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카라 인근 사카리아 강까지 몰려온 그리스군을 상대로 터키군은 장장 21일 동안 밤낮없이 백병전의 혈투를 벌였다. 당시에 사카리아 강 방면으로 대국민회의의 거점인 앙카라를 방어하기 위해 돌릴 수 있는 봉기군의 군대는 모두 투입했기 때문에 터키 봉기군은 이 전투에서 필사적일 수밖에 없었다. 이에 앙카라 수비군 전원이 이 전투에 투입되었는데 이곳에서 패하면 터키의 봉기는 끝이나 다름없었기에 무스타파 케말까지 말을 타고 최전선으로 나와 스스로 선봉에 서서 총으로 사격하고 장검으로 그리스군을 베어 넘기며 장병들을 독려했다. 다른 장군들과 마찬가지로 케말과 함께 최선봉에 서서 직접 총을 들고 싸우거나 그리스군을 장검으로 베면서 진군했다. 이와 같은 백병전의 혈투 끝에 비록 전사자 수는 터키군이 훨씬 더 많았지만 그리스군의 진군을 막아내고 그들을 물러서게 함으로서 최종적으로 저지시키는 데 성공했다.
여기서 터키군보다 병력과 무기도 우세한 그리스군이 왜 퇴각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역사학계의 견해들이 상당부분 엇갈리고 있다. 하지만 당시 그리스군도 전 병력을 사카리아에 집중시켰던데다 보급선이 매우 길었고 그나마도 투르크 민병대에게 지속적으로 습격받아 보급이 자주 차단되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더 이상 공세를 지속 할 수 없었다고 보는 것이 주류 해석이다. 게다가 앞서 중편 3에서 언급한 것처럼 당시 그리스의 인구는 500만이었는데 오스만 제국의 인구는 1,400만으로 터키 측이 그리스보다 압도적인 것도 한 몫하고 있었다. 그러나 군사력으로 볼 때, 그리스군은 거의 10만에 달했고 여기에 맞서는 터키군은 기껏해서 4만 정도였다. 그러나 앞서 말한 것처럼 민병대의 게릴라 방식으로의 활약과 터키의 전 국민이 터키군과 함께 싸웠고 땅도 터키의 홈그라운드였기 때문에 여러 외적인 부분으로 인해 오히려 그리스군이 공세 종말점에 이르렀던 것이다. 그렇기에 그리스군의 공세는 사실상 거의 불가능해졌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그리스와 터키의 주력군이 대규모 혈투를 벌인 끝에 간신히 터키가 승기를 잡은 것이다. 총력전에서 수성에 탁월하며 홈그라운드의 이점을 가진 국가가 결국 승기를 잡을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로 인해 앙카라 앞에서 그리스군의 공세를 성공적으로 저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 전투가 끝난지 얼마 지나지도 않아서 동부전선과 남부전선의 상황이 종결되었다. 동부전선의 아르메니아군은 민병대에게 패배하여 카프카스 본토로 철수했고 남부전선의 프랑스군도 가지안테프에서의 패배로 인해 더 이상을 힘을 쓰지 못하고 시리아로 철수했다. 그리하여 터키군은 모든 전력을 서쪽으로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사카리아 전투에서 전 국민과 함께 그리스 침략자와 싸워 이긴 덕택에 결국 전세는 역전되어 집단 서방의 연합군이 몰리는 형세로 접어들었다. 1922년 사기가 오른 터키군이 그리스군을 몰아붙여 이스탄불을 향하여 전진하기 시작하면서 병력과 무기의 우위에 있었던 그리스군이 도리어 열세인 상황에 놓이게 된다.
