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진화론(Social Darwinism)은 좁은 측면으로 볼 때 영국의 철학자이자 사회학자인 허버트 스펜서(Herbert Spencer, 1820~1903)가 찰스 다윈(Charles Darwin, 1809~1882)의 진화론(Evolutinary Theory)에 영감을 받아 고안한 사회학 이론을 지칭하고 있다. 이는 인간과 사회가 어떤 방향으로 발전해 나간다는 기본적인 발상에 대해 이를 토대로 주장된 다윈의 진화론 이전에도 존재하고 있었다. 스코틀랜드 계몽주의(Scottish Enlightenment) 철학자이며 에덤 스미스와 쌍벽을 이루던 데이비드 흄(David Hume, 1711~1776)의 철학이 그 예시로 볼 수 있다. 그런데 넓은 측면으로 볼 때 스펜서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사회와 민족, 문화, 국가 간의 우열을 주장하거나 제국주의적 침략을 정당화하는 이론들을 통칭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오해와 달리 스펜서 자체는 침략과 제국주의에 반대했으며 국가의 사회보장에는 부정적이었지만 개인적 자선에는 긍정적이었던 인물이었다.
물론 스펜서의 이론 자체는 전혀 터무니없는 이론이 아니다. 물론 스펜서가 다위니즘(Darwinism)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자연 과학 영역에서의 유사 과학적인 이해가 존재하고 있었다 한다면 이와 같은 이론은 유사과학이론일 수도 있다. 다만 다윈의 진화론은 생물 개체가 진화하는 게 아니라 생물의 종이 진화하는 것이며 개체 자체는 변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했는데 사회진화론은 개별 사회 집단이 진화하는 것으로 보기 때문에 생물 개체가 변화한다는 용불용설(用不用說, Theory of Use and Disuse)의 사회과학적인 진화라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스펜서의 이론은 사회과학적인 부분이 작용하는데 그 중에서도 사회학에서 사회의 변화를 설명하는 사회동학(Social Dynamics)의 고전으로 볼 수 있다. 후대의 수많은 사회학자들이 스펜서의 이론을 비판하기도 하고 발전시키기도 하면서 사회의 변화에 대한 이론을 구체화시켰는데, 이러한 논리가 만약 유사과학이라면 자연과학에서 갈릴레이나 뉴턴 같은 초기 근대의 학자들의 이론에도 오류가 있었기 때문에 유사과학이라고 주장하는 것과 비슷하다.
스펜서는 사회학에서 소위 말하는 3대 고전 사회학자인 카를 마르크스(Karl Marx, 1818~1883), 막스 베버(Max Weber, 1864~1920), 에밀 뒤르켐(Émile Durkheim, 1858~1917) 이전 시대에 오귀스트 콩트(Auguste Comte, 1798~1857)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학자 중 하나로 손꼽힌다. 유사과학적인 주장이라는 평가는 어디까지나 스펜서의 이론을 제국주의를 정당화하는 것에 사용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현대에까지 이를 맹신하는 주장하는 경우에만 합당하다고 본다. 이와 같이 넓은 의미에서 사회진화론은 제2차 세계대전 이전까지 유럽 사람들에게 있어 일반적인 생각으로 자리잡고 있었으며 이를 요약하자면 적자생존(Survival of the fittest)으로 이론의 핵심이다. 하지만 여러 모로 적자생존(Survival of the fittest)의 문제도 존재하지만 사회진화론 자체에 문제적인 요소가 아주 많았다. 사회진화론에서는 사회도 적자생존의 원칙을 적용받고, 사회 자체가 각 부분이 사회 구성원들의 동의에 의해 균형과 통합되어 있는 상태라 여기지 않았다.
