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11월 24일은 터키의 스승의 날 & 아타튀르크의 날

정길선 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24/11/25 [02:22]

▲ 정길선 박사     ©브레이크뉴스

터키 스승의 날은 아타튀르크 케말 파샤의 업적을 기리는 날에서 탄생했다. 아타튀르크는 터키의 어린이날을 만들기도 했는데 그에 대한 일화는 다음과 같은 애민(愛民) 정치에서 나타난다. 

 

이스탄불의 한 광장에서 평범한 차림을 한 노신사가 안경을 쓰고 콧수염을 기른채 커피를 마시면서 신문을 읽고 있는데 몇몇 아이들이 주변에서 장난을 치다가 노신사의 발에 걸려 넘어져서 무릎이 까지고 말았다. 계속 우는 아이에게 노신사는 아이의 까진 무릎을 보고 의자에 앉힌 뒤, 커피 가게에 주인을 불러 바르는 약과 물에 적신 수건을 갖고 오게 했다. 그리고 노신사는 이 아이의 상처를 물로 닦고 약을 바른 뒤, 자신의 옷 부분을 찢어 상처난 부위를 동여매주었다. 다른 아이들 또한 모여들자 아이들을 모두 자신의 주변에 앉히고 아이들의 이야기를 듣고 웃으며 오랜 시간이 함께 있어 주었다. 이 다친 아이가 커서 이 노신사를 회상하기를... 세상에서 그렇게 따뜻한 미소를 가지고 자신에게 다가와 치료해준 사람은 일찍이 본적이 없었다고 했다. 

 

이 아이는 참고로 부모가 없는, 이스탄불의 거지촌인 게제콘두에서 한 살 위에 형하고만 살던 아주 가난한 집 아이였다. 주변에 있는 아이들 모두 그랬다. 부모가 없거나, 아니면 거지꼴로 살아가던 아이들이었던 것이다. 그 다음 날, 이 아이들은 뜻밖에 곳에 초대를 받게 된다. 이 아이들이 간 곳은 돌마바흐체 궁전이었다. 그리고 아이들 앞에 그 노신사가 나타났고 그 노신사는 아이들과 식사를 하며 아이들의 이야기를 들었다. 그렇게 아이들과 놀아주고 난 이후, 다음 날, 게제콘두 옆에 큰 건물이 들어서며 공사하기 시작했다. 그 건물이 바로 게제콘두의 아이들을 돌보던 터키 최초의 보육시설인 Yetimhane (예팀하네)였다. 당시에 예팀하네는 아이들의 보육시설의 의미로 쓰였지만 현 터키어로는 "고아원"을 뜻하고 있다. 그리고 그 옆에 학교를 짓게 되는데 이 게제콘두에 거주하는 여자 아이들을 교육시키는, 이슬람 세계로 칭해지는 터키에서 최초의 여학교가 탄생하게 된 것이다. 

 

게제콘두의 아이들은 수업료 또한 국가에서 내주었다. 이후 게제콘두의 집들을 국고를 들여 모두 보수했고 게제콘두에게 세금을 걷지 않았다. 그리고 실제 아타튀르크 헌법에 의하면 게제콘두는 지금도 면세의 혜택을 받고 있다. 이후 이 노신사의 정체가 누구인지 밝혀지게 되는데, 그가 바로 아타튀르크 무스타파 케말, 당시 터키 대통령이었고 이를 계기로 아타튀르크는 "터키의 어린이 날"을 만들게 되었다. 이와 같은 아타튀르크의 미담은 파면 팔수록 평전에도 수없이 언급될 정도로 넘쳐나고 있다. 진정으로 서민을 위하고 서민들과 대화하기를 좋아했으며 자주 내려와 서민들과 웃고 떠들고 같이 차와 커피를 즐기면서 남녀노소 누구든 이야기를 들었다. 그렇게 한 이유에 대해 아타튀르크는 "각종 문서와 집무에서 국가 일을 볼 수 있지만 그것은 첫째가 아니다. 첫째는 국민들의 말을 듣는 것이고 그것을 참고하여 문서와 집무에 활용하는 것이 두번째다." 라고 대답했다 한다.

