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주은행, 창립 56주년 기념식 개최

지역경제 발전을 위해 헌신한 감사고객에게 감사패 전달 , 글로벌 금융환경 변동성 확대 속에서도 사랑과 격려 보내주신 고객님과 지역민들 덕분에 많은 시련들을 슬기롭게 극복해

이학수기자 | 기사입력 2024/11/20 [14:07]


(광주=브레이크뉴스) 이학수 기자=광주은행은 20일, 본점에서 창립 56주년을 맞이해 고병일 은행장을 비롯한 임직원과 감사고객 등이 참석한 가운데 창립 56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창립 기념식에서는 지역경제 발전을 위해 헌신하고, 광주은행의 56년을 위해 성원을 보내주신 감사고객에게 감사패를 전달했다. 또한 맡은 바 업무에 최선을 다한 우수직원들에게 표창장을 수여하는 등 고객과 직원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달하며, 광주은행의 지난 56년 역사를 다시 돌아보고 지역민의 성원에 보답하기 위한 임직원들의 마음가짐을 새롭게 다지는 시간을 가졌다.

 

고병일 광주은행장은 기념사에서 “최근 국제적인 고금리와 고물가,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등 글로벌 금융환경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언제나 한결같은 마음으로 사랑과 격려를 보내주신 고객님과 지역민들 덕분에 많은 시련들을 슬기롭게 극복하고, 이제는 총자산 31조원에 이르는 명실상부한 광주·전남 대표은행으로 탄탄하게 성장했다”며, “앞으로도 지역경제의 든든한 버팀목이자 금융파트너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가장 가까운 곳에서 먼저 찾아가는 금융실천을 통해 지속 가능한 100년 은행으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더불어 광주은행의 미래 영속성을 높이고 광주·전남 대표은행으로서 책임 있는 성장을 위한 네 가지 전략을 제시했다.

 

▲지역밀착 상생경영 실천

: 기업금융 조직과 지역 맞춤형 금융서비스 확대를 통해 지역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금융지원 강화

▲핀테크·플랫폼 제휴와 협업을 통한 미래먹거리 발굴

: 토스뱅크와의 전략적 협업을 바탕으로 금융권 최초로 출시한 혁신금융서비스인 ‘함께대출’ 지원 강화 및 외국인 금융서비스 확대를 통한 금융 영토 확장

▲고객중심 가치 실천

: 내부통제 생활화, 임직원의 윤리 의식 확립을 통한 신뢰를 바탕으로 기본과 원칙 중심의 고객가치 실천

▲다시 기본에서 출발

: 광주은행만의 차별화된 실행력을 기반으로 시시각각 변하는 시대에 유연하고 즉각적으로 대응

 

1968년 11월 20일, ‘지역 경제 발전과 소상공인 및 중서민을 위한 금융지원’ 이라는 가치와 함께 자본금 1억 5천만원, 총 직원 50여명으로 첫 발을 내딛은 광주은행은 56년의 역사에서 크고 작은 외풍을 이겨내며 총자산 31조원, 영업점 123개, 총 직원수 1,700여명으로의 성장을 거듭하며 광주·전남을 대표하는 향토은행으로 성장했다.

 

무엇보다도 지역을 대표한다는 사명감과 책임감을 갖고 지역 소상공인과 중서민의 고통을 분담하고자 실질적인 지원책 모색에 큰 힘을 쏟고 있다. 지역경제가 힘든 순간마다 광주은행은 가장 먼저 손을 내밀고 옆을 지켜오고 있으며, 올해 1조 3천억원 규모의 상생금융지원과 293억원의 민생금융지원을 통해 지역 자금난 해소 역할을 톡톡히 해내며 지역밀착 상생경영을 실천해 오고 있다.