오히려 살아남기 위해 투쟁한다고 봤는데, 다윈의 논리를 빌어 "진화(Evolutinary)"를 표방했지만 각 생물들이 각자의 환경적인 특성에 맞춰 적응한다는 진화의 개념을 무시하고 제국주의 국가들의 타 문명을 침략하는 것에 대한 정당화를 위해 그 의미를 왜곡하게 된다. 한편 다윈의 진화론은 환경에 더 적응하기 쉬운 종이 시간이 흐르면서 개체군 내 차지하는 비율이 늘어나고, 환경에 불리한 종은 개체군 내 비율이 줄어들게 되면서 개체군의 구성이 변하여 진화한다는 이론이다. 이는 환경에 대한 적응 여부가 적자생존(Survival of the fittest)의 주요 내용이고, 여기에 강자와 약자라는 서로 간의 우열을 경쟁해서 자기 외의 다른 종을 저해한다는 내용이 아니다. 사회진화론은 사회가 일정한 방향으로 진보하여 발전한다고 간주했고, 현재 사회는 과거보다 더 나은 사회, 발전된 사회라는 것을 전제하며, 그 변동의 양상은 야만에서 미개함으로 연결되는 문명의 흐름으로 단순, 혹은 미분화된 상태에서 복잡함과 분화된 상태로 사회가 진화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사상은 사회 발전의 방향성을 간주하고 있으며 사회의 발전 형태를 획일적으로 생각했고, 서구의 발전된 문명을 모방하여 발전의 모델로 후진국으로 불려진 식민지 국가들에게 제시하였다. 비슷하지만 더 극단적인 관점으로 볼 때 우생학(Eugenics)이 있지만 사회진화론은 우생론보다는 다소 완화된 관점으로 보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진화론에 대한 반작용으로, 양차 대전 후에 문화상대주의(Cultural relativism)라는 이론, 혹은 이데올로기(Ideology)가 탄생하게 된 배경이 되기도 하였다. 사회진화론은 본래 인간과 사회가 경쟁을 통해 진화하고 문명과 문명이 교류와 충돌을 통해 낙관적으로 발전한다는 것을 설명한 이론이었으나, 파시스트와 군국주의 국가들의 "우월한 대국"이 "후진국"을 침략한 것을 '자연의 법칙'이라는 면모로 포장하여 옹호되는데 악용되었다. 결과적으로 볼 때 사회진화론은 제국주의를 옹호하여 자국보다 약한 국가를 침탈하는 식민지 개발과 후진국을 착취하는 것을 정당화했다.
사회진화론과 우생학은 당시 팽창적 제국주의 정책을 과학적으로 정당화했기 때문에 당시 서구 열강들에게 환영받았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이 종결된 이후, 사회진화론은 실효성을 잃은 뒤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잊혀져 갔다. 그러한 이유는 제3 세계의 독립으로 인해 더 이상 백인 등의 우월주의가 통하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다. 제2차 세계 대전의 배경을 필두로 서구 학계에서는 더 이상 인간의 우열, 사회의 우열 등에 대해 언급 자체를 기피하고 있는다. 현재는 이와 같은 이론을 주장했을 때 인종주의자와 백인우월주의자 등으로 인식되어 사회에서 완전히 매장당하게 된다. 사회학에서 사회문화현상을 판별하는 거시적인 관점 중 기능론적 관점(Functional theory perspective), 즉, 구조기능론(Structural Functionalism), 혹은 사회유기체설(Social Organism)이 사회 변동을 보는 관점에 있어서의 진화론, 균형론(Equilibrism), 갈등론(Conflict Theory) 중 진화론과 균형론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오해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사회문화현상의 기능론의 경우, 사회 변동에 관한 분석에서 볼 때 균형론으로 도식화되며, 진화론적 관점과는 무관하게 나타난다. 진화론은 사회가 일정한 방향으로 발전한다고 간주하고 있으며 균형론은 사회가 균형의 이탈과 회복을 반복한다고 간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사회학에 있어서 사회발전을 분석하는 근대화론(Modernization Theory)과 종속적 발전론(Dependent Development Theory)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 있어 전자인 근대화론은 식민지 근대화론의 상위개념으로 호환되며 이는 사회진화론적 관점이 적용된 관점으로 나타난다. 그래서 진화론적 관점은 여전히 그 잔재가 없어지지 않았고 현재에도 꾸준히 응용되고 있다.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he story of social Darwinism, the origin of the main logic of racial discrimination filled with misunderstandings
Columnist Jeong Gil-seon
Social Darwinism, in a narrow sense, refers to a sociological theory devised by Herbert Spencer (1820-1903), a British philosopher and sociologist, who was inspired by Charles Darwin's (1809-1882) theory of evolution. It existed even before Darwin's theory of evolution, which was based on the basic idea of how humans and society develop. An example of this is the philosophy of David Hume (1711-1776), a Scottish Enlightenment philosopher and a peer of Adam Smith. However, in a broad sense, it is a general term for theories that assert the superiority of society, ethnicity, culture, and nation based on Spencer's theory, or that justify imperialistic invasion. However, contrary to this general misunderstanding, Spencer himself was opposed to invasion and imperialism, and was negative about national social security, but positive about personal charity.