터키군은 패퇴하는 그리스군의 장비와 탄약, 포탄을 넉넉하게 노획했고 이를 그리스군에 도로 공세를 퍼부으면서 오히려 그리스군이 수세가 된 것이다. 이렇게 되자 이스탄불에서 전세를 관망하던 영국군과 이탈리아군은 전장에서 발을 빼기 위한 작업에 돌입했다. 영국군부는 터키 의회에 전쟁을 그만 매듭짓자고 요청했고 특사로 이스메트 파샤와 협상하겠다고 하였다. 그러자 영국의 요구에 따라 터키 의회는 이스메트 파샤를 보내기로 결정했으며 양측은 스위스의 로잔에서 만나 장장 1년 여에 걸친 회의를 거듭했다. 로잔에서의 회의에서 영국은 터키와 협상을 하면서 동시에 그리스군에 무기를 지원하는 등의 이중적인 행보를 보이며 그리스가 선전할 수 있게끔 시간을 질질 끌기 시작했다. 이와 같은 시간을 끌기 위한 전략 중 하나가 에디르네와 동부 트라키아 일부 지역은 그리스 영토로 하고 이즈미르는 터키의 영토로 하며 아나톨리아를 보전시키겠다는 제안을 하여 결정을 어렵도록 만든 것이다. 이에 이스메트 파샤는 터키 민족의 완전한 독립이 아니면 이런 회의는 의미가 없다며 초강경 자세로 버텼다.
영국도 그리스에 대한 물자 보급에도 한계가 있었다. 물론 그리스군에 물자를 대주면서 선전을 바라며 시간을 끌었지만 현실은 그리스군이 터키군에 계속 연전연패하고 있었다. 그러면서 영국의 지원한 물자는 터키 민병대에게 탈취당하거나 전투에서 노획당하기 일쑤였다. 거기에 적백내전이 평정되면서 국내 사정이 안정된 소련 볼셰비키는 터키 독립 전쟁에 비로소 관여하게 되면서 터키 독립군에게 각종 무기와 탄약, 물자들을 지원하면서 오히려 물량으로 터키가 그리스를 압도하기 시작했다. 터키군은 1922년을 기점으로 터키 전국에서 그리스군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있었으며 결정적으로 1922년 8월 30일 퀴타히아(Kütahya) 인근의 둠루프나르(Dumlupınar)에서 케말이 이끄는 터키군이 그리스군에 완승을 거두면서 더 이상 열강들도 시간을 끌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둠루프나르 전투에서의 승리는 사실상 결정적이었다. 터키군은 기세를 몰아 서쪽으로 진격해 9월 9일 그리스군의 아나톨리아 본거지였던 이즈미르를 탈환했다. 그와 동시에 수세에 몰린 그리스 본국에서는 쿠데타가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스 본국에서는 국왕 콘스탄티노스 1세(Constantinos I)와 왕당파 정권에 여론이 분노하고 있었다. 그리스군의 연전연패의 소식은 수많은 시민들이 그리스가 또 다시 터키에 정복당하는거 아니냐는 극도의 공포에 휩싸여 있었다. 이에 니콜라오스 플라스티라스(Νικόλαος Πλαστήρας) 대령을 위시로 한 베니젤로스 정파의 장교들이 9월 11일 쿠데타를 일으켜 왕당파 정권을 붕괴시켰고 콘스탄디노스 1세는 군부의 압박을 받아 퇴위하여 아들 요르요스 2세(Georgios II)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이탈리아로 망명하게 된다. 그리스 측은 이스탄불의 메흐메트 6세 술탄에게 서한을 보내 메르츠(에브로스) 강 서쪽의 에디르네 인근, 카라아아츠(Karagac)를 포함한 트라키아 동부를 즉각 그리스로 넘기라고 협박했다. 더불어 이즈미르 본거지를 잃은 그리스 군은 부르사도 터키군에 내주고 보스포루스 해협을 건너 동트라키아로 후퇴했다. 그리스군은 동트라키아를 지키기 위해 반격 준비에 나섰고 터키군 역시 마지막 목표인 이스탄불과 동트라키아로 진격하려 했다.
그러자 영국은 보스포루스 해협과 다르다넬스 해협을 건너오지 말라고 터키 의회에 최후 통첩을 날려 그리스를 보호하려 했으나 1차 세계 대전이 끝난지 얼마 되지 않았고 또 다시 전쟁이 확전되는 것을 원하지 않았던 이탈리아, 프랑스 등의 반대와 결정적으로 미국이 영국에 반대했기에 결국 영국 정부는 한 발 물러서게 된다. 그렇게하여 10월 11일 무다니아(Mudanya)에서 터키 의회와 협상국 사이에 휴전협정이 체결되어 전쟁은 마무리 국면에 접어들게 된다. 쿠데타 이후 복귀한 그리스 총리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Eleftherios Venizelos, 1864~1936)는 동트라키아, 특히 에디르네만큼은 어떻게 해서든지 지키려 노력했으나 결국 휴전에 동의하여 동트라키아에서 그리스군은 철수하게 된다. 이로써 터키군은 동트라키아에 주둔하게 되었고 전쟁은 1923년 7월 24일 로잔 조약이 체결되면서 비로소 끝나게 되었다.
