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길선 박사 ©브레이크뉴스 |
러시아에도 설 명절 기간이 있다. 한국의 경우 새해 전에 크리스마스가 있다. 하지만 러시아의 경우는 크리스마스가 12월 25일이 아니라 1월 7일로 새해 이후이다. 러시아 정교회는 옛 달력인 율리우스력을 전통적으로 사용하고 있어서 1년이 조금 더 길기 때문에 이런 차이가 나타난다. 러시아 크리스마스의 다른 점은 날짜뿐만이 아니다. 러시아에서는 크리스마스보다 새해를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그래서 보통 다른 나라에서는 크리스마스 선물을 이브 저녁에 주고 받지만, 러시아는 새해 전날에 선물을 주고 받는다. 그리고 이 선물을 들고 찾아온다는 산타클로스에서도 차이를 발견할 수 있는데 러시아의 산타는 졔드마로스라고 불린다. 서양식 산타와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곳은 빨간색 옷이 아닌 파란색 옷을 입고 다닌다는 것이다. 게다가 루돌프가 아닌 말을 타고 다니며, 산타클로스처럼 혼자 다니는게 아니라 조수로 자신의 손녀인 스네구로치카를 데리고 다닌다.
물론 요즘 러시아에서도 빨간 옷의 산타를 많이 볼 수 있지만, 그래도 러시아의 크리스마스라고 하면 역시 파란 옷의 데드마로스를 떠올릴 수 있다. 어쨌든 이와 같이 새해 전날 가족이나 연인, 친구들끼리 모여 식사를 하고 선물을 서로 주고받으며 새해의 복을 기원하는 러시아인들은 새해의 시작인 1월 1일부터 1월 10일까지 국가에서 지정한 새해 연휴를 즐기게 된다. 명절에는 그에 어울리는 음식을 먹으며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게 중요하다. 나는 한국의 새해 명절인 설날을 떠올리면 떡국, 갈비찜, 잡채가 떠오른다. 그 이유는 떡국이야 워낙 유명하고 보편적인 새해 음식이라 그런 부분이고 갈비찜과 잡채도 마찬가지다. 러시아도 새해 연휴에 먹는 대표적인 음식들이 있는데 그 중 할라데츠(Холодец)가 유명하다. 고기를 오랫동안 끓인 국물을 고기와 함께 얼려서 만든 음식인데 냉장고를 이용하기도 하고 겨울이기 때문에 집 밖에서 얼리기도 한다.
이렇게 얼어버린 할라데츠는 마치 고기가 들어있는 젤리 같은 모습이 되는데 이 시기에 러시아에 오시는 분들은 누구든 도전해 보는 것이 좋다. 그리고 설날에 한국에서는 어른에게 절을 하고 새뱃돈을 받는 전통이 있는 것처럼 러시아에서는 돈보단 선물을 주고 받는다. 이러한 러시아에의 구정 기산 매년 1월 13일과 14일이다. 율리우스력으로 1월 1일인 이 날을 두고 러시아어로 ‘스따르이 노브이 고드(Cтарый Новый год)’라고 부르는데. 직역하자면 ‘예전 새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다만 한국의 설날이 민족의 명절인 반면에 러시아의 설날은 그저 기억 속의 명절이라는 것 자체부터가 다르다. 더불어 1918년 러시아가 새로운 그레고리역을 채택한 이후로 역사 속으로 사라진 명절이기도 하다. 러시아 정교신자들은 일반적으로 이 기간을 바실리예프의 날(바실리의 날, Васильев день, Василь-день)이라고도 부른다. 바실리예프는 고대 루스 슬라브 시대의 정교 성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 러시아의 구정 전날을 ‘바실리예프의 저녁’이라고 부르는데 과거 이 날에 러시아인들은 지인과 이웃의 집을 돌아다니며 새해 인사를 나누고 서로에게 새해 행운을 빌어주는 전통이 있었다. 더불어 모든 가족이 특별한 상황이 아니면 모두 집에 모이는 날이었다. 생업이나 기타 다른 사유로 여러 지역에 나가 있던 가족 구성원들이 모두 모여 ‘С Новым годом! (새해 복 많이 받으라)’고 인사하는 한국의 풍습과 많이 닮아있는 부분이다. 이는 현재 태양력인 그레고리력으로 정한 새해에도 끊이지않고 이어지고 있는 미풍양속이라 할 수 있다. 고, 중세 시기 러시아인들은 구정에 음식을 준비해 손님을 접대하고 행운을 빌어주었다. 더불어 한 해 길흉화복을 점치기도 했다. 이렇듯 러시아는 한국과 조금 다른 명절을 보내고 있다. 하지만 오랜만에 가족을 만나고 서로에게 축복을 나누는 풍경만큼은 한국의 명절과 별반 차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어 구정 이후, 러시아에도 오랜 전통이 있는데 1월 19일인 끄리셰니예(Kрещение)라는 명절에 있다.
