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족문화 대백과 사전은 “‘홍길동전(洪吉童傳)’은 조선 중기 허균이 지었다고 전하는 고전소설”로 소개하고 있다. “홍 판서의 서자로 태어난 홍길동이 신분 차별로 인한 갈등을 극복하고, 활빈당을 조직해 가난한 백성을 돕다 가, 자신의 무리를 이끌고 율도국으로 가 나라를 세워 국왕에 올랐다는 내용이다.
위키백과는 ”홍길동(洪吉同, 1443년? ~ ?)은 조선 연산군 때 충청도 일대를 중심으로 활동한 도적떼의 우두머리다“로 소개된다. 조선왕조실록과 몇몇 문헌들은 홍길동을 ”백성들을 수탈(收奪)하는 지방 수령(守令)들을 응징하는 「홍길동전」의 주요한 내용은 허균의 생각이 압축된 「유재론(遺才論)」 · 「호민론(豪民論)」 등에 잘 나타나 있다.”는 류(類)로, 전하고 있다.
허균이 쓴 소설인 홍길동전(洪吉童傳)의 한자를 풀이하면, ‘클홍(洪)+길할 길(吉)+아이 동(童)+전할 전(傳)’이다. 해석하면 “바다같이 큰-길한 이야기(스토리)를 만들어낸 아동(兒童)”이란 뜻이다.
이 소설은 “백성들을 수탈(收奪)하는 지방 수령(守令)들을 응징”하는 스토리를 지니고 있다. 우리민족의 미래를 예언하는 내용일 수도 있다. 허균은 1443년에 태어났으니 15세기를 살았던 인물이다. 올해부터 581년 전에 태어났다.
필자는 홍길동전(洪吉童傳)이란 소설은 우리 민족의 미래를 예시한 예언서라고 생각해봤다. 왜냐? 소설의 제목부터가 범상치 않다. 홍길동전(洪吉童傳)이란 제목 속에는 “글로벌 세상을 길(吉)하게 만드는 사람”이라는 내용이어서, 이 소설이 지향하는 바는 원대(遠大)하다. 후손인 우리들이 감당해야할 몫이다.
백성들을 수탈(收奪)하는 지방 수령(守令)들을 응징”하는 스토리처럼, 정의사회-정의국가인 율도국(栗島國)을 만든다는 이상향 건립의지를 실현해야 한다. 이 시대에 더 다가오는, 징치(懲治)의 의미도 있다.
홍길동은 “탐관오리를 징치(懲治)하고, 핍박받는 서민들을 위해 싸운 의적”이었다. 1980낸 5.18 광주민중항쟁은 군사 독재와 정면으로 대응했던 민중들의 투쟁이었다. 그 이후, 세계 속으로 광주민중항쟁이 수출되어 독재타도의 모델에 되고 있는 점을 중시한다.
인공지능 포털인 ‘뤼튼’에게 혼길동전에 대해 진문 했다. 아래는 그 답이다.
“《홍길동전》은 조선시대의 소설로, 허균이 지은 작품이다. 주인공 홍길동은 아버지는 양반, 어머니는 천민으로 태어나서 사회적 차별을 받으며 성장한다.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홍길동은 도적이 되어 부정한 부자를 처치하고, 약자들을 돕는다. 그는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어 여러 전투에서 승리하며, 결국 자신만의 왕국을 세우고 정당한 권력을 주장한다. 하지만 마지막에는 자신의 정체성을 인정받기 위해 떠나는 결단을 내린다. 이 작품은 사회적 불평등과 개인의 정체성, 정의에 대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홍길동은 단순한 도적이 아닌, 정의로운 인물로서 많은 사람들에게 영웅으로 여겨진다.”
글로벌 사회의 미래는 두 가지의 지향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는 완전한 민주주의를 지향한다. 둘째는 정의사회의 구현이다. 홍길동전은 현대 사회의 이 두 가지의 지향점을 예시하고 있다. 홍길동전은 사람이 사람을 업신여기는 것을 타파(打破)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소설은 사람이 모두 평등하게 잘 사는 나라를 희구한다. 율도국을 건설하려 한다. 이 소설은 한민족의 웅대한 미래를 예시했다고 생각한다.
