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러시아 로마노프 제국 때 일어난 유태 인종에 대한 증오 키시네프 포그롬(Кишинёвский Погром) 이야기

정길선 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24/11/21 [04:19]

▲ 필자/정길선 박사     ©브레이크뉴스

포그롬(Погром)이라는 것은 어떠한 보편적인 정의나 엄격히 정해진 기준은 없는 단어다. 보통 좁게는 러시아 로마노프 제국 및 동유럽에서 발생한 반유태주의 폭동과 학살 및 유태인들과 관련된 민족적, 종교적 충돌을 말하는 것이고, 넓게는 러시아 로마노프 제국뿐만 아니라 시대와 국가를 막론하고 발생했던 반유태주의에 대한 폭동과 학살을 통칭하며 더 나아가서 홀로코스트와 동일한 단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결국 유태인에 대한 단순 우발적인 폭력 행위부터 의도적이고 조직적인 학살에 이르기까지 모두 포그롬으로 지칭하고 있는 셈이다. 포그롬(Погром)에 대한 좁은 의미에서 러시아 로마노프 제국 및 동유럽에서 발생한 유대포비아에 대해서 서술해 볼까 한다. 

 

러시아는 원래 유태인이 많이 거주하던 국가가 아니었다. 그런데 러시아에 유태인들이 들어온 과정에 대해서는 폴란드 분할 과정이 그 첫 번째 과정으로 언급되고 있다. 폴란드는 18세기 중후반 무렵에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러시아게 분할 당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따라서 상당수의 아슈케나지 유태인 인구가 거주하던 지역은 오늘날의 우크라이나 및 벨라루스 지역이었는데 이 지역이 러시아의 통치령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 이유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왕국 시절, 발트 지역에서 활동하던 한자동맹이 쇠퇴하자 상공업의 진흥과 세수의 확보를 위하여 유태인들의 국내 이주를 장려하는 한편 농노들을 가혹하게 착취했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왕국의 귀족은 거의 카톨릭 신도들이었고 당시 갈라치아 (현 우크라이나 서부) 및 벨라루스 지역의 농노들은 정교회 신도들이 많았다. 그런데 귀족들은 정교회 농노들과 직접적인 충돌을 피하기 위해 유대인에게 마름일을 맡기는 편이었다. 

 

당시의 마름은 토지와 금융, 세금을 대신 징수하는 대리인 또는 관리인으로 토지의 경우, 소작인에게 임대료를 받고 누구에게 얼마나 땅을 빌려줄지 실제로 결정하는 사람을 말하며 금융의 경우, 고리대금업을 말하고 세금의 경우, 귀족에게 바칠 세금을 직접적으로 뜯어내며 그 중 95%를 귀족이나 국가에 바치고 나머지 5%의 수수료 같은 물목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을 말한다. 이와 비슷한 유형이 스페인의 알 안달루스 지방에서도 일어났는데 무슬림 지주들이 카톨릭 농민들과 직접 충돌을 피하기 위해, 마름 일 같은 원성이 높은 일들을 유태인들에게 대신 맡겼다. 폴란드-리투아니아의 경우, 동부 지역의 영토는 인구 밀도도 낮고 큰 규모의 도시들이 발달하지 못해 상공업의 수익성이 낮았다. 따라서 서유럽에서 배척받던 유태인들이 비교적 정착하기 수월한 지역이었고 이들은 대부분 상공업에 종사하였다. 이윤이 많이 남는 대외 무역에는 주로 폴란드 내 독일인과 네덜란드인, 아르메니아인들이 장악했기에 유태인들이 할 수 있는 것은 마름일이나 아니면 독일인과 네덜란드인, 아르메니아인들과 중개 무역을 통한 이득을 취하는 일 밖에 없었다. 