 

또한, 전 임직원이 참여한 고향사랑기부제와 지역밀착 상생경영을 기반으로 시중은행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광주광역시 1금고를 수성하며 56년째 굳건히 자리를 지켜내고 있고, 지난 8월에는 지역 예금을 받는 지방은행이 지역경제 성장을 돕는데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로서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매년 공개하는 ‘지역재투자평가’에서 4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달성하면서, 그동안 광주은행이 지역과의 상생발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을 뿐 아니라 지역경제 선순환 구조의 동맥 역할을 충실히 해내고 있음을 인정받았다.

 

이외에도 미국의 경제지 ‘포브스(Forbes)’와 ‘CNBC’에서 각각 ‘2024년 세계 최고의 은행’과 ‘2024 아태지역 최고의 은행’을 선정한 가운데, 광주은행이 인터넷전문은행인 토스뱅크와 카카오뱅크에 이어 ‘2024 World’s Best Banks’ 국내 3위를 달성했으며, 한국능률협회에서 주관하는 ‘2024년도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K-BPI)’에서 2018년부터 7년 연속 지방은행 부문 1위로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이처럼 국내외 다양한 지표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 가능성을 보여준 광주은행은 디지털 금융혁신에 더욱 박차를 가하며 미래 경쟁력 확보에 나서고 있다.

 

기존의 틀을 깬 새로운 금융서비스를 발굴하기 위해 지난 8월, 토스뱅크와의 전략적 협업을 바탕으로 금융권 최초로 혁신금융서비스인 ‘함께대출’을 출시해 연내 2,500억원 돌파가 예상되며, 미래 수익원 확보를 위한 외국인 금융서비스와 디지털 제휴 및 협업 확대를 통해 미래먹거리를 발굴하여 새로운 금융영토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당기순이익의 10% 이상을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에 환원함으로써 지역사회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수해나 코로나19 확산 등 지역에 위기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생활필수품으로 구성된 긴급구호박스 ‘사랑꾸러미’, ‘응원꾸러미’등을 임직원들이 직접 제작해 전달하는 봉사활동을 상시 진행하고 있으며, 지역 출신 학생들을 대상으로 장학사업과 금융교육 프로그램 확대, ‘희망이 꽃피는 공부방(129호)’, ‘희망이 꽃피는 꿈나무(10호)’ 등을 통해 지역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지원부터 소년소녀·다문화가정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지원활동에도 힘쓰고 있다.

 

앞으로도 광주은행은 ‘지역 대표은행’이라는 본연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며, 지역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전파해 지역과 동반성장할 수 있는 초우량 100년 은행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Gwangju Bank Holds 56th Anniversary Ceremony

Appreciation plaques presented to grateful customers who have devoted themselves to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al economy, thanks to customers and local residents who have sent love and encouragement even amidst the increasing volatility of the global financial environment, we have wisely overcome many hardships

(Gwangju=Break News) Reporter Lee Hak-soo=Gwangju Bank announced on the 20th that it held a ceremony to commemorate its 56th anniversary at its head office, attended by CEO Koh Byeong-il, executives, and grateful customers.

At the ceremony, appreciation plaques were presented to grateful customers who have devoted themselves to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al economy and supported Gwangju Bank for 56 years. In addition, awards were presented to excellent employees who have done their best in their assigned tasks, expressing gratitude to customers and employees, and taking the time to look back on the 56-year history of Gwangju Bank and renew the mindset of executives and employees to repay the support of local residents.

In his commemorative speech, Gwangju Bank President Koh Byeong-il said, “Amidst the recent global financial environment volatility due to high interest rates, high prices, and uncertainty in the financial market, we have been able to wisely overcome many hardships thanks to our customers and local residents who have always sent us love and encouragement, and now we have grown steadily into a true representative bank of Gwangju and Jeonnam with total assets of 31 trillion won.” He added, “We will continue to faithfully fulfill our role as a strong supporter of the local economy and a financial partner by first reaching out to nearby places and growing into a sustainable 100-year-old bank.” He also presented four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future sustainability of Gwangju Bank and for responsible growth as a representative bank of Gwangju and Jeonnam. ▲Practice of regional-focused, win-win management

