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요르단과 사우디아라비아를 지탱하고 있는 예언자의 후예, 하심 가문

정길선 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24/11/21 [23:55]

▲ 정길선 박사     ©브레이크뉴스

하심 가문은 현 요르단의 왕가로 볼 수 있다. 과거에는 헤자즈 왕국, 시리아 아랍 왕국, 이라크 왕국의 왕가로 알려지기도 하였다. 이들 하심 가문은 이슬람의 선지자 무함마드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가문 이름의 유래에 의하면 무함마드의 증조부의 이름인 '하심'과 관련지어 진다. 다만 무함마드의 증조부 씨족인 '하심 씨족(بنو هاشم‎, Banu Hashim)'과 현대에 지칭되어지는 하심 가문(الهاشميون, Hashemites)은 서로 다른 가문으로 혼동하지 말도록 하자. 하심 씨족은 하심의 자손들 전반을 포함하고 있지만 하심 가문은 메카의 아미르 작위를 세습하였던 무함마드의 혈통만을을 언급하고 있기에 다르다. 더 좁게는 아랍 반란을 일으켜 이라크와 요르단의 건국 시조가 된 후세인 빈 알리 (Hussein bin Ali), 이른바 샤리프 후세인(Sharif Hussein, 1854~1931)의 후손들만으로 한정되고 있다. 

 

하심 가문의 선조는 무함마드이지만 첫번째 후손인 무함마드의 딸 파티마(فَاطِمَة ٱلزَّهْرَاء)와 무함마드의 사촌이자 4대 칼리프인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علي بن أبي طالب)에서부터 시작된다. 알리의 장남이자 무함마드의 손자로 하산 이븐 알리(الحسن بن علي)의 직계 자손으로 이와 같은 하산의 후손들은 '샤리프(شريف)'라고도 불리고 있다. 초기 히자즈 지역의 샤리프들은 큰 활동 없이 조용히 지냈으며 압바스 왕조부터 역대 투르크 왕조들까지 예언자의 후손으로 여겨져 극진한 대우를 받았다. 그러다가 급진주의 분파 중 하나인 까라미타파(قرامطة)가 메카의 카바에서 검은 돌을 훔치는 사건이 발생하자, 압바스 왕조의 속국인 이흐시드(Ikhsid) 왕조 측은 이에 메카를 수호할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964년 즈음 샤리프들 중에서 메카의 아미르를 임명하여 히자즈 지역을 수성하게 하였다. 메카와 히자즈를 지배하는 샤리프 아미르를 두고 메카의 샤리프(شريف مكة)라고이름 붙이기도 한다.

 

이와 같은 예언자의 후손들이 승계해 온 메카 아미르 작위는 파티마 왕조 시대에도 존속하였다. 1012년 당시 메카의  아미르였던 아부 알 푸투흐 알 하산(أبو الفتوح الحسن)은 파티마 왕조에 대항해 칼리프를 자칭하기도 했으나 그의 동맹 세력들이 알 푸투흐를 배신하자 다시 파티마 왕조에 충성을 바치게 된다. 한편, 아라비아 남부 지방에서는 파티마 왕조의 영향을 받아 시아파의 분파인 이스마일파를 받아들인 술라이흐 왕조(بَنُو صُلَيْح)가 1062년 오늘날의 예멘 지역을 정복하고 더 나아가 북쪽 히자즈 지역까지 점령하였다. 이로부터 한 동안 메카의 아미르들은 이들 하산의 후손들에 의해 선출되었다. 이후 1201년 아유브 왕조 통치 시기가 되자 카타다흐 이븐 이드리스(قتادة بن إدريس)가 메카의 아미르로 임명된 이래 메카의 샤리프 작위는 그의 후손인 카타다흐 씨족(Qatadids)으로 계속 세습되어 왔고, 현대의 하심 가문은 이들을 직계 조상으로 두고 있다. 메카 샤리프들은 본래 자이드파에 속한 시아파들이 대부분이었으나, 맘루크 왕조의 통치와 오스만투르크 제국의 지배 초기 무렵 수니파로 개종하게 된다.