 

실제 아타튀르크는 1923년에 대통령에 취임한 뒤 본격적으로 정교(政敎)분리를 기본으로 한 개혁정책을 시행했다. 오랫동안 터키에서는 정치 지도자인 술탄이 종교 지도자인 칼리프를 겸하는 정교일치 국가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그는 술탄제를 폐지하고 칼리프는 오직 이슬람 종교만을 관장하게 하였다. 이슬람 종교도 개혁의 대상이었다. 그는 터키 공화국의 기본 정신인 세속주의를 법으로 제정했다. 이슬람 율법에 기초한 모든 수도원과 교단을 폐쇄했다. 그는 “과학은 삶의 가장 믿음직한 안내자다”라고 말했는데, 종교적인 교육 체제를 폐지하고 현대식의 탈 종교적인 학교들을 설립했다. 오스만의 모든 법체계가 현대화되었으며 새로운 민법과 형법이 채택되었다. 그의 개혁정책은 시민들의 일상생활을 변화시켰다. 여성의 교육권을 보장하여 남녀평등 교육을 시행하였으며 민법을 개정하여 일부다처제를 금지하고 일부일처제를 확립하였다. “여성도 세상을 볼 수 있어야 한다”라고 주장하면서 히잡 금지령을 도입하였다. 

 

오랜 전통인 히잡을 강제로 금지하기에는 어려움이 예상되었다. 그는 고민 끝에 기발한 방법을 고안하였는데, “모든 매춘부는 어디서나 반드시 히잡을 착용해야 한다”라는 조항을 법안에 삽입하였다. 그리고 공무원에게는 히잡을 금지시켰다. 그러자 많은 터키 여성들이 불편한 히잡을 벗어버렸다. 이어 1930년에는 여성에게도 선거권을 부여하였는데, 이것은 같은 이슬람 국가들 중에서 최초의 여성 참정권 부여였다. 이란 (1964년), 이집트 (2008년), 사우디아라비아 (2015년)에 견주면 엄청 빠른 것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아타튀르크 케말파샤는 이슬람 사회에서 여성 평등 정책을 실현한 최초의 대통령이었다.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는 터키에서 독립 영웅이자 국부이고 스승으로써 추앙받고 있다. 터키 국회는 1934년 '터키의 아버지'라는 뜻의 '아타튀르크' 경칭을 수여하였고 공공건물이나 거리의 이름을 이 명칭으로 바꿨다. 지폐 속의 인물도 오직 아타튀르크 단 한명이다. 터키의 스승의 날은 곧 "아타튀르크 무스타파 케말 파샤의 날" 인 것이다. 

 

그런 이유로 인해 터키에서 아타튀르크는 신성불가침의 존재이다. 터키인들의 아타튀르크 사랑은 정말로 극진하기 때문에 조금의 험한 소리도 용납하지 못한다. 특히 아타튀르크에 대한 욕설과 비난은 현지법으로 처벌도 가능하다. 이와 비슷한 국가들이 있다. 바로 태국과 베트남이다. 태국은 국왕모독죄는 그 어느 범죄보다 크며 국왕에 대한 비판은 신성모독으로 간주되어 최대 15년 실형을 살 수 있다. 베트남의 경우, 호치민을 비판하는 것 자체가 국가모독이므로 실형 및 추방을 당할 수 있다. 어떠한 인물이든 공과가 있기 마련이고 과에 대해서 비판을 해야 하는데 터키나, 태국, 베트남에서는 아타튀르크나 국왕, 호치민의 행적에 대해 학술적으로도 비판 및 비평조차도 금기시 되어 있다. 터키나 태국, 베트남이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길은 아타튀르크와 국왕, 호치민을 넘어서야 가능하다. 그들에 대한 비평이 자유로워야 장단점이 바로 보인다. 그들이 신(神, God)과 같은 존재도 아닌데 그에 대한 비평을 허용하지 않는다면 이 세 국가는 아타튀르크나 국왕 호치민의 족쇄에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결국 이들의 단점만이 부각되어 이들 국가들의 미래에 두고두고 장애가 될 것이다.

