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태규 소설가의 소설집 ‘해동머리’가 출간(출판사 ‘Human & Books’)됐다.
오태규 소설가는 소설집 간행과 관련 “표제소설 ‘해동머리’는 4.19묘지를 무대로 썼으며, 일테면 ‘알리바이 서설’은 한 천재 소설가를 모델로 썼다. 처음으로 지면에 발표했던 데뷔작 ‘한려수도’와 근자에 쓴 ‘영일소품’을 한자리에 모아놓고 보니, 동틀 녘 노을처럼 곱게 빛나고 있었다”면서 “지난 8월에 완성한 장편소설 ‘당신’ 11권 중에서 3권을 9월에 출간하기로 했는데, 이런저런 사정으로 다음으로 미뤄졌다. 그 좌절과 공허를 극복하기 위해 ‘해동머리’를 냈는데, 뜻밖에도 기쁨과 보람을 느꼈다”고 강조했다.
책 소개
오태규 소설집 『해동머리』에는 7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표제작 「해동머리」는 어느 묘지에서 봄이 될 때 일어난 사건을 주요 소재로 하고 있다. 여기서 묘지는 상징적인 공간이다. 겨울에서 봄이 올 때 날이 풀릴 무렵을 해동이라 하는데, 이 소설은 뭔가 풀릴 듯 말 듯 하는 삶의 한 과정을 미스터리 형식으로 추적해 나가고 있다. 이 소설집에 실린 작품들 다수는 오태규의 지난날 대표작을 뽑은 것이다.
이 소설에 대해서는 소설가 김승옥이 지난날 “우리 사회를 사나운 어둠 속으로 몰아넣고 있는 원흉은 바로 우리 자신들의 위선과 편견과 광기라는 사실을 증명해 보임으로써 우리를 아연케 하는 소설- 그것이 바로 오태규 문학의 읽지 않고 배길 수 없는 마력이다. 해부 의사처럼 냉정한 눈으로 우리 시대 어둠의 가면을 하나하나 벗겨 보이는 오 선배의 작가적 역량은 아마도 그 분이 반평생 영어 교사로 일해 오는 동안 어떤 면에서 사회의 ‘결백한 아웃사이더’로서 지낼 수밖에 없었던 처지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능력이 아닐까 나는 그렇게 생각해 본다.”라고 평했다. 김승옥의 평은 여전히 유효하다.
저자는 이 소설집에 대해 “나는 써놓은 글조차 세상에 내놓지 못하고 별의별 이유를 붙여서 항아리 속에 담아서 묻어버렸다. 타고난 나의 품부(稟賦)와도 무관치 않았다. 한때 몇 날을 뜬눈으로 새우며 고민했다. ‘이름을 낼 것이냐, 맘 편히 살 것이냐. 유명의 구속을 택할 것이냐, 무명의 자유를 택할 것이냐.’ 결국 나는 무명의 자유를 선택했다. 이제 와서 빈손으로 이생을 떠나간들 무엇을 아쉬워하랴. 한순간 한순간을 알차게 살아낸 것이 그저 감사할 따름이다.”라고 말한다. 물론 겸손이다.
이 소설집 『해동머리』는 오태규 소설의 진수이면서 7,80년대 소설작법의 한 전형을 보여주는 매력이 있다. 남인수가 부르는 <애수의 소야곡>은 그 시대의 창법이기에 시대는 흘러갔어도 여전히 매력이 있다. 오태규의 소설집도 그런 관점에서 접히면 오히려 신선함이 있다
질풍노도에서 영일(寧日)의 나날로
하응백 문학평론가((소설가)는 이 책에 대해 “오태규의 소설은 통시대적으로 우리 소설을 아우른다. 그의 소설에는 염상섭의 「표본실의 청개구리」(1921)부터 김동인의 「광염소나타」(1930)와 이상의 「봉별기」(1936), 김승옥의 「무진기행」(1964),「서울 1964년 겨울」(1966)의 특징들이 얼마 만큼씩 80년대적 상황을 배경으로 녹아 들어가 있다. 이러한 복합성과 복잡성이 그가 대중적 찬사를 받지 못한 이유로 보이기도 한다. 그의 박학다식과 다층적인 문화적 소양은 오히려 문학에 대한 순수성을 오히려 강화시켜, 그는 외골수로 자신만의 문학적 금자탑을 몰래 쌓아 왔다. 그에게 주어진 대가는 외로움일지라도 그는 자신의 신념을 굽히지 않았다”면서 “이 작품집에는 그의 초기작과 비교적 근작에 속하는 작품이 함께 숨을 쉬고 있다. 근작인 「영일소품」에 와서야 그는 편안해졌다. ‘영일(寧日)’이란 무사(無事)하고 편안(便安)한 날을 말함이 아니냐. 평생 문학으로 숨을 쉰 작가가 드디어 문학으로 영일의 나날을 찾았다. 선배작가를 이해하고 문학관 혹은 세계관으로 부딪혔던 동료와도 화해한다. 결국 그것은 세월과 맞잡은 악수이기도 하다.”고 평했다.
