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김대중 평전’ 쓴 김택근 작가 ‘김택근의 묵언(默言)’이란 저서 출간

박정대 기자 | 기사입력 2024/11/20 [02:30]

▲ 김택근 작가.    사진/김택근 페이스북.

『김대중 자서전』과 『새벽: 김대중 평전』 쓴 김택근 작가가 쓴 묵언이란 저서가 출간(동아시아 출판사)됐다.

 

출판사 측은  “오랜 기자 활동으로 얻은 단단한 논리와 시적 정서는 수많은 독자의 마음에 깊은 울림을 전해왔다. 중언부언 설명하지 않고 본질에 닿으나, 인간과 자연 앞에서 언제나 겸허한 저자의 글은 맑고 예리해 어지러운 마음을 정화한다”고 소개한다. 

 

이어  “김택근의 글은 시대를 뛰어넘는 통찰의 기록이기도 하다. 지난 글이 바로 지금의 현실을 관통한다. 수십 년간 그의 칼럼은 혐오로 얼룩진 정치를 꾸짖고, 국가적 참사에 희생된 이들을 호명했으며, 잃어버린 시절과 자연을 노래했다. 오늘날에도 유효할 뿐 아니라 몇 번이고 곱씹고 읽게 만든다. 그래서 소설가 정지아는 “김택근의 글은 잘 벼린 칼처럼 우리 마음에 새기게 한다”라며 찬사를 보냈으며, 시인 신대철은 “누구나 어느 순간 그의 묵언과 강렬하게 부딪힐 것”이라 단언했다.“고 강조했다.

 

출판사측은 서평에서 “뉴스를 틀면 연일 어지러운 세태에 현기증이 난다. 진영 논리로 무장한 권력자들의 선동과 날조 그리고 폭력이 난무한다. 어느덧 우리 주변을 둘러싼 뉴미디어는 소통의 자유를 가져다주는 듯했으나 오히려 가치 편향에 일조하고 있다. 어느 때보다 소란한 시대를 지나고 있는 우리에게 지금 가장 절실한 것은 더 이상 말이 아닌 반성과 성찰이다”고 알렸다.

 

서평에 의하면,  『김택근의 묵언』의 저자 김택근은 시인이다. 1984년 잡지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해 《경향신문》에서 30여 년간 편집기자로 일했다. 2004년부터 2010년까지 6년간 김대중 자서전을 집필하기도 했다. 기자로 활동하며 김택근이 얻은 별명은 ‘문장의 고수’, ‘늙지 않는 시인’이다. 객관과 논리로 치밀한 문장을 써내면서도 세상을 향한 따뜻한 시인의 시선을 놓지 않기 때문이다. 시대적 성찰과 시적 성찰을 바탕으로 한 김택근의 글은 그래서 단단하면서도 서정적이다. 이 책은 저자가 《경향신문》, 《주간경향》, 《월간불광》 등에 연재한 칼럼을 다듬어 엮은 책이다. 수십 년간 그가 쓴 칼럼은 혐오로 얼룩진 정치를 꾸짖고, 국가적 참사에 희생된 이들을 호명했으며, 잃어버린 시절과 자연을 노래했다. 기자의 눈으로는 논리의 전장을 봤지만 시인의 마음으로는 시대의 아픔을 다뤘다. 중언부언 설명하지 않고 본질에 닿으나, 인간과 자연 앞에서 언제나 겸허한 저자의 글은 맑고 예리해 어지러운 마음을 정화한다. 김택근의 글을 만난 이들이 하나같이 산문의 교범으로 꼽는 이유다. 소설가 정지아는 『묵언』에 대해 “김택근의 글은 잘 벼린 칼처럼 우리 마음에 새기게 한다. 참을 수 없이 가벼워진 세상에서 그의 깊고 진한 사랑은 한사코 낮은 것을, 겨우겨우 사는 것을 향한다”라고 했으며, 전 청와대 연설비서관 강원국은 “오래전부터 김택근의 문장을 부럽게 훔쳐봤다. 읽고 또 읽었다. 베끼고 흉내 냈다”라고 고백했다.

 

책 소개에 따르면, 《경향신문》에 연재한 동명의 칼럼 제목인 ‘묵언’의 뜻에 대해 저자는 “말로 지은 삿된 것, 헛된 것을 부수자는 의미”라며 “말이 극도로 오염된 시대에 묵언은 정화이자 성찰”이라고 말한다. 혐오의 말로 얼룩진 시대에서 벗어나 성찰의 눈을 갖고자 하는 이들에게 『김택근의 묵언』은 오래 두고 펼쳐볼 만한 책이다.