로잔 조약에 따라 동트라키아와 이스탄불, 이즈미르는 정식으로 터키에게 되돌아왔으나 에게 해의 섬들은 터키 영토의 앞에 있는 섬까지 모두 그리스에게 넘겨주고 말았다. 터키와 그리스의 현재 국경선이 설정된 것은 이스탄불에 진주한 협상국의 수장인 영국 고등판무관이 터키 독립 전쟁을 지켜보다가 그리스군이 터키군에게 패배하여 에게 해로 밀려나자 그리스군을 구하고 전쟁이 확전되는 것을 막기 위해 터키 의회와 협상하여 동트라키아와 에게 해의 섬들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제안해 터키 정부가 동트라키아를 선택했기 때문에 에게 해가 그리스 영해가 되었던 것이다. 이로 인해 이 지역의 영해 범위를 놓고 터키와 그리스는 현재 영토 분쟁을 벌이고 있다. 또한 로잔 조약 당시 터키는 투르크계가 일부 분포하고 있는 키프로스 역시 포기했고 이에 반발한 투르크계가 키프로스에 북키프로스라는 신생 국가를 세워 독립하면서 키프로스 내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어쩌고 보면 그리스가 협상국으로 참가해 이득을 얻었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그리스가 터키 영토에 무리하게 욕심을 부렸다면 멸망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나마 제1차 세계대전의 승전국이기 때문에 영국이 구해준 것이나 다름없기에 특별히 그리스가 이득을 보았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 로잔 조약이 체결되고 나서 서방에서는 세브르 조약을 파기시킨 터키 정부에 대한 반감이 강해져서 한동안은 터키와 어떤 외교 관계도 수립하지 않았었고, 그래서 터키는 자신들과 신세가 같은 소련과 가까워지게 되었지만 무스타파 케말은 소련을 믿을 수 없다며 한편으로는 매우 경계했다. 영국군과 이탈리아군, 그리스군은 이스탄불에서 철수했으며 오스만 제국의 마지막 술탄인 메흐메트 6세 바히데틴(Mehmet Vahîdeddin VI)은 영국 군함에 올라 몰타로 망명했다. 무스타파 케말은 집단 서방 연합국에 이용당하던 오스만 제국 정부를 투르크 민족의 반역자로 규정했으며 그로 인해 터키 공화국의 건국 이후 오스만 제국의 황족들은 모두 국외로 추방당하는 신세가 되었다.
그리고 1923년 10월 29일에 터키 대국민의회는 공화국을 선언하며 오늘날의 터키 공화국을 건국하고 이 전쟁의 가장 큰 공로자이자 총사령관인 무스타파 케말을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세웠다. 그러면서 그에게 터키 국회는 1934년 '터키의 아버지'라는 뜻의 '아타튀르크' 경칭을 수여했다. 오스만 제국의 수도였던 코스탄티니예는 이스탄불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수도도 이스탄불에서 앙카라로 이전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lukybaby7@gmail.com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101st Anniversary of Turkish Independence, Battle of Sakiria and Establishment of Turkish Independence and Republic
- Columnist Jeong Gil-seon
The Turkish army fought a bloody hand-to-hand battle for 21 days and nights against the Greek army that had advanced to the Sakarya River near Ankara. At that time, all the troops of the uprising army that could be deployed to defend Ankara, the stronghold of the National Assembly, were deployed toward the Sakarya River, so the Turkish uprising army had no choice but to be desperate in this battle. Accordingly, the entire Ankara garrison was deployed in this battle, and if they were defeated here, the Turkish uprising would be over, so Mustafa Kemal rode a horse to the front line, stood at the forefront himself, fired a gun, and slashed at the Greek army with a long sword, encouraging the soldiers. Like other generals, he stood at the forefront with Kemal, fought with a gun himself, and advanced while slashing at the Greek army with a long sword. After this bloody close combat, although the number of casualties was far greater in the Turkish army, they were ultimately successful in stopping the Greek army's advance and forcing them to retreat.