 

그러니 자연스레 유태인과 정교도 농민은 서로 대립할 수밖에 없었고 유태인의 "선민사상(Chosen people thought)"은 선주민인 정교도들과 카톨릭교도들의 분노를 야기했다. 이와 같은 대립의 최초 직접적인 원인은 1881년 일어난 러시아 제국 제12대 차르 알렉산드르 2세의 암살 사건 때문이다. 알렉산드르 2세는 대표적인 개혁군주로 농노해방과 서민들의 생활 안정으로 내치를 강화한 인물이었기 때문에 일반 대중들의 지지를 받은 명망 있는 군주였다. 그런데 유태인 1명이 차르의 암살자와 연관있다는 사실이 와전되면서, 암살자가 유태인이라는 소문이 퍼지게 된다. 따라서 러시아 제국 내의 200여 개 마을과 도시들에서 유태인들에 대한 증오심이 폭발해 대거 공격을 받았다. 이 때 러시아 내 유태인들은 상당수의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입었다. 이것이 러시아에서 나타난 유태인을 향한 첫 번째 포그롬이었다. 원래부터 반유태주의가 강했던 러시아의 농촌 주민들은 러시아 제국의 농노 해방과 더불어 산업화 과정에서 유태인들 상당수가 도시에 유입되었다. 

 

기존에 도시에 터를 잡고 있던 현지인들과 유태인들의 충돌은 불가피했다. 특히 포그롬 중 베사라비아 (현 몰도바) 키시네프(Кишинeв)에서 일어난 유태인들이 카톨릭 신도의 어린아이를 유대교 예식을 위해 살해한다는 피의 중상(Blood libel)과 관련된 포그롬은 매우 잔혹했다. 이 사건은 당대에 세계적인 큰 충격을 주었는데 이에 시오니즘의 창시자 테오도르 헤르츨은 영국령 우간다 계획을 수립했다. 클라라 렘리히(Clara Lemlich, 1886~1982)를 비롯한 유테계 미국 노동운동가들은 이 때 러시아를 탈출해 미국에 정착했으며 심지어 일본의 기타 잇키(北一輝, 1883~1937)가 러일전쟁을 앞두고 러시아의 야만성을 규탄한 글에서 강동 64둔(江東六十四屯) 사건과 함께 이 사건을 언급하여 전쟁의 명분을 만들었을 정도였다. 당시 피의 중상이 있었던 키시네프는 유태인과 러시아인들 뿐만 아니라 다양한 민족들이 살던 곳이었는데 반유태주의적 성향의 신문 "베사라비아인"이 1903년 3월 어떤 마을에서 피의 중상이 벌어졌다는 기사를 실었으나 이는 지방정부에 의해 반박되었다.

 

그러나 이미 반유태주의가 고조되고 있었으며 이에 불안감을 느낀 유태인들은 급히 대표단을 만들어 베사라비아 주지사인 알렉산드르 라벤(Александр Равен)에게 보냈으나 자신은 유태인들이 피의 중상을 저질렀다고 믿지 않으며 또한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생각하지 않고 있다는 답변을 받고 돌아왔다. 그리고 4월 6일 부활절 첫 번째 날, 도시 광장들에서 유태인과 기독교인들 사이에서 충돌이 있었고 이후 약 30분 만에 도시의 대부분은 무질서 상태에 빠지게 된다. 이 상황에서 유태인 상점들이 파괴되고 약탈 되었으며 유태인들의 집들은 불에 전소되었다. 이러한 사건을 보고 받은 주지사 알렉산드르 라벤은 군부대에 전보를 넣고 사태 진정을 요구했으나 대부분의 장교와 일부 사병들은 부활절 휴가로 병영을 나간 상태였기 때문에 빠른 대응이 불가능했다. 그로 인해 저녁까지 폭동이 계속되었다가 잠잠해졌으나 다음날 아침에 이와 같은 포그롬은 다시 재개되었고 최종적으로 낮에 소집된 군대가 거리에 진입하면서 완전히 포그롬은 진압되었다. 

