 가능하지 않다“고 소개한다.
이 자료에 따르면 “조정애 시인의 『믿음의 유산』은 『일출보다 큰 사랑』, 『화산석』에 이은 또 하나의 역작 시집이다. 이 시집에서 시인은 삶의 현장 속에서 맞닥뜨릴 수밖에 없는 여러 절망을 믿음의 힘으로 극복하면서 삶의 평정심을 찾아가는 과정을 노래한다. 아무리 ‘불확실성의 바람이’ 불어와도 시인은 “고요히 무의식의 원천을 더듬고/ 너의 믿음의 꽃 하나를/내게 피워 올’리는 확신을 가지고 있다.”면서 “그게 바로 시인의 삶을 지탱하는 ‘믿음의 유산’이다. 이 유산이 있는 시인은 이제 흔들리지 않는다. 어떤 몹쓸 바람이 불어와도 단단해진 시인의 집에는 찬바람이 들어갈 공간이 없다. 믿음의 유산이 있기에 이제 시인의 집은 환희와 희열이 가득하다. 이 시집은 전체적으로 그런 뉘앙스가 가득하다”고 전한다.
아래는 출판사측의 리뷰 내용이다.
“조정애 시인의 시집 『화산석』에서 문학평론가 하응백은 다음과 같이 썼다. 조정애 시인은 4살 때 아버지를 불의의 사고로 잃었다. 초춘호라는 여수와 부산을 오가던 여객선 침몰 사고였다. 성장한 후 시인은 결혼하지만 행복은 잠시. 남편은 정치병에 빠졌다가 경제적으로 현명하지 못해 4번의 부도를 낸다. 1남 2녀의 아이를 키우면서 같은 남자와 두 번의 결혼과 두 번의 이혼… 하지만 조정애를 삶의 긍정으로 이끈 것은 시에 대한 열정이다.
조정애 시인은 시인의 말에서 이렇게 말한다. “나는 유복하지 못하고 불우했으며 희망보다는 대개 절망 쪽에 서 있었다. 그러나 나는 끝내 시인으로 다시 태어났다. 시쳇말로 무에서 유를 창조했다. 빈 상자 같은 일상 속에서 끊임없이 빛나는 보석을 꺼낼 수 있게 됐다. 세상에 한 줌의 빛을 보탤 만한 시를 남길 수도 있다고 생각하기에 이르렀다. 결국 이 시집은 ‘실패자의 부활’을 위해 태어난 셈이다. 내가 비틀거릴 때 나를 부축해 준 건 시작(詩作)에 대한 뜨거운 욕망과 열정이었다. 나는 증류수처럼 내 삶에 맺혀 있는 아름다운 ‘시 떨기’를 세상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었다.” 그렇다. 시인은 삶의 곤궁함을 인내하는 방법으로 세상과 소통하는 방식으로 시를 택했다. 시인의 운명적인 트라우마는 ‘시 떨기’로 승화되어, 삶을 살아가는 동력으로 변신했다.
이 시집 『믿음의 유산』도 그 연장선에 있다. 다만 이전 시집에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이 매우 짙게 나타난다면,이번 시집은 그 그리움마저 시적으로 승화되어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보이는 것만이 다가 아니다. 보이지 않은 곳에 인간의 더 중요한 무엇이 있다. 조정애 시인은 서문에서 “우리가 지상에서 나누는/보이지 않는 사랑은/단풍이 되어 날리고/눈자락에 덮혀도/믿음의 유산이여/다시 이 땅에/새봄으로 부활하소서”라고 노래한다. 그런 ‘믿음의 유산’ 없이 우리의 삶이란 한시도 가능하지 않다. 조정애 시인의 『믿음의 유산』은 『일출보다 큰 사랑』, 『화산석』에 이은 또 하나의 역작 시집이다. 이 시집에서 시인은 삶의 현장 속에서 맞닥뜨릴 수밖에 없는 여러 절망을 믿음의 힘으로 극복하면서 삶의 평정심을 찾아 가는 과정을 노래한다. 아무리 ‘불확실성의 바람이’ 불어와도 시인은 “고요히 무의식의 원천을 더덤고/ 너의믿음의 꽃 하나를/내게 피워 올’리는 확신을 가지고 있다. 그게 바로 시인의 삶을 지탱하는 ‘믿음의 유산’이다.
