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나에게 이런 친구가 있습니다

민병홍 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24/11/22 [13:58]

▲ 민병홍 칼럼니스트     ©브레이크뉴스

‘나에게 이런 친구있습니다“라고 큰소리로 자랑하고픈 친구가 있다.

 

대학을 떠들어볼때 항시 뇌리에 스치는 것 중 하나가 친구를 사귐에 있어 의리없는 친구는 사귀지 말라는 無義之朋 不可交(무의지붕 불가교) 그리고 군자의 사귐은 물같이 담박하여야 한다라는 君子之交 淡如水(군자지교 담여수)이다.

 

이 말씀이 임펙트 있게 다가온 계기는 필자가 울산에서 컨테이너 분야에서 근무할 때 철제사업을 하는 국민학교 동창이 초대하여 부산을 방문한 적이 있다. 음주로 운전이 불가능하여 울산에 오지 못하게 되어 그 친구 집에서 하루 유숙을 하게 되었는데, 부부 침실인 안방에 풀냄새가 날 정도로 호청이 빳빳한 이불을 깔아주고 자기들은 옆방에서 잠자리를 한 것이다.

 

그 친구의 배려에 감동하여 나도 꼭 이렇게 하겠다고 마음 먹었지만 친구를 초대하여 잠자고 갈만한 집에서 살지못하고 그 친구 이름만 나오면 생각나는 것이 감동보다 앞서는 것이 “친구 안방과 호청 빡빳한 이불”이다.

 

그 친구는 국회의원 박덕흠의 년년생 형인 정흠이다. 

 

그런 그 친구가 지금은 아프다. 그것도 많이 아프다. 

 

여러분, 나에게도 이런 친구있습니다.

 

5장 중에 두개가 있는 것 중 한개가 필요하면 주고플 정도로 종심(從心)의 인생을 정화시켜준 친구가 있습니다.

 

친구 정흠아,

 

어릴 적 봄 소풍가서 도시락으로 떠 먹던 금강물, 삼복더위에 더위를 날려주던 업수. 가을이면 물에 울궈먹던 땡감. 겨울이면 토끼몰이 하던 창말 앞산.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그 곳을 뒤로한다 하여도 80은 살고 가야되지 않겠는가. 친구야.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I have a friend who I want to brag about loudly, saying, “I have a friend like this.”

 

When talking about college, one of the things that always comes to mind is the saying, “Don’t make friends with friends who are not loyal”and “A gentleman’s friendship should be as simple as water”.

 

The reason why these words had such an impact was when I was working in the container field in Ulsan, and a classmate from elementary school who worked in the steel industry invited me to visit Busan. Since I couldn’t drive because of drinking, I couldn’t come to Ulsan, so I ended up staying at my friend’s house for a day. In the master bedroom, which was the master bedroom, Hocheong laid out a thick blanket that smelled like grass, and they slept in the room next door.

 

I was moved by my friend’s consideration and decided to do the same, but I couldn’t live in a house where I could invite my friend and sleep over, and when I hear his name, what comes to mind more than my emotion is “my friend’s room and the thick blanket in Hocheong.”

 

That friend is Jeong Heum, the older brother of National Assembly member Park Deok-heum.

 

That friend is sick now. He is very sick.

 

Everyone, I have a friend like this.

 

I have a friend who purified my life so much that I would give one of the two out of five chapters if I needed it.

 

My friend Jeong Heum,

 

The Geumgang water that I used to eat as lunch boxes when I went on a spring picnic when I was young, the Upsu that helped me cool down during the hottest days of summer. The persimmons that I would soak in water in the fall. The mountain in front of Changmal where I would hunt rabbits in the winter.

 

Even if I leave behind that place that I would not mind putting in my eyes, I have to live to be 80, right? My friend.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