 

한편 동남아시아로 흘러들어간 예언자의 후손들은 1405년에는 필리핀과 민다나오 지방으로 흘러들어가 술루 지역에 정착했고 술루 지역 군주의 사위가 된 후세인 이븐 알리의 14대 손인 샤리프 울 하심(Sharif ul-Hashim)이 술루 지역 군주 위를 계승한 후 술탄을 칭하여 술루 술탄국을 건국하게 된다. 한편 1517년 오스만 제국이 맘루크 왕조를 정복한 이후, 히자즈 지역 역시 오스만 제국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 당시 메카의 아미르였던 바라카트 2세(بركات الثاني)는 오스만 제국의 술탄의 칼리프 직위를 인정하여 종주권을 허가하였고, 오스만 제국 역시 메카의 아미르가 히자즈를 다스리는 것을 용인하게 된다. 이후 히자즈의 행정 구역으로 제다 성(ایالت حبش‎)이 세워졌고 이는 현재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시(市)의 시작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오스만 정부는 메카의 아미르를 직접 임명하여 계승권에 영향을 행사하였는데, 항상 카타다흐 씨족 인물들 중에서 선출하는 것은 변함이 없었다. 그리고 히자즈 지역의 통치권은 메카 아미르와 이집트 총독, 제다 총독이 공동으로 장악하게 된다.

 

그러다가 1750년대 아라비아 반도에 와하브파 세력이 점점 강력해지기 시작했다. 결국 1803년 와하브파 사우드 가문 출신의 압둘 아지즈 빈 무함마드(عبد العزيز بن محمد)가 메카를 공격하였고, 당시 메카의 아미르였던 갈리브 이븐 무사이드(غالب بن مساعد)는 제다로 피신하였지만 그 곳 역시 포위당하면서 위태로운 상황에 놓이게 된다. 이 때 갈리브는 메카로 돌려 보내져 사우드 가문에 항복하고 그의  봉신이 되었다. 히자즈를 다른 세력에게 장악당한 오스만 측은 이집트 총독 메흐메트 알리를 초대하여 다시 히자즈를 회복하게 하였다. 1813년 무하마드 알리가 와하비 세력을 격파하고 히자즈를 회복하는데, 자신들 만의 아랍 국가를 세우겠다는 야심을 품은 알리는 메카의 아미르를 자신이 선출하여 히자즈 지역의 패권을 장악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알리는 카타다흐 씨족을 '자이드 씨족(ذوي زيد)'과 '아운 씨족(ذوي عون)'으로 나누게 된다. 

그리고 자이드 씨족인 갈리브를 폐위시키고 아운 씨족인 무함마드 이븐 아브드 알 무인(محمد بن عبد المعين بن عون)을 등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씨족을 분할시킴으로써 무하마드 알리는 메카의 아미르들을 더 수월하게 조종할 수 있었다. 

 