There are considerable conflicting views among historians as to why the Greek army, which had superior numbers and weapons to the Turkish army, retreated. However, the mainstream interpretation is that the Greek army at the time had concentrated all its forces in Sakarya, had a very long supply line, and even then, they were constantly attacked by Turkish militias and frequently cut off from supply, so they could no longer continue the offensive. In addition, as mentioned in Part 3 above, the population of Greece at the time was 5 million, while the population of the Ottoman Empire was 14 million, so the Turkish side was overwhelmingly stronger than the Greeks. However, in terms of military power, the Greek army numbered almost 100,000, while the Turkish army opposing them numbered at most 40,000. However, as mentioned earlier, due to the guerrilla activities of the militia and the fact that the entire Turkish people fought alongside the Turkish army and the land was Turkey's home ground, the Greek army reached the end of its offensive due to various external factors. Therefore, it would be correct to say that the Greek army's offensive became virtually impossible.
After a large-scale bloody battle between the main forces of Greece and Turkey, Turkey barely managed to gain the upper hand. A country that excelled in defense in an all-out war and had the advantage of being on home ground had no choice but to gain the upper hand.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successfully block the Greek army's offensive in front of Ankara. And not long after this battle, the situation on the Eastern and Southern Fronts came to an end. The Armenian army on the Eastern Front was defeated by the militia and withdrew to the Caucasus mainland, and the French army on the Southern Front also withdrew to Syria, unable to exert any more force due to its defeat at Gaziantep. As a result, the Turkish army was able to concentrate all its forces to the west. Thanks to the victory in the Battle of Sakarya, where the entire nation fought against the Greek invaders, the situation was eventually reversed and the Western Allied Forces were forced to retreat. In 1922, as the Turkish army, with its morale boosted, began to push the Greek army and advance toward Istanbul, the Greek army, which had the upper hand in terms of manpower and weapons, found itself in a weaker position.
The Turkish army captured a lot of equipment, ammunition, and shells from the retreating Greek army, and with these, it attacked the Greek army, putting the Greek army on the defensive. In response to this, the British and Italian forces, who had been watching the situation in Istanbul, began to work on withdrawing from the battlefield. The British military requested the Turkish parliament to end the war and said that they would negotiate with Ismet Pasha as a special envoy. In response to the British request, the Turkish parliament decided to send Ismet Pasha, and the two sides met in Lausanne, Switzerland, and held meetings for a full year. At the Lausanne conference, Britain began to buy time by negotiating with Turkey while simultaneously providing weapons to the Greek army, thus allowing Greece to make a statement. One of the strategies for buying time was to propose that Edirne and parts of Eastern Thrace be Greek territory, Izmir be Turkish territory, and Anatolia be preserved, making it difficult to make a decision. Ismet Pasha took an extremely hard-line stance, saying that such a meeting would be meaningless unless the Turkish people achieved complete independence. Britain also had limits in its supply of materials to Greece. Of course, it bought time by providing supplies to the Greek army while hoping for a statement, but the reality was that the Greek army was continuously losing battles to the Turkish army. Meanwhile, the supplies Britain had provided were often seized by the Turkish militia or captured in battle. Furthermore, as the internal situation stabilized after the Red-White Civil War was quelled, the Soviet Bolsheviks finally became involved in the Turkish War of Independence, and as they provided various weapons, ammunition, and materials to the Turkish independence army, Turkey began to overwhelm Greece in terms of supplies. The Turkish army had been winning victories against the Greek army throughout Turkey since 1922, and on August 30, 1922, the Turkish army led by Kemal defeated the Greek army at Dumlupınar near Kütahya, which meant that the great powers could no longer afford to waste time. The victory at Dumlupınar was in fact decisive. The Turkish army continued its momentum and advanced westward, recapturing Izmir, the Greek army's Anatolian stronghold, on September 9. At the same time, a coup d'état occurred in Greece, which was on the defensive.