Of course, Spencer's theory itself is not an absurd theory at all. Of course, if there was a pseudo-scientific understanding in the field of natural science in the process of Spencer accepting Darwinism, then such a theory could be a pseudo-scientific theory. However, Darwin's theory of evolution understood that it is not the individual organism that evolves, but the species of organism that evolves, and that the individual organism itself does not change, while social evolution theory sees individual social groups as evolving, so it is considered a social scientific evolution of the theory of use and disuse that the individual organism changes. However, Spencer's theory has a social scientific component, and among them, it can be seen as a classic of social dynamics that explains social change in sociology. Many later sociologists criticized and developed Spencer's theory, concretizing the theory of social change. If this logic is pseudoscience, it is similar to the claim that the theories of early modern scholars such as Galileo and Newton in natural science were pseudoscience because they had errors.
Spencer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scholars along with Auguste Comte (1798-1857) before the so-called three classical sociologists in sociology: Karl Marx (1818-1883), Max Weber (1864-1920), and Émile Durkheim (1858-1917). The evaluation of Spencer's theory as pseudoscientific is only appropriate when it is used to justify imperialism or when it is blindly believed in even in modern times. In this broad sense, social evolutionism was a common idea among Europeans until World War II, and to summarize, it is the core of the theory as survival of the fittest. However, in many ways, there are problems with survival of the fittest, but social evolutionism itself had many problematic elements. Social evolutionism did not consider society to be subject to the principle of survival of the fittest, and did not consider society itself to be in a state of balance and integration through the consent of its members. Rather, it viewed it as a struggle to survive, and although it advocated "evolution" using Darwin's logic, it ignored the concept of evolution in which each organism adapts to its ow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distorted its meaning to justify imperialist countries invading other civilizations. On the other hand, Darwin's theory of evolution is a theory in which the composition of the population changes as the proportion of species that are more easily adapted to the environment increases over time, and the proportion of species that are disadvantaged by the environment decreases. This is not about whether or not to adapt to the environment, which is the main content of survival of the fittest, and the content that the strong and the weak compete for superiority and hinder other species. Social Darwinism considers that society progresses and develops in a certain direction, and assumes that the current society is a better society and a more developed society than the past, and that the aspect of change is the flow of civilization that connects barbarism to uncivilization, and that society evolves from a simple or undifferentiated state to a complex and differentiated state.
This ideology considers the direction of social development, thinks of the form of social development as uniform, and presents it as a model of development to colonial countries called underdeveloped countries by imitating the advanced civilization of the West. Eugenics is a similar but more extreme viewpoint, but social Darwinism is viewed as a somewhat more moderate viewpoint than eugenics. As a backlash against this social Darwinism, it also became the background for the birth of the theory or ideology called cultural relativism after the two world wars. Social Darwinism was originally a theory that explained that humans and society evolve through competition and that civilizations develop optimistically through exchange and conflict, but it was abused to defend the invasion of "underdeveloped countries" by "superior powers" of fascist and militaristic countries as "laws of nature." As a result, social Darwinism defended imperialism and justified the development of colonies that invaded weaker countries and the exploitation of underdeveloped countries.
Social Darwinism and eugenics were welcomed by the Western powers at the time because they scientifically justified the expansionist imperialist policies of the time. However, after the end of World War II, social Darwinism lost its effectiveness and was forgotten in people's memories. The reason is that the independence of the Third World has made white supremacy no longer work. Beginning with the background of World War II, Western academia has avoided even mentioning the superiority of humans and the superiority of society. Currently, when such theories are asserted, they are recognized as racists and white supremacists and are completely buried in society. In sociology, the functional theory perspective, that is, structural functionalism or social organismism, a macroscopic perspective that determines sociocultural phenomena, is often misunderstood as including both evolutionary theory and equilibrism among the evolutionary theory, equilibrism, and conflict theory in terms of the perspective on social change.
In the case of the functional theory of such sociocultural phenomena, it is schematized as equilibrism in the analysis of social change and appears unrelated to the evolutionary perspective. This is because evolution theory considers society to develop in a certain direction, while equilibrium theory considers society to repeat the deviation and recovery of equilibrium. However, in sociology, among the two perspectives that analyze social development, Modernization Theory and Dependent Development Theory, the former Modernization Theory is compatible with the upper concept of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and this appears as a perspective to which the social evolution perspective is applied. Therefore, the evolution perspective still has its remnants and is still being applied steadily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