1840년 런던 조약(Convention of London)으로 무하마드 알리가 히자즈에서 권력을 상실했으며 이 지역은 다시 오스만 제국의 통치 하에 들어오게 된다. 오스만 제국은 다시 자이드 씨족을 등용하였다. 그리고 1872년 히자즈의 행정 구역을 개편하여 '제다 성(ایالت حبش‎)'을 '헤자즈 주(ولايت حجاز)'로 바꾸게 된다. 총독이 제다에서 메카에 직접 거주하면서 히자즈의 권력은 아미르와 총독이 양분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이 둘 사이에는 종종 사소하게나마 충돌이 있었다. 19세기 동안 히자즈의 주요 도시였던 메카, 메디나, 제다에는 대부분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등지의 비(非) 아랍권 무슬림들이 거주하고 있어 다국적인 분위기를 갖게 되었다. 1856년 무함마드 이븐 아브드 알 무인이 메카의 아미르로 재위하면서 다시 아운 씨족이 집권하게 된다. 그리고 그의 손자인 샤리프 후세인으로 왕위 계승이 이어졌고, 후일 후세인은 아랍 반란을 일으키게 된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벌어지고 있는 당시 영국은 중동 지역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던 열강이었다. 영국은 중동과 관련된 3개의 협상을 진행했다.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이 부진해지자 영국은 당시 메카의 샤리프였던 후세인에게 접근하였고, 아랍 지역에서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키면 그 대가로 통일 아랍 국가를 건국해 주겠다고 약속하였다. 이를 '후세인 맥마흔 서한(Mc Mahon–Hussein Correspondence)'이라  부른다. 그러면서 동시에 한편으로 프랑스 제3공화국과 전후 아랍 지역을 나누어 차지하자는 사이크스-피코 협정(Sykes–Picot Agreement)을 체결했다. 이는 영국이 후세인과의 협상을 진행할 때 실제로 그에게 아랍 지역을 독립시킬 생각이 없었다. 또한 영국은 유태인들의 환심을 사기 위해 전후 중동 지역에 유태인의 나라를 세워 주겠다는 '밸푸어 선언'까지 발표했다. 후세인은 이러한 영국에 동조하여 연합군 편에 섰고 결국 오스만 제국에 반란을 일으키고 헤자즈 왕국을 세우는 선택을 하고 만다. 그러나 전후 약속된 아랍 국가를 건설해 주겠다는 것은 거짓이었고, 영국과 프랑스는 레반트 지역을 식민지로 삼았다. 하심 가문 측에서는 시리아-아랍 왕국을 세우고 후세인의 삼남인 파이살 1세(Faisal I)를 국왕으로 추대했지만, 시리아-아랍 왕국은 영국과 프랑스로 인해 미승인국가가 되었으며, 건국된 지 4개월 만에 프랑스에 항복하여 사라졌다. 

 

중동 전역에 걸쳐 통일 아랍 국가의 꿈은 영국과 프랑스의 배신으로 깨지고, 요르단과 메소포타미아 지역은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 영국의 영향 아래 각각 후세인의 차남인 압둘라는 트란스 요르단, 삼남이자 이전 시리아 국왕이었던 파이살 1세는 이라크 왕국의 국왕이 되면서 영국의 통치를 받는다. 터키의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가 칼리프 제도를 폐지하게 되자 메카에 머물고 있었던 가문의 수호자 후세인은 자신을 스스로 칼리프라고 선언했으나 오히려 이를 계기로 반대파들의 공격을 받아 망명해야 했다. 이후 장남이었던 알리가 헤자즈 국왕 자리를 이어받았지만, 혼란을 이용해 압둘 아지즈 이븐 사우드의 네지드 술탄국이 헤자즈를 침공하여 알리를 추방했다. 추방된 알리는 동생 파이살이 있던 이라크로 탈출했고, 헤자즈 왕국을 합병한 네지드 왕국은 이후 아라비아 반도 대부분을 석권하게 된다. 이렇게 탄생한 국가가 오늘날의 사우디아라비아인 것이다. 

 

이집트의 나세르가 아랍 연합 공화국을 구상하고 있는 것에 자극을 받아, 1958년 한 때 요르단과 이라크의 하심 가문의 국가들끼리 '아랍 연방'이라는 연합을 구성하기로 했다. 그리고 이라크의 파이살 2세를 연방의 원수로 추대하기로 결정한다. 그러나 반년 만에 이라크에서 압둘 카림 카심의 군부 쿠데타가 발생하여 국왕 파이살 2세를 포함한 파이살 1세의 후손들이 학살당했으며 이라크로 망명했던 후세인의 장남 알리의 아들 압둘 일라도 암살당했다. 후세인의 4남인 자이드는 당시 영국 주재 이라크 대사로 런던에 나가 있었기 때문에 군사 쿠데타의 화를 면하였고 현재 이라크 하심 가문의 수장이 되어 이끌고 있다. 한편 하심 가문의 직계인 요르단의 압둘라 2세 국왕은 샌드허스트 영국육군사관학교에서 정규 영국 육군 장교 과정을 마쳤던 인물로 영국의 입김이 강한 군주다. 그는 국왕 즉위 후에는 요르단군을 현대화시켰다. 