홍길동전은 한민족의 미래를 예시하는 소설이다. 우리나라 작가(한강)가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시대, 허균의 소설 홍길동전(洪吉童傳)이 시대시대마다 우리에게 주어왔던 영감(靈感)이 지대(至大)했음을 묵상한다. moonilsuk@naver.com
*필자/문일석. 시인. 신문사(본지) 발행인.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he Story of Hong Gildong (洪吉童傳) is a prophecy that foreshadows the future of our people
-Moon Il-suk, publisher of the newspaper
The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introduces the story as “a classical novel written by Heo Gyun in the mid-Joseon period.” “Hong Gildong, born as the illegitimate son of Hong Panseo, overcomes conflicts caused by class discrimination, organizes the Hwalbindang to help the poor, and leads his group to Yuldo, where he establishes a country and becomes king.
Wikipedia introduces it as “Hong Gildong (洪吉同, 1443? ~ ?) was the leader of a band of bandits active mainly in the Chungcheong region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sangun of Joseo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several other documents describe Hong Gil-dong as a “type of person who punishes local governors who exploit the people, and the main content of “Hong Gil-dong Jeon” is well expressed in “Yu Jae-ron (遺才論)” and “Ho Min-ron (豪民論)” where Heo Gyun’s thoughts are condensed. The Chinese characters of Heo Gyun’s novel “Hong Gil-dong Jeon (洪吉童傳)” are “Keul Hong (洪) + Gil (吉) + Dong (童) + Jeon (傳).” The interpretation is “a child (兒童) who created a story as big as the ocean.” This novel has a story of “punishing local governors who exploit the people.” It could also be a prediction of the future of our people. Heo Gyun was born in 1443, so he lived in the 15th century. He was born 581 years ago this year. I thought that the novel The Story of Hong Gildong (洪吉童傳) was a prophecy that predicted the future of our people. Why? The title of the novel itself is unusual. The title The Story of Hong Gildong (洪吉童傳) contains the content of “a person who makes the global world auspicious,” so the goal of this novel is grand. It is a responsibility that we, the descendants, must shoulder. Just like the story of “punishing the local governors who exploit the people,” we must realize the will to establish an ideal society and a just nation, Yuldo-guk. There is also the meaning of punishment, which is more approaching in this era.
Hong Gil-dong was “a righteous thief who punished corrupt officials and fought for the oppressed common people.” The May 18 Gwangju Uprising of 1980 was a struggle of the people who confronted the military dictatorship head-on. Since then, the Gwangju Uprising has been exported to the world and has become a model for overthrowing dictatorship.
I aske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portal ‘Lyton’ about the Hong Gil-dong story. Below is the answer.
“The Hong Gil-dong story is a novel from the Joseon Dynasty, written by Heo Gyun. The protagonist Hong Gil-dong was born to a nobleman father and a commoner mother, and grew up under social discrimination. Hong Gil-dong, who wanted to find his own identity, became a thief, killed the corrupt rich, and helped the weak. He had outstanding abilities and won many battles, and eventually established his own kingdom and claimed legitimate power. However, in the end, he decided to leave in order to be recognized for his identity. This work deals with themes of social inequality, individual identity, and justice. Hong Gil-dong is not just a thief, but a righteous person, and is considered a hero by many people.” The future of global society has two goals. The first is to pursue complete democracy. The second is to implement a just society. The Story of Hong Gil-dong exemplifies these two goals in modern society. The Story of Hong Gil-dong contains content that breaks down the practice of people looking down on others. This novel aspires to create a country where all people live equally and well. It seeks to build a country of justice. I believe that this novel exemplifies the grand future of the Korean people. The Story of Hong Gildong is a novel that foreshadows the future of the Korean people. In an era when a Korean writer (Han Kang) won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Heo Gyun's novel The Story of Hong Gildong (洪吉童傳) contemplates the great inspiration it has given us in every era. moonilsuk@naver.com
*Author/Moon Il-suk. Poet. Publisher of a newspaper (this 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