: Strengthening financial support for local SMEs and small business owners through expansion of corporate finance organizations and regional customized financial services

▲Discovering future food sources through fintech and platform partnerships and collaborations

: Strengthening support for ‘Hamtogether Loan’, an innovative financial service first launched in the financial sector based on strategic collaboration with Toss Bank, and expanding financial services for foreigners to expand financial territory

▲Practice of customer-centered values

: Practicing customer value centered on basics and principles based on trust through internal control in daily life and establishing ethical awareness among employees

▲Starting from the basics again

: Responding flexibly and immediately to the ever-changing times based on Gwangju Bank’s differentiated execution capabilities

Gwangju Bank, which took its first steps on November 20, 1968 with a capital of 150 million won and a total of 50 employees, has overcome major and minor external forces over the past 56 years and has grown to total assets of 31 trillion won, 100 branches, With 123 branches and a total of 1,700 employees, it has grown into a regional bank representing Gwangju and Jeonnam.

Above all, it is putting great effort into finding practical support measures to share the pain of local small business owners and middle-class people with a sense of mission and responsibility to represent the region. Whenever the local economy is struggling, Gwangju Bank is the first to reach out and stay by its side. This year, it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resolving the local financial crisis through 1.3 trillion won in mutual financial support and 29.3 billion won in livelihood financial support, and has been practicing mutual management closely related to the region.

In addition, based on the hometown love donation system in which all former employees participated and the local community-based mutual growth management, it has maintained its position for 56 years while maintaining its position as the No. 1 credit union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in the midst of fierce competition with commercial banks, and in August of last year, it achieved the highest grade for four consecutive years in the ‘Regional Reinvestment Evaluation’ published annually by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and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as an indicator of how much local banks that receive local deposits have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the local economy. As a result, Gwangju Bank has been recognized for its various efforts to mutually develop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for faithfully fulfilling its role as an artery in the virtuous cycle of the local economy. In addition, while the American economic magazine ‘Forbes’ and ‘CNBC’ selected the ‘World’s Best Banks 2024’ and ‘Asia-Pacific’s Best Banks 2024’ respectively, Gwangju Bank achieved 3rd place in Korea in the ‘2024 World’s Best Banks’ following internet-only banks Toss Bank and Kakao Bank, and achieved the feat of being selected as 1st place in the local bank sector for 7 consecutive years since 2018 in the ‘2024 Korea Brand Power Index (K-BPI)’ hosted by the Korea Productivity Association.

Having shown the potential for sustainable growth through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dicators, Gwangju Bank is further accelerating digital financial innovation and securing future competitiveness.

In order to discover new financial services that break the mold, in August of last year, based on strategic collaboration with Toss Bank, the company launched the innovative financial service ‘Hamkke Loan’, the first of its kind in the financial sector, and it is expected to surpass KRW 250 billion within the year. In addition, it is spurring the expansion of new financial territories by discovering future food sources through expansion of digital partnerships and collaborations with foreign financial services to secure future sources of revenue.

In addition, it is highly evaluated in the local community by returning more than 10% of its net income to the local community through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Whenever a crisis occurs in a region, such as a flood or the spread of COVID-19, employees are constantly conducting volunteer activities to personally produce and deliver emergency relief boxes consisting of daily necessities, such as ‘Love Packages’ and ‘Cheer Packages’, and are also working on expanding scholarship programs and financial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from the region, and supporting education for fostering local talent through ‘Hope Blossoming Study Room (No. 129)’ and ‘Hope Blossoming Dream Tree (No. 10)’, as well as supporting socially disadvantaged groups such as boys and girls and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future, Gwangju Bank will continue to fulfill its original role and responsibility as a ‘regional representative bank’ and grow into an excellent 100-year-old bank that can spread positive influence in the local community and grow together with the region.


원본 기사 보기:브레이크뉴스 전남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