 

본래 요르단군은 중동에서 서양도 인정하는 정예 강군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 전통이 현 국왕 시기에 들어 더욱 강해졌다. 요르단군은 중동 전쟁에서도 상대였던 이스라엘군에게 약한 아랍 군대 중 유일하게 견실한 군대로 평가받았다. 물론 이스라엘군이 가장 경계하는 아랍 군대는 이집트군이다. 이렇게 강한 요르단의 군사력은 미국의 군사지원에 요르단이 무리할 정도로 국가예산을 투입해 유지되는 것이다.  2018년 요르단 국방비는 GDP의 약 5.2%를 차지해 인구대비 국방비 기준으로는 중동에서 1위이며, GDP 대비 군비지출 비중으로는 오만, 사우디, 이라크, 바레인, 이스라엘에 이어 6위다. 요르단군의 우수성은 어디까지나 교육훈련이나 실전성 면에서 타 아랍군보다 낫지만 경제 사정이 좋지 않기 때문에 장비는 사우디는 물론 터키보다도 훨씬 떨어진다. 2021년 4월에 이복동생 함자 왕자가 쿠데타로 보이는 정치적 움직임에 연루되어 가택연금 당했으나 현재는 해제된 상태이고 함자 왕자가 국왕에게 충성 맹세 서한을 보내면서 갈등이 봉합되었다.

 

현재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요르단은 적극적으로 팔레스타인 편을 들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압둘라 2세 국왕이 영국 유학생 출신에 가족들도 마찬가지기에 결국은 친서방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제 요르단이 어떻게 활용되느냐에 따라 전황은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lukybaby7@gmail.com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he Hashemite Family, the descendants of the prophet who supports Jordan and Saudi Arabia

Columnist Gil-seon Jeong

 

The Hashemite Family can be seen as the royal family of the current Jordan. In the past, it was also known as the royal family of the Kingdom of Hejaz, the Syrian Arab Kingdom, and the Kingdom of Iraq. These Hashemite Family are known as the descendants of the Islamic prophet Muhammad. According to the origin of this family name, it is related to the name of Muhammad's great-grandfather, 'Hashim'. However, let's not confuse the 'Hashemite Family (بنو هاشم‎, Banu Hashim),' the clan of Muhammad's great-grandfather, and the Hashemite Family (الهاشميون, Hashemites), which are referred to in modern times, as they are different families. The Hashemite Family includes all of Hashim's descendants, but the Hashemite Family only refers to the bloodline of Muhammad, who inherited the title of Amir of Mecca, so they are different. More narrowly, it is limited to the descendants of Hussein bin Ali, the so-called Sharif Hussein (1854–1931), who initiated the Arab Revolt and became the founder of Iraq and Jordan.

 

The Hashemite family is descended from Muhammad, but it begins with his first descendant, Muhammad's daughter Fatimah (فَاطِمَة ٱلزَّهْرَاء), and Muhammad's cousin and the fourth caliph, Ali ibn Abi Talib (علي بن أبي طالب). Hasan ibn Ali (الحسن بن علي), the eldest son of Ali and grandson of Muhammad, is the direct descendant, and such descendants of Hasan are also called 'Sharifs (شريف)'. The early sharifs of the Hijaz region remained quiet and did not engage in much activity, and were treated with great respect by the Abbasid dynasty and subsequent Turkic dynasties, as they were considered descendants of the Prophet. Then, when the Qaramitah sect, one of the radical sects, stole the black stone from the Kaaba in Mecca, the Ikhsid dynasty, a vassal state of the Abbasid dynasty, felt the need to defend Mecca. Around 964, among the sharifs, an emir of Mecca was appointed to guard the Hijaz region. The sharif emir who ruled Mecca and the Hijaz was also called the Sharif of Mecca (شريف مكة).