 

군대는 폭동 진압을 위해서 총기를 사용할 것에 대한 허가를 받았으나 군중들은 군대를 보자마자 도주했기 때문에 실제로 총격전은 일어나지 않았다. 이 키시네프 포그롬에 대한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가 편찬한 <유태 백과사전>에 의하면 49명의 유태인들이 사망했고, 586명이 부상을 당했으며, 1,500채 이상의 집이 훼손되었음이 기록되었다. 반면 러시아 로마노프 제국 공식 보고서에 따르면 42구의 시신이 발견되었고 이 중 38구가 유태인들이며 이들은 몽둥이와 돌, 삽, 도끼 등에 의해 잔혹하게 살해당했고 총상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456명이 부상을 당했고 1,350여 채의 가옥이 훼손되었던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후 대대적인 치안 강화령이 떨어졌고 800~1,000여 명이 폭력 행위에 가담한 혐의로 체포되었다. 주지사 라벤은 해임되었으며 이후 친 유태인 성향의 세르게이 우루소프(Сергей Урусов)가 새 주지사로 임명되었다. 그리고 경찰 고위 간부들 역시 해임되거나 좌천되면서 폭동은 일단락 되었다. 

 

4월 24일 내무장관 그레고리 플레베(Грегори Плебе)에 의해 차르가 모든 지방 정부 책임자들에게 포그롬으로 인한 혼란을 종식시키기 위해 조치를 취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 성명서가 발표된 이후, 러시아 정부는 피해자들에게 보상금을 지불했다. 당국은 일부 책임을 유태인들에게 돌렸으나 그들을 정식으로 기소하지는 않았다. 그리고 5월에는 유태인들의 거주구를 150여 개 도시와 마을로 확대하는 칙령을 발표하여 유태인들의 민심을 달랬다. 그리고 러시아 전국에 시민들이 키시네프 사건의 피해자들을 돕기 위해 모금 활동을 했으며 이에 일부 시민들은 매우 과한 처사라며 모금 활동 주동자들에 대해 비난했다. 이들을 중심으로 한 집단은 보수주의자인 미하일 카트코프(Михаил Катков)를 중심으로 한 루스키 베스트니크(Русский Бестник)였는데 이 집단은 각종 시사 잡지들을 발행하기도 했다. 이 잡지에서는 분명히 사건에 가담한 자들 뿐 아니라 이를 예방하고 신속하게 막아야 했던 자들도 역겹고 부끄러운 자들이다며 분노를 표출했다. 

 

노보예 브례먀(Новое Бремя)는 "최근 역사상 키시네프와 같은 포그롬은 존재하지 않았고 이런 일이 다시 일어나는 것은 하나님께서 허용하지 않으실 것이다"라는 기사를 실어 비난했다. 그러나 키시네프 포그롬이 끝난 이후에도 각 민족, 종교들 간의 충돌이 계속해서 이어졌고 한 해 동안 유태인을 대상으로 하는 절도, 강도, 살인 사건이 급증하여 1,000명 이상이 유태인에 대한 범죄 혐의로 체포되어 재판을 받았다. 반체제 성향의 변호사들은 이를 정치 투쟁을 위해 이용하고자 했다. 1903년 5월 영국 언론은 내무장관 그레고리 플레베가 주지사 라벤에게 포그롬이 임박했으나 저지하지 말고 방관하라는 내용이 담긴 전보를 중간에 탈취했다고 기사를 쓰기도 했으며 이로 인해 러시아 정부가 해당 포그롬을 주도했다는 비방이 일어나기도 했다. 물론 당연하게도 탈취했다는 원본은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는 거짓일 것을 의심되었으며 러시아 혁명으로 로마노프 제국이 무너진 후 위원회가 이를 조사했지만 증거를 찾지 못했다. 따라서 "플레베의 포그롬 전보"는 거짓으로 판명됐다. lukybaby7@gmail.com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he Story of the Kishinev Pogrom (Кишинёвский Погром), the Hatred of the Jewish Race During the Romanov Empire in Russia

 

- Columnist Gil-seon Jeong

 

The word pogrom (Погром) is a word that has no universal definition or strictly established standards. It usually refers to anti-Semitic riots and massacres that occurred in the Romanov Empire and Eastern Europe, as well as ethnic and religious conflicts related to Jews. In a broader sense, it refers to anti-Semitic riots and massacres that occurred not only in the Romanov Empire but also regardless of the era and country, and is even used as the same word as the Holocaust. In the end, everything from simple, accidental acts of violence against Jews to intentional and organized massacres is referred to as pogrom. In the narrow sense of pogrom (Погром), I will describe the Judaophobia that occurred in the Romanov Empire and Eastern Europe.

