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삼성전자, SDC24 Korea 온라인 개최..AI 모델 2세대 ‘삼성 가우스2’ 공개

정민우 기자 | 기사입력 2024/11/21 [15:23]


브레이크뉴스 정민우 기자= 삼성전자가 21일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코리아 2024(Samsung Developer Conference Korea 2024, SDC24 Korea)’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삼성전자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들과 소통하고 협력하기 위해 2014년부터 매년 개발자 행사를 개최해 왔으며, 올해로 11주년을 맞이했다.

 

이날 콘퍼런스에서는 △생성형 AI △소프트웨어(S/W) 플랫폼 △IoT △헬스케어 △통신 △데이터 등 제품에 탑재된 다양한 소프트웨어의 연구 분야는 물론, 오픈소스 개발 문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세션이 마련됐다.

 

삼성전자 DX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삼성리서치장 전경훈 사장은 환영사를 통해 “삼성전자는 인공지능과 데이터 분석과 같은 최신 소프트웨어 기술 확보에 집중해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창조하고 고객의 삶을 개선하는데 주력하고 있다”며 “삼성전자 고유의 생성형 AI 모델인 ‘삼성 가우스2’를 공개하고, 향상된 성능과 효율, 활용 방안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업무 생산성 향상과 단계적 제품 적용으로 더욱 편리하고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할 것이다”고 말했다.

 

먼저, 삼성전자는 키노트 발표에서 지난해 처음 공개한 생성형 AI 모델 ‘삼성 가우스1(Samsung Gauss1)’의 후속 모델인 ‘삼성 가우스2(Samsung Gauss2)’를 공개했다.

 

‘삼성 가우스2’는 언어·코드·이미지 통합 멀티모달(Multimodal) 모델로, 기존 ‘삼성 가우스1’과 달리 여러가지 데이터 유형을 동시 처리할 수 있는 2세대 버전이다. 서비스 용도에 따라 △콤팩트(Compact) △밸런스드(Balanced) △슈프림(Supreme) 세 가지 모델로 구성됐다.

 

‘콤팩트’는 제한된 컴퓨팅 환경에서도 효율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된 소형 모델이다. 온디바이스(On-Device) 환경에서 기기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해 기기에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한다.

 

‘밸런스드’는 클라우드(Cloud) 기반으로 성능, 속도 면에서 안정성과 효율성의 균형을 맞춘 모델이다. 다양한 작업에서도 균형 잡힌 성능을 제공한다.

 

‘슈프림’은 최고 성능을 목표로 하는 고성능 모델이다. ‘밸런스드’ 모델을 기반으로 ‘전문가 혼합(MoE, Mixture of Experts)’ 기술을 이용해 학습과 추론 과정에서 계산량을 대폭 줄여 성능과 효율성 모두를 높일 수 있었다.

 

또한, ‘삼성 가우스2’는 모델에 따라 9~14개국의 언어와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한다. 삼성전자는 자체적으로 거대언어모델(LLM) 학습 안정화 기법을 개발해 적용하고, 자체 ‘토크나이저(Tokenizer)’를 설계해 지원하는 언어에 대한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밸런스드’와 ‘슈프림’ 모델은 현재 공개되어 있는 대표적인 오픈소스 생성형 AI 모델들 대비 영어, 한국어 등 다양한 언어 답변 생성, 코딩 등 주요 지표에서 동등 이상의 성능을 제공한다. 시간당 처리 속도는 1.5~3배 이상으로 그만큼 AI의 답변 생성이 빨라 사용자의 대기시간이 줄어들고 효율적인 일처리가 가능하다.

 

자체 생성형 AI 모델의 장점은 필요한 목적과 응용분야에 맞춰 최고의 성능을 내도록 맞춤형 개발에 용이하다는 것이다. 실제, ‘삼성 가우스’는 이런 맞춤형 개발의 장점을 살려 직원들의 다양한 업무에서 활용되고 있다.

 

‘코드아이(code.i)’는 사내 S/W 개발자를 지원하는 ‘삼성 가우스’ 모델의 코딩 어시스턴트 서비스다. 최근에는 ‘삼성 가우스2’ 모델로 업그레이드되어 DX부문의 사업부 및 일부 해외 연구소에서 활용되고 있다.

 

‘코드아이’는 작년 12월 서비스 시작 시점 대비 현재 월별 사용량은 약 4배 이상 증가했고, 삼성전자 DX부문 전체 S/W 개발자의 약 60%가 사용하고 있다.

 

삼성 가우스 포탈(Samsung Gauss Portal)은 ‘삼성 가우스’의 대화형 AI 서비스로 △문서 요약 △번역 △메일 작성 등 DX부문 직원들의 다양한 사무 업무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지난 4월에는 해외 법인으로 서비스가 확대됐다.

 

또한, 삼성전자는 올해 8월부터 ‘삼성 가우스’를 콜센터에 적용해 상담 내용을 자동 분류하고 요약하는 등 상담원의 업무를 보조하고 있다.

 

향후, 삼성전자는 ‘삼성 가우스2’를 통해 ‘코드아이(code.i)’ 서비스의 지속적인 성능 개선, ‘삼성 가우스 포탈(Samsung Gauss Portal)’의 자연어 질의응답 성능 향상, 표와 차트의 이해, 이미지 생성 등 멀티모달 기능을 지원해 사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모두를 위한 AI(AI for All)’라는 AI 비전 아래, 사용자들이 더욱 편리하고 즐거운 일상을 누릴 수 있도록 전 제품 군에 AI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향후 지식 그래프(Knowledge Graph) 기술과도 결합해 한층 강화된 개인화 서비스를 선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 가우스2’ 발표에 이어, ‘삼성의 플랫폼에 대한 고객경험’을 주제로 스마트싱스(SmartThings) 플랫폼 고객 경험, 소프트웨어 플랫폼 고객경험 향상에 대한 키노트가 이어졌다.