 

The title of the emir of Mecca, which was inherited by the descendants of the Prophet, continued even during the Fatimid dynasty. In 1012, the emir of Mecca at the time, Abu al-Futuh al-Hasan, declared himself caliph against the Fatimids, but when his allies betrayed him, he returned to loyalty to the Fatimids. Meanwhile, in southern Arabia, the Sulaimanid dynasty, which had come under the influence of the Fatimids and adopted the Ismaili sect of Shia, conquered the area of ​​present-day Yemen in 1062 and further occupied the Hijaz region in the north. For a while after this, the emirs of Mecca were elected by the descendants of Hassan. Since the Ayyubid dynasty in 1201, when Qatadah ibn Idris (قتادة بن إدريس) was appointed as the emir of Mecca, the title of Sharif of Mecca has been hereditary to his descendants, the Qatadids, and the modern Hashemite family is their direct ancestor. The Sharifs of Mecca were originally mostly Shiites belonging to the Zaidi sect, but converted to Sunni during the Mamluk dynasty and early Ottoman rule. Meanwhile, the descendants of the Prophet who had flowed into Southeast Asia flowed into the Philippines and Mindanao in 1405 and settled in the Sulu region, where Sharif ul-Hashim, the 14th generation descendant of Hussein ibn Ali, who became the son-in-law of the ruler of Sulu, succeeded to the throne of the ruler of Sulu and declared himself sultan, establishing the Sulu Sultanate. Meanwhile, after the Ottoman Empire conquered the Mamluk Dynasty in 1517, the Hijaz region also came under the rule of the Ottoman Empire. The Emir of Mecca at that time, Barakat II (بركات الثاني), recognized the caliphate of the Ottoman sultan and permitted his sovereignty, and the Ottoman Empire also tolerated the Emir of Mecca ruling the Hijaz. Afterwards, Jeddah Castle (ایالت حبش‎) was established as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Hijaz, which can be seen as the beginning of the current city of Jeddah in Saudi Arabia. In addition, the Ottoman government directly appointed the emir of Mecca and exerted influence on the right of succession, and it was always selected from among the Qatadah clan. And the ruling power of the Hijaz region was jointly controlled by the emir of Mecca, the governor of Egypt, and the governor of Jeddah. Then, in the 1750s, the Wahhabi sect began to grow stronger in the Arabian Peninsula. Finally, in 1803, Abdul Aziz bin Muhammad (عبد العزيز بن محمد), a member of the Wahhabi Saud family, attacked Mecca, and Ghalib ibn Musaid (غالب بن مساعد), who was the emir of Mecca at the time, fled to Jeddah, but it was also surrounded and put in a dangerous situation. At this time, Ghalib was sent back to Mecca, surrendered to the House of Saud, and became his vassal. The Ottomans, who had lost control of the Hijaz to another force, invited Mehmet Ali, the governor of Egypt, to recover the Hijaz. In 1813, Muhammad Ali defeated the Wahhabi forces and recovered the Hijaz. Ali, who had an ambition to establish his own Arab state, tried to seize hegemony in the Hijaz region by electing the emir of Mecca himself. To this end, Ali divided the Qatadah clan into the 'Zayd clan (ذوي زيد)' and the 'Aoun clan (ذوي عون)'. He then deposed Ghalib, a Zayd clan member, and appointed Muhammad ibn Abd al-Mu'in (محمد بن عبد المعين بن عون) of the Aoun clan. By dividing the clans in this way, Muhammad Ali was able to more easily control the emirs of Mecca.

 

In 1840, the Convention of London resulted in Muhammad Ali losing power in Hijaz and the region came back under the rule of the Ottoman Empire. The Ottoman Empire again appointed the Zayd clan. Then in 1872,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of Hijaz were reorganized, changing the 'Jeddah Province (ایالت حبش‎)' to the 'Hejaz Province (ولايت حجاز)'. With the governor residing directly in Mecca from Jeddah, power in Hijaz was divided between the emir and the governor. Because of this, there were frequent minor clashes between the two. During the 19th century, the major cities of Hijaz, Mecca, Medina, and Jeddah, were mostly inhabited by non-Arab Muslims from Central Asia, South Asia, and Southeast Asia, giving them a multinational atmosphere. In 1856, when Muhammad ibn Abd al-Mu'in became the emir of Mecca, the Aoun clan came to power again. His grandson, Sharif Hussein, succeeded to the throne, and later Hussein started the Arab Revolt. At the time of World War I, Britain was the most influential power in the Middle East. Britain conducted three negotiations related to the Middle East.