In Greece, public opinion was furious with King Constantine I and the royalist regime. The news of the Greek army's successive defeats caused many citizens to be gripped by extreme fear that Greece was once again being conquered by the Turks. In response, officers of the Venizelos faction, led by Colonel Nikolaos Plastiras (Νικόλαος Πλαστήρας), staged a coup on September 11, overthrowing the royalist government, and Constantine I abdicated under pressure from the military, handing over the throne to his son George II and going into exile in Italy. The Greek side sent a letter to Sultan Mehmed VI in Istanbul, threatening to immediately hand over eastern Thrace, including Karagaç near Edirne, west of the Merz (Evros) River, to Greece. In addition, the Greek army, having lost its base in Izmir, surrendered Bursa to the Turkish army and retreated across the Bosphorus to Eastern Thrace. The Greek army prepared a counterattack to defend Eastern Thrace, and the Turkish army also attempted to advance to Istanbul and Eastern Thrace, their final targets. Then, Britain tried to protect Greece by sending an ultimatum to the Turkish parliament to stop crossing the Bosphorus and Dardanelles Straits, but since World War I had just ended and Italy, France, and others did not want the war to escalate again, and the United States was the main opponent, the British government eventually backed down. As a result, an armistice was signed between the Turkish parliament and the Entente in Mudanya on October 11, and the war entered its final phase. After the coup, Greek Prime Minister Eleftherios Venizelos (1864-1936), who had returned, tried to protect Eastern Thrace, especially Edirne, at all costs, but eventually agreed to the armistice and the Greek army withdrew from Eastern Thrace. As a result, the Turkish army was stationed in Eastern Thrace, and the war finally ended with the signing of the Treaty of Lausanne on July 24, 1923. According to the Treaty of Lausanne, Eastern Thrace, Istanbul, and Izmir were officially returned to Turkey, but the islands in the Aegean Sea, including the islands in front of Turkish territory, were all handed over to Greece. The current border between Turkey and Greece was established when the British High Commissioner, the head of the Entente Powers stationed in Istanbul, observed the Turkish War of Independence and, when the Greek army was defeated by the Turkish army and pushed back to the Aegean Sea, negotiated with the Turkish parliament to choose between Eastern Thrace and the islands in the Aegean Sea in order to save the Greek army and prevent the war from escalating. The Turkish government chose Eastern Thrace, and thus the Aegean Sea became Greek territorial waters. As a result, Turkey and Greece are currently engaged in a territorial dispute over the territorial waters of this region. In addition, at the time of the Treaty of Lausanne, Turkey also gave up Cyprus, where some Turkic people are distributed, and the Turkic people who opposed this established a new country called Northern Cyprus in Cyprus and declared independence, causing problems within Cyprus. In some ways, it could be said that Greece benefited from participating as an negotiating party, but if Greece had been too greedy for Turkish territory, it could have perished. Since Greece was a victorious country in World War I, it was practically saved by Britain, so it is difficult to say that Greece benefited in particular. After the Treaty of Lausanne was signed, the West had strong resentment toward the Turkish government for breaking the Treaty of Sevres, and for a while, no diplomatic relations were established with Turkey. As a result, Turkey became close to the Soviet Union, which was in the same situation as Turkey, but Mustafa Kemal was very wary, saying that he could not trust the Soviet Union. The British, Italian, and Greek forces withdrew from Istanbul, and the last Sultan of the Ottoman Empire, Mehmet Vahîdeddin VI, boarded a British warship and went into exile in Malta. Mustafa Kemal defined the Ottoman government, which was being used by the Western Allies, as a traitor to the Turkish people, and as a result, all the Ottoman royal family members were exiled from the countr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Turkey.
Then, on October 29, 1923, the Grand National Assembly of Turkey declared a republic, establishing the present-day Republic of Turkey, and appointed Mustafa Kemal, the greatest contributor and commander-in-chief of this war, as the first president of the republic. In 1934, the Turkish National Assembly awarded him the honorific title of 'Ataturk', meaning 'Father of Turkey'. The capital of the Ottoman Empire, Kostantinye, was renamed Istanbul, and the capital was also moved from Istanbul to Ankara, where it remains today. lukybaby7@gmail.com
*Author/ Gil-seon Jeong.
Member of Novatopos, historian, paleoanthropologist, columnist, research professor at the Institute of Eurasian Paleoanthropology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Below is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above article using 'Google Translate' [Full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