 

이후 △헬스케어의 미래와 삼성 헬스 에코시스템 전략 △생성형 AI를 통한 스마트싱스(SmartThings) 고객 VOC 경험 개선기 △code.i: 삼성의 AI 코딩 어시스턴트를 이해하다 △당신의 일상에 활력을 더하는 TV 기반 라이프스타일 콘텐츠 허브 소개 △AI 비전(Vision) 기술과 데이터 활용을 통한 삼성 가전 AI 솔루션 등 총 29개의 다양한 기술 세션이 이어졌다.

 

break9874@naver.com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Samsung Electronics, SDC24 Korea held online.. AI model 2nd generation ‘Samsung Gauss 2’ unveiled

 

Samsung Electronics held the ‘Samsung Developer Conference Korea 2024 (SDC24 Korea)’ online on the 21st.

 

Samsung Electronics has been hosting developer events every year since 2014 to communicate and collaborate with software developers, and this year marks its 11th anniversary.

 

The conference on this day included various sessions on research areas of various software embedded in products, such as △generative AI △software (S/W) platform △IoT △healthcare △communication △data, as well as open source development culture.

 

In his welcoming speech, Jeon Kyung-hoon, CTO of Samsung Electronics DX Division and President of Samsung Research, said, “Samsung Electronics is focusing on securing the latest software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ata analysis to create new lifestyles and improve the lives of customers.” He added, “We will unveil ‘Samsung Gauss 2,’ Samsung Electronics’ own generative AI model, and explain its improved performance, efficiency, and utilization methods. Through this, we will provide a more convenient and differentiated customer experience through improved work productivity and step-by-step product application,” he said.

 

First, Samsung Electronics unveiled ‘Samsung Gauss2’, the successor model to the generative AI model ‘Samsung Gauss1’ that was first unveiled last year in the keynote presentation.

 

‘Samsung Gauss2’ is a multimodal model that integrates language, code, and image, and unlike the existing ‘Samsung Gauss1’, it is a second-generation version that can process multiple data types simultaneously. It consists of three models: △Compact △Balanced △Supreme depending on the service purpose.

 

‘Compact’ is a small model designed to operate efficiently even in limited computing environments. It provides performance optimized for the device by making the most of the device’s characteristics in an on-device environment.

 

‘Balanced’ is a cloud-based model that balances stability and efficiency in terms of performance and speed. It provides balanced performance in various tasks.

 

‘Supreme’ is a high-performance model that aims for the best performance. Based on the ‘Balanced’ model, the ‘Mixture of Experts (MoE)’ technology was use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amount of calculations in the learning and inference process, thereby improving both performance and efficiency.

 

In addition, ‘Samsung Gauss 2’ supports 9 to 14 languages ​​and various programming languages ​​depending on the model. Samsung Electronics developed and applied its own large language model (LLM) learning stabilization technique and designed its own ‘Tokenizer’ to maximize efficiency for the supported languages.

 

The ‘Balanced’ and ‘Supreme’ models provide performance equivalent to or higher than the currently available representative open source generative AI models in key indicators such as answer generation and coding in various languages ​​such as English and Korean. The processing speed per hour is 1.5 to 3 times faster, which reduces user waiting time and enables efficient work processing.

 

The advantage of self-generating AI models is that they are easy to customize for optimal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required purpose and application field. In fact, ‘Samsung Gauss’ is being utilized in various tasks by employees by taking advantage of this customized development.

 

‘Code.i’ is a coding assistant service of the ‘Samsung Gauss’ model that supports in-house S/W developers. It has recently been upgraded to the ‘Samsung Gauss 2’ model and is being utilized by business units in the DX division and some overseas research institutes.

 

‘Code.i’ has increased its monthly usage by about 4 times compared to the service launch in December last year, and is being used by about 60% of all S/W developers in Samsung Electronics’ DX division.

 

Samsung Gauss Portal is a conversational AI service of ‘Samsung Gauss’ that supports various office tasks of employees in the DX division, such as document summarization, translation, and email writing, to be processed quickly and efficiently. The service was expanded to overseas corporations in April.

 

In addition, Samsung Electronics has been applying ‘Samsung Gauss’ to call centers since August of this year to automatically classify and summarize consultation content, thereby assisting counselors’ work.

 

In the future, Samsung Electronics plans to contribute to improving in-house productivity by continuousl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code.i’ service, improving the natural language question-and-answer performance of the ‘Samsung Gauss Portal’, and supporting multimodal functions such as understanding tables and charts and creating images through ‘Samsung Gauss 2’.

 

Under the AI ​​vision of ‘AI for All’, Samsung Electronics plans to provide AI services to all product groups so that users can enjoy more convenient and enjoyable daily live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present even more enhanced personalized services in the future by combining it with Knowledge Graph technology.

 

Following the announcement of ‘Samsung Gauss 2’, a keynote speech was held on the topic of ‘Customer Experience on Samsung’s Platform’, focusing on the SmartThings platform customer experience and improving the customer experience on the software platform.

 

This was followed by a total of 29 diverse technology sessions, including: △The future of healthcare and Samsung Health Ecosystem Strategy △Improving SmartThings customer VOC experience through generative AI △code.i: Understanding Samsung’s AI coding assistant △Introducing a TV-based lifestyle content hub that enlivens your daily life △Samsung home appliance AI solutions through AI Vision technology and data utilization, etc.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