이 유산이 있는 시인은 이제 흔들리지 않는다. 어떤 몹쓸 바람이 불어와도 단단해진 시인의 집에는 찬바람이 들어갈 공간이 없다. 믿음의 유산이 있기에 이제 시인의 집은 환희와 희열이 가득하다. 이 시집은 전체적으로 그런 뉘앙스가 가득하다.“
*조정애 시인의 시집 “민음의 유산” 추천사
-맹문재(문학평론가·안양대 교수)
조정애 시인은 초춘호(初春號) 침몰 사고라는 역사적인 시간을 현재의 시간과 연결하는 시 세계를 추구하고 있다. 시는 음악과 마찬가지로 본질적으로 시간 속에서 일어나는 행동을 주로 다룬다. 따라서 그림, 조각, 건축 등은 본질적으로 공간예술에 속하는 주제를 나타내는데 비해, 시는 조정애의 작품들에서 볼 수 있듯이 시간 예술에 존재하는 주제를 추구한다.
조정애 시인의 시 세계를 이해하는 데는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가 제시한 대뇌반구(大腦半球)의 환상선(loop-line)을 참고할 수 있다. 시가 일반적 혹은 보편적 능력을 획득하게 되는 것은 바로 먼 기억과 생각의 환상선을 통해서이기 때문이다. 곧 이성적인 삶이 감각적인 삶으로 편입되면서 신경의 보고가 일관성 있고 편적이며 인간적인 의미를 지닌 사상과 사고로 변형되는 것이다.
이미지스트들이 입증하듯 환상선을 활용하지 않고도 특정한 유형의 시를 쓰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것은 시각, 청각 또는 촉각 이미지의 보고일 뿐이다. 이미지스트들은 기억이라는 낡은 문을 닫음으로써 감각 경험의 새로운 문들을 열어주는 놀라운 솜씨를 발휘했지만, 근본적인 결함은 보편적인 사상이 결핍된 것이다.
윌리엄 제임스는 현재의 감각적 충동으로부터 행동하는 저급한 신경중추만이 아니라 숙고를 통해 행동하는 인간 두뇌의 반구들을 재현하기 위해 활용했다. 숙고는 과거의 경험으로부터 구성된 이미지들이며, 느끼고 목격한 바 있는 것들을 재생산하는 것이다.
조정애 시인은 어떤 인물?
부산 출생이다. 부산여고를 졸업하고 동아대 가정학과를 수료했다. 1990년 『문학공간』으로 등단했다. 시집 『내가 만든 허수아비』, 『푸른 눈빛의 새벽』, 『슬픔에도 언니가 있다』, 『일출보다 큰 사랑』, 『화산석』, 산문집 『딸들아 세상을 아느냐』, 『이렇게 좋은 날에』 등이 있다. 세종문화회관 사랑방시낭송회 회장(50회)과 인사동시가모 부회장을 역임했다. 유네스코 세계 시의 날 행사 및 문화일보시낭송회(9회)를 주관했다.
한국문인협회, 한국작가회의, 한국시인협회, 국제펜한국본부 회원이며, 한국여성문학인회, 강남문인협회 이사다. 대한민국 임시정부기념사업회 회원, 아프리카글로벌비전 홍보대사, 외교신문 칼럼니스트이다. 마포구청장상, 서울특별시장상(1981), 대통령상(1982), 〈문학공간상〉(1994), 〈서울문예상〉(1999)을 수상했다.
Poet Jo Jeong-ae, Poetry Collection “Minum’s Legacy” Published
- Reporter Park Jeong-dae
Poet Jo Jeong-ae’s poetry collection “Minum’s Legacy” has been published (published by Human & Books).
Below is the publisher’s review.
“In Poet Jo Jeong-ae’s poetry collection “Volcanic Rock,” literary critic Ha Eung-baek wrote the following. Poet Jo Jeong-ae lost her father in an unexpected accident when she was four years old. It was the sinking of a passenger ship called Cho Chun-ho that traveled between Yeosu and Busan. After growing up, the poet got married, but her happiness was short-lived. Her husband fell into political addiction and was financially unwise, causing him to go bankrupt four times. While raising one son and two daughters, she married the same man twice and divorced him twice… However, what led Jo Jeong-ae to a positive outlook on life was her passion for poetry.