아래는 본문 발췌 내용이다.
“『해동머리』는 근자에 쓴 소설 세 편과 대폭 손질하고 다듬은, 내가 좋아하는 내 초기소설 네댓 편을 한데 모아서, 말하자면 오태규 문학의 ‘진수성찬’을 정성껏 차려서 세상에 내놓은 것이다. 소설가 길로 발을 들여놓았을 때 ‘나는 문학적 재능을 타고 났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고등학교 재학 중에 영어교사시험에 합격한, 뛰어난 어문학실력을 문학적 재능으로 간주하고 덤볐던 측면이 없지 않았지만 재능에 대한 믿음이 없었다면 나는 애초 문학을 넘보지 않았을 것이다. 80년대에 등단하고 나서 나는 곧잘 소설가인 나를 버리고 아름다운 소설을 찾아서 유랑의 길을 떠났다. 자신을 ‘딜레탕트’라고 자임하고 나서 프루스트, 포, 슈니츨러를비롯한 몇몇 작가들의 소설을 탐독하면서 걸핏하면 절필했다. 이데올로기소설이 휩쓸고 있는 80년대의 문단은 나에겐 찬바람 부는 황무지나 다름없었다. 나는 이데올로기의 한복판에 서기를 싫어했다. 이데올로기는 작품을 통해 위대한 업적을 성취할 수는 있어도 영원한 감동은 줄 수 없다고 생각했다. “나는 사소하고 하찮은 것, 가볍고 일상적인 것에서도 얼마든지 삶의 의미를 캐낼 수 있고 아름다움을 창조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瑣末主義) 그러나 그런 소설은 의식과 정의가 없다고 폄하되기 일쑤였다. 거대한 시대적 절규 속에서 나는 움츠려들지 않으려고 안간힘을 썼다. 어떤 사조 속에 소설이 규격화되고 유형화 되는 것도 싫었다. 문학이 선택받은 사람들이 모여서 관념의 유희나 즐기는 비원(秘苑)과 같은 것으로 전락하는 것이 서글펐다. 나는 문단과 담을 쌓았다.“
오태규는 어떤 소설가
전남 순천 출생이다. 조선대 법과를 졸업했다. 고등학교 재학 중에 문교부시행 영어교사시험에 합격했다. 한창 때 순천고, 순천대, 단국대 등에서 영어를 가르쳤다. 1982년 단편 「한려수도」가 월간문학 소설 신인상에 당선 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한 후, 일상적이고 평범한 것에서 크고 비범한 것을 캐내고 아름다움을 빚어내는 독특한 작품을 선보였다.
중단편소설집 『해동머리』(1983), 『작은 불평의 천국』(1992), 『제일강산』(2005), 『종생기』(2008), 연작소설 『우시아로 가는 길』(2022), 장편소설 『광장의 눈』(2004) 『친구 줄리앙』(2023), 수상록 『쾌적한 악몽』(1973), 『클럽방문기』(1993), 『내가 버린 시대』(2010), 『완벽한 구멍』(2018), 『아고니스트 당신 2014』(2023), 전 11권의 장편소설 『아고니스트 당신』(2008~2019) 등을 발표했다.
오태규 작품이 주목을 받는 것은 작가의 개성인 문체, 비단결같이 촘촘하고 섬세하고 유려한 ‘소설문장의 전범’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때론 추리소설 기법의 치밀한 완결성과 쉬르풍의 실험적이고 탐미적인 작품성이 금상첨화(錦上添花)라는 평가를 받았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Novelist Oh Tae-gyu publishes a collection of short stories, ‘Haedongmeori’
Organized by Park Jeong-dae
Novelist Oh Tae-gyu’s collection of short stories, ‘Haedongmeori’, has been published (published by ‘Human & Books’).
Regarding the publication of the collection of short stories, novelist Oh Tae-gyu emphasized, “The title novel, ‘Haedongmeori’, was set in the April 19th Cemetery, and for example, ‘Alibi Prologue’ was modeled after a genius novelist. When I put together my debut work, ‘Hanryeosudo’, which I pu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print, and ‘Yeongil Sopum’, which I wrote recently, they shined beautifully like the sunset at dawn.” He continued, “I had planned to publish three out of the 11 volumes of my full-length novel, ‘You’, which I completed last August, in September, but due to various circumstances, it was postponed. I published ‘Haedongmeori’ to overcome that frustration and emptiness, and unexpectedly, I felt joy and fulfillment.”
Book Introduction
Oh Tae-gyu's short story collection, Haedongmeori, contains seven stories. Among them, the title story, Haedongmeori, is based on an incident that occurred in a cemetery when spring came. Here, the cemetery is a symbolic space. Haedong refers to the time when the weather clears up from winter to spring, and this novel traces a process of life that seems to be about to be resolved in a mystery format. Many of the stories in this short story collection are representative works of Oh Tae-gyu's past.
