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중국, 일부 한국인 입국 거부 사태... 현금·카드 사용도 불편

정성태 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24/11/21 [13:44]

▲ 중국이 한국인 일반여권 소지자에 대한 비자 면제 정책을 시행한 첫 날인 8일 베이징 서우두국제공항에서 한국인으로 보이는 방문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2024.11.8  © 뉴시스

 

중국 당국이 우리 정부와 사전 협의없이 일방적으로 한국인을 대상한 비자 면제를 발표했다. 2025년 12월 31일까지 한시적으로 15일 간 무비자 입국·체류를 허용한다는 것이다. 지난 8일 시행된 이후 중국을 찾는 한국인 숫자도 늘고 있다.

 

그런데 중국 공항에서 한국인 소수에 대한 입국 거부 사실이 전해진다. 해당된 A씨는 과거 중국에서 결핵 진단을 받았던 이력 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결핵 완치 증명 방법에 관해선 별다른 안내가 없는 상태다.

 

또 다른 B씨의 경우에는 ‘입국 목적 불분명’이 이유였다. 그는 유튜브 방송에서 중국 독재 체제를 비판한 적이 있다고 한다. 때문에 이를 접하는 시각에 따라서는 한국인에 대한 중국 당국의 사찰 의혹마저 불거질 수 있는 소지가 다분하다.

 

불편을 겪는 문제는 또 있다. 유명 관광지조차 현금 및 카드 결제가 안 된다는 점이다. 무인 점포, 식당, 구멍가게도 현금을 비롯한 비자·마스터 카드 또한 무용지물인 것으로 알려진다. 오로지 중국 국내용 휴대전화 통한 결제 앱이나 계좌 이체만 가능하다고 한다. 

 

이를테면 중국 정부가 제작한 앱 설치 후 이름과 여권번호를 입력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따른다. 더욱이 중국 현지 휴대전화 번호를 입력해야만 인증 및 가입 가능한 구조다. 외국인 관광객에 대한 일종의 사찰행위로 설명될 수 있다.

 

중국 당국은 "교통, 쇼핑, 관광, 숙박 등 분야에서 현금 지불을 보장할 것”이라며 "사업주는 거스름돈을 준비해야 한다”고 홍보하고 있다. 하지만 사업장에서 소극적인 탓에 큰 돈을 내고도 사업자에게 거스름돈이 없으면 이를 돌려받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여기서 의문스러운 점은, 현금은 차치하더라도 왜 굳이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카드마저 사용상 불편을 겪도록 하는지 쉽사리 납득되지 않는다. 더욱이 중국 현지 휴대전화 번호를 입력해야만 전자화폐를 사용할 수 있도록 사실상 강제에 다름없게 하는지 이해불가다.

 

천안문 사태 이후 중국 내부적으로 민주적 시위마저 무기징역에 처할 수 있는 홍콩보안법이 제정됐다. 중국 자체의 상시적 감시와 통제 강화를 위한 반간첩법 등 폐쇄성을 보인다. 외국인도 일상적 사진 촬영과 인터넷 검색이 문제가 돼 처벌될 수 있는 법안이다.

 

특히 개정된 반간첩법 규정과 처벌 범위가 광범위하게 넓어졌다. 중국 체류 중 사진을 잘못 찍게되면 자칫 간첩으로 몰려 구금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아졌다. 법 조항까지 모호해 자의적인 법 집행이 이뤄질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온다. 굳이 가야 할 이유가 있을까?

 

* 필자 : 정성태(시인/칼럼니스트)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China, Some Koreans Denied Entry... Cash and Card Use Inconvenient

 

- Columnist Jeong Seong-tae

 

The Chinese government unilaterally announced a visa waiver for Koreans without prior consultation with our government. This means that visa-free entry and stay will be temporarily allowed for 15 days until December 31, 2025. Since its implementation on the 8th, the number of Koreans visiting China has also been increasing.

 

However, it has been reported that a small number of Koreans have been denied entry at Chinese airport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Mr. A was diagnosed with tuberculosis in China in the past. However, there is no specific guidance on how to prove that he has recovered from tuberculosis.

 

In the case of Mr. B, the reason was ‘unclear purpose of entry.’ He is said to have criticized the Chinese dictatorship on YouTube. Therefore, depending on how you look at i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suspicions of surveillance by the Chinese government on Koreans may arise.

 

Another inconvenience is that even famous tourist destinations do not accept cash or card payments. It is known that cash, Visa, and Mastercard are useless even at unmanned stores, restaurants, and hole-in-the-wall stores. It is said that only payment apps or account transfers via mobile phones used in China are possible.

 

For example, after installing an app developed by the Chinese government, you are required to enter your name and passport number. This raises concerns about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Furthermore, the structure requires you to enter a local Chinese mobile phone number in order to be authenticated and registered. This can be explained as a kind of surveillance of foreign tourists.

 

The Chinese authorities are promoting that “cash payments will be guaranteed in areas such as transportation, shopping, tourism, and accommodations,” and that “business owners must prepare change.” However, due to the passive nature of businesses, there are cases where even if you pay a large sum of money, you cannot get the change back if the business does not have it.

 

The questionable point here is that, even putting aside cash,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why even internationally accepted cards are inconvenient to use. Furthermore, it is incomprehensible that you are forced to enter a local Chinese mobile phone number to use electronic money, which is practically no different from forcing it.

 

After the Tiananmen Square incident, the Hong Kong Security Law was enacted in China, which can even result in life imprisonment for democratic protests. China's own anti-espionage law, which strengthens constant surveillance and control, shows its closed nature. It is a law that even foreigners can be punished for taking pictures and searching the Internet.

 

In particular, the revised anti-espionage law provisions and the scope of punishment have been greatly expanded. If you take the wrong pictures while staying in China, you could be accused of being a spy and detained. There are even concerns that the legal provisions are ambiguous and arbitrary law enforcement could occur. Is there a reason to go there?

 

* Author: Jeong Seong-tae (poet/columnist)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