Poet Jo Jeong-ae says this in her poet’s note: “I was not wealthy and was unfortunate, and I usually stood on the side of despair rather than hope. However, I was eventually reborn as a poet. In the vernacular, I created something out of nothing. I was able to constantly take out shining jewels from my empty daily life. I came to think that I could leave behind a poem that could add a handful of light to the world. In the end, this poetry collection was born for the ‘resurrection of the loser.’ What supported me when I stumbled was my burning desire and passion for poetry. I wanted to share the beautiful ‘poetry trembling’ that was tied to my life like distilled water with the world.” Yes, the poet chose poetry as a way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as a way to endure the hardships of life. The poet’s fateful trauma was sublimated into ‘poetry trembling’ and transformed into the driving force for living life.
This poetry collection, ‘The Legacy of Faith,’ is also an extension of that. However, while the longing for his father was very strong in his previous poetry collection, it is noteworthy that even that longing is poetically sublimated in this poetry collection. What is visible is not everything. There is something more important about humans in places that are not visible. Poet Jo Jeong-ae sings in the preface, “The invisible love we share on earth/Flies like autumn leaves/And is covered with snow/Legacy of faith/Resurrect in this land/Into spring again.” Without such a ‘legacy of faith,’ our lives are not possible even for a moment. Poet Jo Jeong-ae’s ‘Legacy of Faith’ is another masterpiece of poetry following ‘Love Greater than Sunrise’ and ‘Volcanic Stone.’ In this poetry collection, the poet sings about the process of finding peace in life while overcoming the despair that we inevitably face in life with the power of faith. No matter how much the ‘wind of uncertainty’ blows, the poet has the conviction to “quietly pour out the source of the unconscious/And bring a flower of your faith/To bloom for me.” That is the ‘legacy of faith’ that supports the poet’s life. A poet with this legacy is no longer shaken. No matter how strong the wind blows, there is no room for cold wind to enter the poet’s sturdy house. Because of the legacy of faith, the poet’s house is now filled with joy and delight. This poetry collection is full of such nuances throughout.”
*Recommendation for Poet Jo Jeong-ae’s poetry collection “Minum’s Legacy”
- Maeng Moon-jae (Literary Critic, Anyang University Professor)
Poet Jo Jeong-ae pursues a world of poetry that connects the historical time of the sinking of the Chochunho (初春號) with the present time. Poetry, like music, primarily deals with actions that occur in time. Therefore, while paintings, sculptures, and architecture essentially represent themes that belong to spatial art, poetry pursues themes that exist in temporal art, as can be seen in Jo Jeong-ae’s works. To understand the world of poet Jo Jeong-ae’s poetry, we can refer to the loop-line of the cerebral hemisphere proposed by William James. Poetry acquires general or universal abilities precisely through the loop-line of distant memories and thoughts. Soon, as rational life is incorporated into sensory life, the reports of the nerves are transformed into thoughts and ideas that are consistent, convenient, and have human meaning. As the Imagists have proven, it is possible to write a certain type of poetry without using fantasy lines, but it is only a report of visual, auditory, or tactile images. The Imagists have shown amazing skill in opening new doors of sensory experience by closing the old doors of memory, but the fundamental flaw is the lack of universal ideas. William James used not only the low-level nerve centers that act from present sensory impulses, but also the hemispheres of the human brain that act through reflection. Reflection is images formed from past experiences, and it reproduces things that have been felt and witnessed.
Who is poet Jo Jeong-ae?
She was born in Busan. She graduated from Busan Girls’ High School and graduated from Dong-A University’s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She made her literary debut in 1990 with Literary Space. Poetry collections include 『The Scarecrow I Made』, 『The Dawn of Blue Eyes』, 『There is an Older Sister Even in Sorrow』, 『Love Greater than Sunrise』, 『Volcanic Stone』, and prose collections 『Daughters, Do You Know the World?』, 『On Such a Good Day』. She served as the president of the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Sarangbang Poetry Recitation Society (50th session) and vice president of the Insadong Poetry Society. She hosted the UNESCO World Poetry Day event and the Munhwa Ilbo Poetry Recitation Society (9th session). She is a member of 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the Korean Poets Association, and the International PEN Korea Headquarters, and is a director of the Korean Women’s Literature Association and the Gangnam Writers Association. She is a member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Memorial Association, an ambassador for the Africa Global Vision, and a columnist for the Diplomatic Newspaper. She received the Mapo-gu Mayor’s Award, the Seoul Mayor’s Award (1981), the Presidential Award (1982), the Literary Space Award (1994), and the Seoul Literary Award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