 

반면 한국의 정치인들은 선거 때마다 서민을 입에 달고 다닌다. 선거 때나 표가 떨어질 때마다 그 귀하신 자리에서 내려와 오뎅이나 씹고 국밥이나 말아 먹으며 온갖 서민 코스프레와 쇼를 하며 표를 호소하다가 선거가 끝난 다음, 서민 코스프레와 쇼는 선거당락과 더불어 말끔하게 종료된다. 그때부터 당선자들이나 낙선자들이나 할 것 없이 서민의 탈을 벗어 던지고 온갖 갑질을 해대며 선거 때 국민들에게 고개 숙인 일들을 잊고 있다. 선거 때만 되면 찾는 서민이 아니라 정말 애민(愛民) 정신으로 국민들의 말을 듣고 정책에 활용하여 국민을 위한 정치인들이 되어야 하는데 한국에 진정 그런 정치인을 단 한 명도 본적이 없다. 반면 터키의 아타튀르크 케말 파샤는 정치에 대한 정의를 "국민과 함께 숨쉬는 것(Halkla birlikte nefes alıyoruz)"이라 표현했다. 이 말 자체가 케말 파샤의 자국민에게 행하는 정치철학과 원칙 및 국민을 위한 소신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있다. 우리도 선거 때만 서민을 입에 올리며 쇼하는 자보다 함께 더불어 숨쉬는 것을 명제로 삼아  자국민에게 행하는 정치철학과 원칙 및 국민을 위한 소신이 살아 있는 정치인을 뽑아야 한다. 

lukybaby7@gmail.com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November 24th is Teachers' Day & Ataturk Day in Turkey

Columnist Gil-seon Jeong

 

Turkish Teachers' Day was born from the day to honor the achievements of Ataturk Kemal Pasha. Ataturk also created Children's Day in Turkey, and the following anecdote about him is shown in the politics of loving the people.

 

In a square in Istanbul, an old gentleman in plain clothes, wearing glasses and a mustache, was drinking coffee and reading a newspaper when some children playing around him tripped over his feet and fell, scraping his knees. The child kept crying, so the old gentleman sat the child down on a chair after seeing his scraped knees, and called the owner of the coffee shop to bring some ointment and a towel soaked in water. Then, the old gentleman washed the child's wound with water, applied the medicine, and tore off a part of his clothes to bandage the wounded area. When other children gathered, he sat them all down around him, listened to their stories, laughed, and spent a long time with them. When this injured child grew up, he recalled this old man... He said that he had never seen anyone in the world approach him with such a warm smile and treat him.

 

This child, by the way, was a very poor child who lived with only his older brother who was one year older than him in Gecekondu, a beggar town in Istanbul, and had no parents. All the children around him were like that. They either had no parents or were living like beggars. The next day, these children were invited to an unexpected place. The place they went to was Dolmabahçe Palace. Then, the old man appeared in front of the children and he ate with them and listened to their stories. After playing with the children, the next day, a large building was built next to Gecekondu and construction began. That building was Yetimhane, the first childcare facility in Turkey that cared for the children of Gecekondu. At the time, Yetimhane meant a childcare facility for children, but in current Turkish, it means "orphanage." And next to it, a school was built, and it was the first girls' school in Turkey, the Islamic world, to educate the girls living in Gecekondu.

 