 

▲ 김택근     ©브레이크뉴스

김택근 작가 인물정보

 

현대문학가. 수필가. 1983년 박두진 시인 추천으로 잡지 《현대문학》에 시를 발표하며 시인으로 등단했다. 응축된 문장과 감정선을 파고드는 문체가 특색이다. 동국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했다. 경향신문에서 종합편집장, 문화부장, 논설위원 등을 역임했다. 파격과 정곡을 찌르는 신문 편집자로, 예리하면서 따뜻한 시선을 담은 칼럼 필자로서 시대를 말해왔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직접 요청해 『김대중 자서전』을 썼고, 『성철 평전』 『용성 평전』도 집필했다. 도법 스님과 함께 걸은 국토순례 기록인 『사람의 길 - 생명평화 순례기』처럼 평화와 생태의 중요함을 강조한 글을 다수 썼다. 『몽실언니』로 유명한 은둔 동화작가 권정생 선생을 처음 인터뷰했고, 그 인연으로 『강아지똥별 - 별이 된 사람 권정생』이라는 동화책을 내기도 했다. 그 밖에 동화책 『벌거벗은 수박도둑』, 에세이집 『뿔난 그리움』 등이 있다. 정읍시 신태인읍 출신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Author Taek-geun Kim, who wrote the biography of Dae-jung Kim, publishes a book titled ‘Tak-geun Kim’s Silence’

 

-Reporter Park Jeong-dae

 

Author Kim Taek-geun, who wrote “Kim Dae-jung’s Autobiography” and “Dawn: Kim Dae-jung’s Biography,” has published a book titled “Muk-eon.”

The publisher says, “The solid logic and poetic sentiments he has acquired through his long career as a journalist have deeply resonated with the hearts of countless readers. The author’s writing, which gets to the essence without being redundant and always humble before humans and nature, is clear and sharp, purifying dizzy minds.”

He continues, “Kim Taek-geun’s writing is also a record of insight that transcends time. His past writings penetrate the current reality. For decades, his columns have scolded politics stained with hatred, called out the names of those who have fallen victim to national disasters, and sang of lost times and nature. It is still relevant today, and makes us reread it over and over again. So novelist Jeong Ji-ah praised him, saying, “Kim Taek-geun’s writing is like a well-sharpened knife that engraves itself in our hearts,” and poet Shin Dae-cheol emphasized, “Everyone will strongly collide with his silence at some point.”

In the book review, the publisher said, “When I turn on the news, I feel dizzy from the chaotic world every day. Those in power armed with partisan logic are rampant with incitement, fabrication, and violence. The new media surrounding us seemed to bring freedom of communication, but instead, they are contributing to value bias. What we need most now, as we live through a more chaotic time than ever, is no longer words, but reflection and introspection.”

According to the book review, Kim Taek-geun, the author of “Kim Taek-geun’s Silence,” is a poet. He debuted in 1984 through the magazine “Modern Literature” and worked as an editor at “Kyunghyang Shinmun” for 30 years. He also wrote Kim Dae-jung’s autobiography for six years from 2004 to 2010. The nicknames Kim Taek-geun earned while working as a journalist are ‘Master of Sentences’ and ‘Poet Who Never Ages’. This is because he writes precise sentences with objectivity and logic, but does not lose the poet’s warm gaze toward the world. Based on contemporary reflection and poetic reflection, Kim Taek-geun’s writing is therefore solid and lyrical. This book is a compilation of columns the author wrote in Kyunghyang Shinmun, Weekly Kyunghyang, and Monthly Bulkwang. The columns he wrote for decades criticized politics stained with hatred, called out the names of those who were sacrificed in national disasters, and sang of lost times and nature. With the eyes of a journalist, he saw the battlefield of logic, but with the heart of a poet, he dealt with the pain of the times. The author’s writing, which gets to the essence without being redundant and always humble before humans and nature, is clear and sharp, purifying the dizzy mind. This is why everyone who has encountered Kim Taek-geun’s writing considers it a textbook for prose. Novelist Jeong Ji-ah said of “Muteun,” “Kim Taek-geun’s writing is like a well-sharpened knife that engraves it in our hearts. In a world that has become unbearably light, his deep and profound love is determined to pursue the lowly, the barely living.” Kang Won-guk, former presidential speech secretary, confessed, “I have long envied Kim Taek-geun’s writing. I have read and reread it. I have copied and imitated it.”

According to the book introduction, the author says about the meaning of “Muteun,” the title of his column of the same name in the Kyunghyang Shinmun, “It means to destroy the false and vain things created by words,” and “In an era where words are extremely polluted, silence is purification and reflection.” For those who want to escape from an era stained with hateful words and have eyes of reflection, “Muteun by Kim Taek-geun” is a book worth reading for a long time.

Kim Taek-geun, author, biographical information

Modern writer. Essayist. Debuted as a poet in 1983 by publishing a poem in the magazine “Modern Literature” at the recommendation of poet Park Du-jin. His characteristic style is his condensed sentences and emotional lines. He graduated from Dongguk University, Department of Korean Literature. He served as general editor, culture editor, and editorial writer at Kyunghyang Shinmun. As a newspaper editor who is both innovative and sharp, and as a columnist with a sharp yet warm perspective, he has spoken of the times. He wrote “Kim Dae-jung’s Autobiography” at the request of former President Kim Dae-jung, and also wrote “Biography of Seongcheol” and “Biography of Yongseong.” He has written many works tha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eace and ecology, such as “The Path of People - Pilgrimage to Life and Peace,” a record of his pilgrimage across the country with Monk Do-beop. He first interviewed the reclusive fairy tale writer Kwon Jeong-saeng, famous for “Sister Mongsil,” and through that connection, he published a fairy tale book titled “Puppy Poop Star - Kwon Jeong-saeng, the Man Who Became a Star.” Other works include the children's book 'The Naked Watermelon Thief' and the essay collection 'Horned Longing'. He is from Sintaein-eup, Jeongeup-si.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