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포스코, 민관연 협력 포항 해역에 대규모 바다숲 조성

문홍철 기자 | 기사입력 2024/11/22 [15:16]

▲ 포스코가 2020년 울릉도 남양리에 조성한 바다숲을 약 3년 후 촬영한 모습  © 포스코


브레이크뉴스 문홍철 기자= 포스코가 바다사막화 해소와 연안생태계 복원을 위해 포항 해역에 대규모 바다숲을 조성한다.

 

포스코는 이달 11일 해양수산부, 한국수산자원공단,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과 함께 포항 구평1리와 모포리 인근 해역에 포스코의 트리톤(Triton) 인공 어초를 설치하고 바다숲 조성 기념행사를 진행했다.

 

이날 행사에는 포스코 조경석 환경에너지기획실장, 한국수산자원공단 최성균 동해본부장, 포항시 서재원 정무특보, 경상북도 박형환 해양수산과장, 구평1리 어촌계장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바다숲 조성 사업은 지난 4월 포스코 등 4개 기관이 체결한 ‘블루카본과 수산자원 증진을 위한 바다숲 조성’ 업무협약의 일환으로, 4자는 바다숲을 조성하고, 바다숲의 블루카본, 생물다양성 증대효과 연구에 협력하기로 한 바 있다.

 

블루카본(Blue Carbon)은 해양 생태계(해조류, 해초류, 맹그로브 숲, 습지 등)에 흡수돼 격리·저장되는 탄소로,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탄소 흡수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포스코와 해양수산부는 바다사막화가 심각한 포항 구평1리, 모포리 해역에 인공어초 트리톤을 수중 설치하고, 축구장 320개에 해당하는 약 69만평(2.29㎢) 규모의 바다숲을 조성했다. 포스코는 이번 바다숲 조성에 활용된 트리톤 어초 211기 전량을 기부하는 등 총 10억원을 출연하며, 해양수산부는 국비 10억원을 지원한다.

 

트리톤 어초는 포스코와 RIST가 철강 제조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인 철강슬래그를 재료로 한 포스코 고유의 인공어초 브랜드이다. 철, 칼슘 등 미네랄 함량이 높아 해조류의 성장과 광합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어 해양 생태계 복원과 서식생물 종 다양화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트리톤 어초와 RIST에서 개발하는 바다비료를 함께 조성할 경우 해조류의 길이 생장 우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이날 행사에서는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원에서 후원 받은 개볼락 치어 2만 마리를 바다숲 인근 해역에 방류했다. 개볼락은 다른 어종에 비해 빠르게 성장하여 짧은 시간 내에 수확할 수 있고 소비자들의 높은 수요로 어민들의 안정적인 수익 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어종이다.

 

4자는 2027년까지 3년간 바다숲 사후관리를 통해 바다사막화 해소와 연안생태계 복원 효과 및 블루카본 등을 추적 조사할 계획이며, 해조류 등 바다숲 블루카본의 국제 인증 획득을 위한 연구 협력도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포스코는 앞으로도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해 다각적인 관심을 기울이고, 바다숲 조성 활동을 통해 해양생태계 복원과 생물다양성 보전에 기여해 나갈 계획이다. 

 

break9874@naver.com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POSCO, Public-Private Cooperation Creates Large-Scale Marine Forest in Pohang Waters

 

POSCO is creating a large-scale sea forest in the Pohang waters to alleviate ocean desertification and restore coastal ecosystems.

 

On the 11th of this month, POSCO, together with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the Korea Fisheries Resources Agency, and the Pohang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RIST), installed POSCO’s Triton artificial reefs in the waters near Gupyeong 1-ri and Mopo-ri in Pohang and held a ceremony to commemorate the creation of a sea forest.

 

The event was attended by about 50 people, including POSCO’s Kyung-seok Cho, Director of the Environment and Energy Planning Office, the Korea Fisheries Resources Agency’s Sung-gyun Choi, Director of the East Sea Headquarters, Jae-won Seo, Special Advisor for Political Affairs, Pohang City, Hyeong-hwan Park, Director of the Marine and Fisheries Division of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the Gupyeong 1-ri Fishing Village Chief.

 

This sea forest creation project is part of the business agreement for ‘sea forest creation for blue carbon and fishery resource promotion’ signed by four organizations including POSCO in April. The four parties agreed to create a sea forest and cooperate in research on the blue carbon and biodiversity enhancement effects of the sea forest.

 

Blue carbon is carbon that is absorbed and sequestered in marine ecosystems (seaweed, seagrass, mangrove forests, wetlands, etc.) and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carbon sink for achieving carbon neutrality by 2050.

 

POSCO and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installed artificial reef Triton underwater in the waters of Gupyeong 1-ri and Mopo-ri in Pohang, where sea desertification is severe, and created a sea forest of approximately 690,000 pyeong (2.29㎢), equivalent to 320 soccer fields. POSCO donates all 211 Triton reefs used in this sea forest creation, contributing a total of 1 billion won, and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provides 1 billion won in national funds.

 

Triton reef is POSCO's own artificial reef brand made from steel slag, a byproduct of the steel manufacturing process. It has high mineral content such as iron and calcium, and it has the effect of promoting the growth and photosynthesis of seaweed, contributing to the restoration of the marine ecosystem and the diversification of resident species. In addition, if Triton reef and marine fertilizer developed by RIST are created together, it is expected to have an advantageous effect on the growth of seaweed.

 

In addition, at the event, 20,000 juvenile rockfish sponsored by the Gyeongsangbuk-do Fisheries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were released into the waters near the sea forest. Rockfish is a species that grows faster than other species, can be harves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can be expected to increase stable income for fishermen due to high demand from consumers.

 

The four parties plan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on the effects of alleviating marine desertification and restoring coastal ecosystems and blue carbon through post-management of the marine forest for three years until 2027, and will also continue to cooperate in research to obtain international certification for marine forest blue carbon such as seaweed.

 

POSCO plans to continue to pay multifaceted attention to promoting biodiversity and contribute to the restoration of marine ecosystems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through marine forest creation activities.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