 

Russia was not originally a country with a large Jewish population. However, the process of Jews entering Russia is mentioned as the first process of the partition of Poland. Poland was partitioned by Prussia, Austria, and Russia in the mid-to-late 18th century and disappeared into history. Therefore, the area where a significant Ashkenazi Jewish population lived was the area of ​​today's Ukraine and Belarus, which came under Russian rule. The reason is that during the Polish-Lithuanian Kingdom, when the Hanseatic League, which was active in the Baltic region, declined, Jews were encouraged to migrate to the country in order to promote commerce and industry and secure tax revenues, while the serfs were harshly exploited. The nobles of the Polish-Lithuanian Kingdom were mostly Catholics, and the serfs in Galicia (present-day western Ukraine) and Belarus at the time were mostly Orthodox. However, the nobles tended to assign the work of the slaughter to Jews in order to avoid direct conflict with the Orthodox serfs. At that time, a marm was an agent or manager who collected land, finance, and taxes on behalf of the tenants, and in the case of land, he was a person who received rent from tenants and actually decided who to lend land to and how much. In the case of finance, he was a person who directly collected taxes that should have been paid to the nobles, gave 95% of it to the nobles or the state, and lived off the remaining 5% as a commission. A similar type of pattern occurred in the Al-Andalus region of Spain, where Muslim landowners, in order to avoid direct conflict with Catholic peasants, entrusted highly resented work such as the marm work to Jews instead. In the case of Poland-Lithuania, the eastern region had a low population density and did not develop large-scale cities, so the profitability of commerce and industry was low. Therefore, it was a relatively easy area for Jews, who had been excluded from Western Europe, to settle, and most of them engaged in commerce and industry. Since the profitable foreign trade was mainly controlled by Germans, Dutch, and Armenians in Poland, the only thing Jews could do was to work as a clerk or gain profits through brokerage trade with Germans, Dutch, and Armenians.

 

So naturally, Jews and Orthodox peasants were inevitably at odds with each other, and the Jewish “chosen people idea” aroused the anger of the indigenous Orthodox and Catholics. The first direct cause of this conflict was the assassination of Alexander II, the 12th Tsar of the Russian Empire, in 1881. Alexander II was a representative reformist monarch who strengthened domestic affairs by freeing serfs and stabilizing the lives of the common people, so he was a prestigious monarch who enjoyed the support of the general public. However, when the fact that a Jew was connected to the Tsar’s assassin was distorted, rumors spread that the assassin was Jewish. As a result, over 200 villages and cities in the Russian Empire were attacked in large numbers due to an explosion of hatred against Jews. At this time, Jews in Russia suffered significant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This was the first pogrom against Jews in Russia. The rural population of Russia, which had strong anti-Semitism from the beginning, saw a significant influx of Jews into the cities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along with the liberation of serfs in the Russian Empire.