About this novel, novelist Kim Seung-ok once said, "It is a novel that astonishes us by proving that the culprit that is driving our society into a fierce darkness is none other than our own hypocrisy, prejudice, and madness - that is the magic of Oh Tae-gyu's literature that you cannot help but read. The author commented, “I think that the ability of Oh, who, with his cold eyes like a anatomist, peels off the masks of darkness of our times one by one, is probably an ability that was naturally formed while he was working as an English teacher for half his life, and in some ways, he had no choice but to live as an ‘innocent outsider’ in society.” Kim Seung-ok’s comment is still valid.
The author says about this collection of short stories, “I couldn’t even present the writings I had written to the world, and buried them in a jar with various reasons. It was not unrelated to my innate nature. At one point, I stayed up for several days, worrying, ‘Should I make a name for myself or live comfortably? Should I choose the restraints of fame or the freedom of obscurity?’ In the end, I chose the freedom of obscurity. What would I regret if I left this life empty-handed now? I am just grateful that I lived every moment to the fullest.” Of course, it is humility. This collection of short stories, Haedongmeori, is the essence of Oh Tae-gyu's novels and has the charm of showing a typical example of the novel writing style of the 70s and 80s. Nam In-su's <Sorrowful Night Song> is a singing style of that era, so it still has charm even though the times have passed. When you look at Oh Tae-gyu’s collection of short stories from that perspective, it actually feels refreshing
From the storm and stress to the days of Yeongil
Literary critic Ha Eung-baek (novelist) said about this book, “Oh Tae-gyu’s novels encompass our novels from the entire era. His novels contain characteristics from Yeom Sang-seop’s “Green Frog in the Specimen Room” (1921), Kim Dong-in’s “Sonata of the Flame” (1930), Lee Sang’s “Bongbyeolgi” (1936), Kim Seung-ok’s “Mujin Gihaeng” (1964), and “Seoul 1964 Winter” (1966), all set against the backdrop of the 1980s. This complexity and intricacy may be the reason he did not receive popular acclaim. His erudition and multi-layered cultural knowledge actually strengthened his purity in literature, and he secretly built his own literary tower as a single-minded person. Although the price he was given was loneliness, he did not bend his convictions.” “In this collection of works, his early works and his relatively recent works coexist. It was only with his recent work, “Yeongil Sopum,” that he became comfortable. Doesn’t “Yeongil (寧日)” mean a day of peace and comfort? A writer who has spent his entire life breathing through literature has finally found Yeongil days through literature. He understands his senior writers and reconciles with colleagues with whom he clashed over literary views or worldviews. Ultimately, it is a handshake that has been made with time.”
Below is an excerpt from the text.
“『Haedongmeori』 is a collection of three recent novels and four or five of my favorite early novels that I have greatly revised and polished, so to speak, a ‘feast’ of Oh Tae-gyu’s literature, prepared with great care and presented to the world. When I first set foot on the path of a novelist, I thought, ‘I was born with literary talent.’ I considered my outstanding linguistic skills, such as having passed the English teacher exam while in high school, as literary talent. Although I did have some daring aspects, if I had not believed in my talent, I would not have even considered literature in the first place. After debuting in the 1980s, I often abandoned myself as a novelist and went on a journey in search of beautiful novels. Calling myself a “dilettante,” I devoured the novels of several authors, including Proust, Poe, and Schnitzler, and often gave up writing. The literary world of the 1980s, which was swept by ideological novels, was like a cold, windy wasteland to me. I hated standing in the middle of ideology. I thought that ideology could achieve great things through works, but could not give eternal emotions. I thought, “I can find the meaning of life and create beauty from trivial and insignificant things, light and everyday things.” (瑣末主義) However, such novels were often disparaged as lacking consciousness and justice. I tried hard not to shrink in the midst of the great cry of the times. I also didn't like novels being standardized and stereotyped in a certain trend. I was saddened by the fact that literature was being reduced to a secret garden where only a select few could gather and enjoy the play of ideas. I built a wall with the literary world."
Oh Tae-gyu, a novelist
He was born in Suncheon, Jeollanam-do. He graduated from Chosun University's law department. He passed the English teacher exam administe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hile attending high school. He taught English at Suncheon High School, Suncheon University, and Dankook University during his prime. After his short story "Hanryeosudo" won the Monthly Literature Novel New Writer's Award in 1982, he began his literary career by presenting unique works that dig up the great and extraordinary from the everyday and ordinary and create beauty. He published short story collections 『Haedongmeori』(1983), 『Small Heaven of Complaints』(1992), 『Jeilgangsan』(2005), 『Jongsaenggi』(2008), serial novel 『Road to Usia』(2022), full-length novels 『Eyes of the Square』(2004) and 『Friend Julien』(2023), essays 『Pleasant Nightmare』(1973), 『Club Visit』(1993), 『The Era I Abandoned』(2010), 『Perfect Hole』(2018), 『Agonist You 2014』(2023), and a total of 11 full-length novels 『Agonist You』(2008-2019). The reason why Oh Tae-gyu's works are receiving attention is because you can see the author's unique writing style, a 'model of novel writing' that is as dense, delicate, and elegant as silk. Sometimes, the meticulous completeness of the detective novel technique and the experimental and aesthetic quality of the surreal style were evaluated as the icing on the c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