The state also paid the tuition for Gecekondu's children. After that, the state renovated all of Gecekondu's houses with the national treasury, and no taxes were collected from Gecekondu. And according to the Ataturk constitution, Gecekondu still enjoys tax exemption. Later, the identity of this old gentleman was revealed, and he was Mustafa Kemal Ataturk, the president of Turkey at the time, and this led Ataturk to create "Turkish Children's Day." Such good stories about Ataturk are overflowing, to the point that they are mentioned countless times in biographies. He truly cared for the common people and enjoyed talking with them, and he often came down to laugh and chat with the common people, and enjoyed tea and coffee together, listening to stories from anyone, regardless of age or gender. Ataturk is said to have answered the question of why he did so by saying, "You can see the state affairs in various documents and offices, but that is not the first. The first is to listen to the people's voices and use them as reference in documents and offices." In fact, after Ataturk took office as president in 1923, he implemented a reform policy based on the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For a long time, Turkey had maintained a state of unity between religion and state, with the political leader, the sultan, also serving as the religious leader, the caliph. However, he abolished the sultanate and made the caliph only govern the Islamic religion. The Islamic religion was also a target of reform. He enacted secularism, the basic spirit of the Turkish Republic, into law. He closed all monasteries and religious orders based on Islamic law. He said, "Science is the most reliable guide to life," and he abolished the religious education system and established modern, non-religious schools. The entire Ottoman legal system was modernized and new civil and criminal laws were adopted. His reform policy changed the daily lives of citizens. He guaranteed women's right to education and implemented gender equality education, revised the civil code to prohibit polygamy and establish monogamy. He introduced a ban on the hijab, claiming that "women should also be able to see the world."

 

It was expected to be difficult to forcibly prohibit the long-standing tradition of the hijab. After much thought, he came up with an ingenious method, inserting a clause into the bill stating that "all prostitutes must wear the hijab wherever they are." He also prohibited the hijab from civil servants. As a result, many Turkish women took off the uncomfortable hijab. In 1930, women were granted the right to vote, which was the first time that women's suffrage was granted among other Islamic countries. Compared to Iran (1964), Egypt (2008), and Saudi Arabia (2015), this was much faster. In this way, Atatürk Kemal Pasha was the first president to implement a policy of equality for women in an Islamic society. Mustafa Kemal Atatürk is revered as an independence hero, national father, and teacher in Turkey. The Turkish National Assembly awarded Ataturk the honorific title, meaning 'Father of Turkey', in 1934 and changed the names of public buildings and streets to this name. The person on the banknotes is only Ataturk. Teacher's Day in Turkey is "Ataturk Mustafa Kemal Pasha Day".

 

For this reason, Ataturk is a sacred being in Turkey. The love of the Turkish people for Ataturk is so extreme that even the slightest harsh words are not tolerated. In particular, insults and criticisms of Ataturk are punishable by local law. There are similar countries. Thailand and Vietnam. In Thailand, lese majeste is a greater crime than any other crime, and criticism of the king is considered blasphemy and can result in up to 15 years in prison. In Vietnam, criticizing Ho Chi Minh itself is considered blasphemy and can result in imprisonment and exile. Any person has merits and demerits, and demerits should be criticized, but in Turkey, Thailand, and Vietnam, even academic criticism and critique of the actions of Ataturk, the king, and Ho Chi Minh are taboo. The path for Turkey, Thailand, and Vietnam to leap forward as advanced countries is only possible by going beyond Ataturk, the king, and Ho Chi Minh. Criticism of them must be free so that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can be seen. If criticism of them is not allowed, since they are not god-like beings, these three countries will not be able to escape the shackles of Ataturk, the king, and Ho Chi Minh. In the end, only their shortcomings will be highlighted, and this will become a long-term obstacle to the future of these countries. On the other hand, Korean politicians always talk about the common people during elections. Whenever there is an election or the votes are low, they come down from their precious positions, chew on fish cakes or noodles, and do all kinds of common people cosplay and shows to appeal for votes, but after the election is over, the common people cosplay and shows end cleanly with the election results. Since then, both the winners and losers have thrown off the mask of the common people and have been abusing them in all sorts of ways, forgetting the times when they bowed their heads to the people during elections. Instead of just looking for the common people during elections, they should be politicians who truly love the people, listen to their voices, and utilize them in their policies, but I have never seen a single politician like that in Korea. On the other hand, Ataturk Kemal Pasha of Turkey defined politics as "breathing with the people (Halkla birlikte nefes alıyoruz)." This phrase itself shows us what kind of political philosophy, principles, and convictions Kemal Pasha had for his people. Rather than those who only mention the common people during elections and make a show of it, we should elect politicians who have the political philosophy, principles, and convictions for the people, who breathe together with their people as their proposition.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