이 날은 한 겨울 얼어있는 호수의 얼음을 깨고 머리 끝까지 차가운 얼음물 안으로 들어가는 전통인데 총 3번을 반복해서 나왔다 들어가야 한다. 이와 같은 전통에도 종교적인 이유가 숨어있다. 바로 이 날이 예수 그리스도가 세례를 받은 날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와 같이 차가운 물 속에 들어가는 것이 전통으로 새해의 복과 건강을 기원하는데 이 날은 매년 평소보다 러시아에서는 추운 날씨이다. 이렇게 추운 날씨여도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차가운 물 속으로 들어가는데 이렇게 추운 날 어떻게 그 차가운 호수 물속으로 들어갈 수가 있나 생각할 수 도 있지만, 신기하게도 이 전통으로 감기 걸리는 사람은 한 명도 없었다고 한다. 새해와 명절을 보내는 것만큼 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기 좋은 방법이 없다고 생각한다. 페친들 중, 이 기간에 러시아에 오시게 된다면 꼭 한 번 새해의 전통을 경험해 보시길 바래본다. 물론 끄리셰니예(Kрещение) 기간에 얼음물로 들어가는 것은 페친 분들의 선택이다.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Russian New Year, Stari Novi God and Krishenye Holiday Traditions
Columnist Jeong Gil-seon
Russia also has a New Year holiday period. In Korea, Christmas is celebrated before the New Year. However, in Russia, Christmas is celebrated on January 7th, after the New Year, not December 25th. The Russian Orthodox Church traditionally uses the old Julian calendar, which makes the year a little longer, and this difference occurs. The difference in Russian Christmas is not just the date. In Russia, New Year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Christmas. That is why, while other countries usually exchange Christmas gifts on Christmas Eve, in Russia, gifts are exchanged on New Year’s Eve. And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Santa Claus, who is said to come with these gifts. The Russian Santa is called Zedmaros. The biggest difference from Western Santa is that he wears blue clothes instead of red. In addition, he rides a horse instead of Rudolph, and instead of traveling alone like Santa Claus, he has his granddaughter Snegurochka as his assistant.
Of course, you can see a lot of Santa Claus in red these days in Russia, but when you think of Russian Christmas, you can still think of Dedmaros in blue. Anyway, like this, Russians, who gather with their families, lovers, and friends on New Year's Eve to eat, exchange gifts, and wish each other good luck in the new year, enjoy the New Year's holiday designated by the state from January 1st to January 10th, the beginning of the new year. It is important to spend time with family while eating food that suits the holiday. When I think of Seollal, the Korean New Year's holiday, I think of tteokguk, galbijjim, and japchae. That's because tteokguk is such a famous and common New Year's food, and the same goes for galbijjim and japchae. Russia also has representative New Year's foods, and khaladets (Холодец) is famous among them. It is a food made by freezing meat broth that has been boiled for a long time with the meat. It is sometimes frozen in the refrigerator, and sometimes frozen outside the house because it is winter. This frozen khaladets looks like jelly with meat in it, and anyone visiting Russia during this time should give it a try. And just like in Korea there is a tradition of bowing to elders and receiving New Year’s money on Seollal, in Russia gifts are exchanged rather than money. The start of the Lunar New Year in Russia is every January 13th and 14th. This day, which is January 1st in the Julian calendar, is called ‘Stari Novi God (Cтарый Новый год)’ in Russian, which literally means ‘old New Year’. However, while Seollal in Korea is a national holiday, Seollal in Russia is merely a holiday in our memories, which is different. Furthermore, it is a holiday that disappeared into history after Russia adopted the new Gregorian calendar in 1918. Russian Orthodox Christians generally call this period Vasilyev's Day (Vasily's Day, Васильев день, Василь-день). Vasilyev is known as an Orthodox saint of the ancient Rus-Slavic era.
At this time, the day before the Russian New Year's Day is called 'Vasilyev's Evening', and in the past, on this day, Russians had a tradition of going around to the houses of acquaintances and neighbors to greet each other and wish each other good luck in the New Year. In addition, it was a day when all families gathered at home unless there were special circumstances. This is very similar to the Korean custom of family members who were away in various places for work or other reasons all gathering together and saying 'С Новым годом! (Happy New Year!)'. This can be said to be a good custom that continues even in the current Gregorian calendar, which is the solar calendar. In the Middle Ages, Russians prepared food for the New Year's Day, served guests, and wished them good luck. In addition, they also predicted the good and bad fortunes of the year. In this way, Russia celebrates holidays a little differently from Korea. However, when it comes to meeting family after a long time and exchanging blessings, it is not much different from Korean holidays. After the Lunar New Year, Russia also has a long-standing tradition, which is held on January 19th, a holiday called Krishnye (Kрещение).
On this day, people break the ice of a frozen lake in the middle of winter and go into the cold water from head to toe. They have to go in and out three times in total. There is a religious reason behind this tradition. This is because this day is the day Jesus Christ was baptized. Therefore, it is a tradition to go into the cold water like that to pray for good fortune and health in the new year, but this day is colder than usual in Russia every year. Even on such cold days, people of all ages go into the cold water, and you may wonder how anyone can go into the cold water of the lake on such a cold day, but strangely, it is said that no one caught a cold because of this tradition. I think there is no better way to understand a country's culture than to spend New Year's Day and holidays. If you happen to come to Russia during this time, I hope you will experience the New Year's traditions at least once. Of course, it is up to you to choose to go into ice water during Krishenye (Kрещени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