 

Conflicts between the locals who had already settled in the cities and the Jews were inevitable. In particular, the pogrom related to blood libel, in which Jews killed Catholic children for Jewish rituals in Kishinev, Bessarabia (now Moldova), was extremely brutal. This incident shocked the world at the time, and Theodore Herzl, the founder of Zionism, established the British Uganda Plan. Clara Lemlich (1886-1982), a Jewish American labor activist, fled Russia and settled in the United States at this time, and even Kita Ikki (1883-1937) of Japan mentioned this incident along with the Jiangdong 64th Army Incident in his article denouncing Russian barbarism ahead of the Russo-Japanese War, creating a justification for war. At the time, Kishinev, where the bloody massacre occurred, was a place where not only Jews and Russians but also various ethnicities lived, and the anti-Semitic newspaper "Bessarabian" published an article in March 1903 claiming that a bloody massacre had occurred in a certain village, but this was refuted by the local government. However, anti-Semitism was already on the rise, and the Jews, feeling uneasy about this, quickly formed a delegation and sent it to the Governor of Bessarabia, Alexander Raven, but received a reply that he did not believe that the Jews had committed bloodshed or that they were in any danger. Then, on April 6, the first day of Easter, clashes broke out between Jews and Christians in the city squares, and within about 30 minutes, most of the city was in chaos. In this situation, Jewish shops were destroyed and looted, and Jewish houses were burned down. Upon hearing these events, Governor Alexander Raven sent a telegram to the military unit, requesting that the situation be calmed down, but most officers and some soldiers were out of barracks for Easter leave, so a quick response was impossible. The riots continued until the evening and then subsided, but the next morning, the pogrom resumed again and was finally completely suppressed when the army, which had been called up during the day, entered the streets.

 

The army was authorized to use firearms to suppress the riots, but the crowd fled as soon as they saw the army, so no actual gunfire occurred. According to the Jewish Encyclopedia compiled by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about this Kishinev pogrom, 49 Jews were killed, 586 were injured, and more than 1,500 houses were damaged.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official report of the Romanov Empire of Russia, 42 bodies were found, 38 of them Jews, who were brutally murdered with clubs, stones, shovels, axes, etc., and there were no gunshot wounds. In addition, 456 people were injured and 1,350 houses were damaged. Afterwards, a large-scale security measure was issued, and between 800 and 1,000 people were arrested for their involvement in the violence. Governor Raven was dismissed, and the pro-Jewish Sergei Urusov was appointed as the new governor. Senior police officers were also dismissed or demoted, and the riots came to an end.

 

On April 24, the Tsar issued an order to all local government officials, through Interior Minister Grigori Plebe, to take steps to end the chaos caused by the pogroms. After this statement, the Russian government paid compensation to the victims. The authorities attributed some of the blame to the Jews, but did not formally prosecute them. In May, a decree was issued to expand Jewish settlements to 150 cities and towns, thus appeasing Jewish sentiment. And citizens all over Russia raised funds to help the victims of the Kishinev incident, and some citizens criticized the organizers of the fundraising, saying that it was an excessive action. The group centered around them was the Russian Bestnik (Русский Бестник), led by the conservative Mikhail Katkov (Михаил Катков), which also published various current affairs magazines. The magazine clearly expressed its anger, saying that not only those involved in the incident, but also those who should have prevented and quickly stopped it were disgusting and shameful.

 

Novoe Bryemya (Новое Бремя) criticized the incident by publishing an article stating, "There has never been a pogrom like Kishinev in recent history, and God will not allow it to happen again." However, even after the end of the Kishinev pogrom, conflicts between ethnic groups and religions continued, and during the year, theft, robbery, and murder targeting Jews increased rapidly, and more than 1,000 people were arrested and tried on charges of crimes against Jews. Anti-establishment lawyers tried to use this for political struggle. In May 1903, the British press reported that Home Secretary Gregory Plebe intercepted a telegram to Governor Raven informing him that a pogrom was imminent and that he should not stop it but stand by. This led to slander that the Russian government was in charge of the pogrom. Of course, since the original that was supposedly intercepted was not made public, it was suspected that it was false, and after the collapse of the Romanov Empire due to the Russian Revolution, a committee investigated it but found no evidence. Therefore, "Plebe's Pogrom Telegram" was proven to be false. lukybaby7@gmail.com

 

*Author/ Jeong Gil-seon.

 

 

Member of Novatopos, historian, paleoanthropologist, columnist, research professor at the Institute of Eurasian Paleoanthropology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