 

When the war with the Ottoman Empire was faltering, Britain approached Hussein, who was the Sharif of Mecca at the time, and promised to establish a unified Arab state in return for a revolt against the Ottoman Empire in the Arab region. This is called the 'Mc Mahon–Hussein Correspondence'. At the same time, Britain signed the Sykes–Picot Agreement with the French Third Republic to divide the Arab region after the war. This is because Britain had no intention of actually giving independence to Hussein in the Arab region when it negotiated with him. In addition, Britain announced the Balfour Declaration, promising to establish a Jewish state in the Middle East after the war, in order to win over the favor of the Jews. Hussein sided with Britain and sided with the Allies, and eventually chose to rebel against the Ottoman Empire and establish the Kingdom of Hejaz. However, the promise to establish an Arab state after the war was a lie, and Britain and France colonized the Levant. The Hashemite family established the Syrian Arab Kingdom and enthroned Hussein's third son, Faisal I, as king, but the Syrian Arab Kingdom became an unrecognized state by Britain and France, and surrendered to France four months after its establishment.

 

The dream of a unified Arab state throughout the Middle East was shattered by the betrayal of Britain and France, and Jordan and Mesopotamia became British protectorates. Under British influence, Hussein's second son, Abdullah, became the king of Transjordan, and his third son, Faisal I, the former king of Syria, became the king of Iraq, which came under British rule. When Mustafa Kemal Ataturk of Turkey abolished the caliphate, Hussein, the guardian of the family who had been staying in Mecca, declared himself the caliph, but this was used as an opportunity for him to be attacked by his opponents and forced into exile. Afterwards, Ali, the eldest son, succeeded to the throne of Hejaz, but the Sultanate of Nejd, led by Abdul Aziz ibn Saud, invaded Hejaz and exiled Ali. The exiled Ali escaped to Iraq where his younger brother Faisal was, and the Nejd Kingdom, which annexed the Kingdom of Hejaz, later took over most of the Arabian Peninsula. The country that was born in this way is today's Saudi Arabia. Inspired by Egypt's Nasser's idea of ​​a United Arab Republic, in 1958, the Hashemite states of Jordan and Iraq decided to form a union called the "Arab Federation." They decided to appoint King Faisal II of Iraq as the head of the federation. However, a military coup by Abdul Karim Qasim occurred in Iraq within half a year, and the descendants of King Faisal I, including King Faisal II, were massacred, and Abdul Ilah, the son of Hussein's eldest son Ali, who had fled to Iraq, was also assassinated. Hussein's fourth son, Zaid, was in London as the Iraqi ambassador to the UK at the time, so he escaped the military coup and is currently leading the Hashemite family of Iraq. Meanwhile, King Abdullah II of Jordan, a direct descendant of the Hashemite family, is a monarch with strong British influence, having completed the regular British Army officer course at the British Military Academy Sandhurst. After ascending to the throne, he modernized the Jordanian army. Originally, the Jordanian military had an elite force recognized by the West in the Middle East.

 

There was, and this tradition has become even stronger during the reign of the current king. The Jordanian army was evaluated as the only solid army among the Arab armies that were weak to the Israeli army, which was their opponent in the Middle East war. Of course, the Arab army that the Israeli army is most wary of is the Egyptian army. Such strong Jordanian military power is maintained by Jordan investing its national budget to the extent that it is unreasonable in military support from the United States. In 2018, Jordan's defense budget accounted for approximately 5.2% of GDP, ranking first in the Middle East in terms of defense spending per capita, and sixth in terms of military spending per GDP, after Oman, Saudi Arabia, Iraq, Bahrain, and Israel. The Jordanian army's excellence is only in terms of education and training and practicality compared to other Arab armies, but due to poor economic conditions, its equipment is far inferior to that of Saudi Arabia and Turkey. In April 2021, his half-brother Prince Hamza was placed under house arrest for his involvement in a political movement that appeared to be a coup d'état, but has now been released, and the conflict was resolved when Prince Hamza sent a letter of loyalty to the king.

 

I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Palestinian-Israeli war, Jordan is not actively taking the side of Palestine. The reason is that King Abdullah II was a British student and his family are also pro-Western, so in the end, they cannot help but be pro-Western. However, the situation now seems to change depending on how Jordan is used.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