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트럼프-김정은, 북미 훈풍 조성할 수 있을까?

정성태 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24/11/25 [09:24]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19년06월30일 판문점 자유의 집에서 북미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뉴시스

 

미국 대통령 당선인 도널드 트럼프가 수석 국가안보 부보좌관에 알렉스 웡 전 국무부 대북특별부대표를 임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알렉스 웡 내정자는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 국무부 소속 북한 담당 부차관보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부차관보를 역임하며 트럼프-김정은 사이의 북미 정상회담 핵심 실무를 총괄했던 인물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그는 북한 지도자 김정은과 나의 정상회담 협상을 도왔다"며 "국무부의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 전략 시행 노력을 이끌었다"고 소개했다. 이는 트럼프 당선인이 김정은 위원장과의 대화 의지를 우회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북한과 정상외교 재개 및 관계 개선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

 

하지만 북한 김정은 위원장은 최근 행해진 연설에서 "우리는 이미 미국과 함께 협상주로의 갈 수 있는 곳까지 다 가보았다"며 "결과에 확신한 것은 초대국의 공존의지가 아니라 철저한 힘의 입장과 언제 가도 변할 수 없는 침략적이며 적대적인 대조선 정책이었다"고 밝히며 북미 협상 재개 관측에 선을 그었다.

 

그와 함께 "우리 당과 정부는 그 어떤 경우에도 자기 국가의 안전권이 침해당하는 상황을 절대로 방관하지 않을 것이다"며 "우리 손으로 군사적 균형의 추를 내리우는 일은 영원히 없을 것임을 다시금 분명히 한다"고 피력했다. 즉, 비핵화를 전제로 한 북미 협상 재추진에 응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북한의 핵무장 당위성을 천명한 셈이다.

 

이로써 북한이 지닌 현재적 인식을 미루어 알 수 있게 된다. 자신들이 핵무기를 폐기하는 순간, 미국의 침략을 받을 수 있다는 두려움이 그것이다. 미국의 끊임없는 군사적 위협과 경제 및 외교적 고립이 도리어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이끌게 된 결과다. 심지어 미국 본토를 겨냥한 '대륙간 탄도 미사일'과 잠수함에서 발사되는 SLBM까지 개발한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 비핵화를 협상 테이블에 올리려는 것은 현실적으로 무망하다. 북핵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북미 수교에 나서는 것이 해법이 될 수 있다. 다만 핵확산 금지는 어떠한 경우에도 지켜질 수 있도록 방점을 둘 필요가 있다. 그것이 미국 안보를 위해서도 유익한 방향성이 되리라 여긴다. 트럼프 당선인이 새겨야 할 덕목이다.

 

* 필자 : 정성태(시인/칼럼니스트)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US President-elect Donald Trump announced that he will appoint former Deputy Special Representative for North Korea Affairs Alex Wong as Deputy National Security Advisor. Alex Wong served as Deputy Assistant Secretary of State for North Korea Affairs and Deputy Assistant Secretary of State for East Asian and Pacific Affairs during the first Trump administration, and was in charge of key practical matters related to the Trump-Kim summit.

 

President-elect Trump introduced him as “He helped negotiate the summit between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and me” and “He led the State Department’s efforts to implement the Free and Open Indo-Pacific Strategy.” This is an indirect expression of President-elect Trump’s willingness to talk to Chairman Kim Jong-un, and it is expected that he will attempt to resume summit diplomacy and improve relations with North Korea.

 

However, North Korean Chairman Kim Jong-un drew a line on the observation of the resumption of North Korea-US negotiations in a recent speech, stating, “We have already gone as far as we can go in negoti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and “What made us confident in the outcome was not the will of the superpower to coexist, but the position of absolute power and the aggressive and hostile policy toward North Korea that cannot be changed at any time.”

 

He also stated, “Our party and government will never stand idly by and watch our country’s right to security be violated under any circumstances,” and “We once again make it clear that we will never lower the military balance with our own hands.” In other words, he declared the necessity of North Korea’s nuclear armament by stating that he will not respond to the resumption of North Korea-US negotiations on the premise of denuclearization.

 

This allows us to infer North Korea’s current perception. It is the fear that the moment they give up their nuclear weapons, they will be invaded by the United States. The result is that the constant military threats and economic and diplomatic isolation of the United States have actually led North Korea to become a nuclear state. They have even developed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s' aimed at the US mainland and SLBMs launched from submarines.

 

In this situation, it is realistically hopeless to bring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to the negotiating table. The solution could be to acknowledge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s they are and to establish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US. However, we need to emphasize that the ban on nuclear proliferation can be maintained under any circumstances. I believe that this will also be a beneficial direction for US security. This is a virtue that President-elect Trump should keep in mind.

 

* Author: Jeong Seong-tae (poet/columnist)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