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조공이라는 것은, 전근대에 들어 제후가 종주국에게 바치는 예로 알고 있으며 이러한 예를 근거로 어느 곳이나 구성되어 있는 국제 질서를 통칭하고 있다. 조회 참례를 의미하는 조(朝)와 공물을 의미하는 공(貢)으로 이루어지며 조공의 반대 개념으로는 책봉(冊封)이 있다.
이와 같은 조공을 통해 세폐를 받는 국가의 신하들에게 책봉을 내렸다. 원래 천자와 제후국으로 이루어진 봉건제도의 주나라에서 채택된 제도가 봉건제도로 천자와 제후의 개념이 중국의 경계를 넘어서 동북아시아의 국제 질서로 개편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외교적 관례로 굳어지게 된다. 중국에서는 국내에서도 행해졌지만, 점차 황제의 권력이 강화됨에 따라 실질적인 의미의 제후가 사라지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조(朝)는 새해 첫날 제후국왕이 천자가 새로운 해의 달력을 내려준 것에 감사하는 의미로 치르던 의식인 망궐례(望闕禮) 등으로 간소화되고, 공(貢)은 세금화되었다. 또한 조공책봉관계에 대한 논의는 근대 국제법 질서나 이에 기반한 현실주의(Ralism) 이론에 대한 반론으로 제기되면서, 현실주의와 다른 측면들만 과도하게 부각되었다.
그러면서 동시에 구성주의(Constructivism)가 변형된 형태로 수용되어 주변국가들의 위계적, 불평등한 관계의 자발적 참여, 내면적 수용, 사상적 가치의 공유 등이 강조되었으며 외형적 관계에 치중되는 경향이 수반되었다. 실제로 중국의 사학자 손석풍(孫席豊)은 조공체제를 강력한 중심국가가 존재하며 공공재를 공급하는 체제로 정의하고 동아시아의 경우 역내국가가 중심국가가 제정한 규칙을 자발적으로 준수해 왔다는 점에서 패권체제와 구별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명나라, 청나라 시대의 화이질서(華夷秩序), 그 중에서도 명청과 조선의 관계가 가장 전형적인 화이체제의 표본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예처럼 그동안 전통 동아시아 국제정치가 압도적인 힘과 선진 문명을 보유하고 있던 중국이라는 중심 체계와 상대적으로 힘과 문화적 영향력에서 중국보다 떨어지는 주변부 사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는 주장들이 일반적으로 수용되어 왔었다. 특히 동아시아의 중심인 이른바 중원(中原)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이 주변 국가와 부족들에 지배적인 행위자로 군림해 왔고, 주변 국가와 부족들이 중국이 만든 질서에 자발적으로 참여해왔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동아시아의 질서는 중국을 중심으로 끊임없이 재편되어 온 것도 어느 정도 사실이다.
그래서 조공책봉제도는 중국 주(周)나라 시대 제후들에게 분봉(分封)을 통하여 지배체제를 구축했던 제도였기 때문에 시대에 따라 여러 방식들이 바뀌어 구축되었다. 한(漢)나라 시대에 들어와 국내 관계 뿐만 아니라 주변국과의 관계를 구축하는 제도로 확장된 것도 조공책봉제도였다. 황제 국가를 지향한 한(漢)나라는 주변 국가들과의 관계를 군신상하(君臣上下) 관계로 나누어 재편했다. 명실상부한 부분은 아니지만 조공과 책봉 제도를 통해 전통 시대 동아시아 특유의 국제질서가 형성되었다. 이 제도가 가장 정교하게 정비된 것은 한족 왕조로 나타난 명(明)나라 시대부터였으며 이민족으로 중원대륙을 정복하고 지배했던 수많은 중원 국가들과 명나라의 뒤를 이어 중원을 통치한 청(淸)나라도 스스로 한족이 아닌 이민족이라는 정통성을 버리고 한족을 지배하면서 한족과 동일시 하는 관념을 가지고 화이질서를 유지하고자 했다. 중원 한족이 아닌 주변 종족으로써 한족의 땅을 정복하면서 그들 중심의 또다른 체제로 질서를 구축하려 했던 것이다. 그런 부분 때문에 중원은 동아시아의 중심이라는 명제를 항상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주장들은 상당한 비판을 받고 있다. 중국적인 천하관에서 말하는 사대자소(事大字小)의 질서가 이상적으로 구현되는 경우 이는 공동체 질서의 이상에 접근하게 될 수 있지만, 반대로 국가적인 힘의 논리가 강하게 개입되면 패권적으로 강력하게 위세를 부리며 일탈할 개연성이 크기 때문이다. 실제로 동아시아 역사에서 중국이 항상 우월적 지위를 향유한 것도 아니었으며 그러한 국제관계 중심과 주변이라는 단순한 이항적인 관계로 전개되어 왔던 것도 아니었다. 동아시아의 역사는 중심과 주변, 주변과 주변 사이에 매우 다양한 역동성을 지니고 있었고, 심지어 중심과 주변 사이에 이루어지는 힘의 관계가 역전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더불어 북방세력이 강성할 때는 중국이 북방세력에게 조공을 하며 평화를 구걸했던 사례들도 많았고 이에 대표적으로 한(漢)나라가 흉노에게, 당(唐)나라가 돌궐에게, 송(宋)나라가 거란의 요(遼)나라와 여진의 금(金)나라에게 조공을 바친 경우가 그러한 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자신들을 천하의 중심으로 의제한 역사문화적인 개념을 고안하고 이런 이데올로기 체제를 인식시키면서 자신들의 정통성과 헤게모니를 주장해왔다. 그러한 중화사상의 정통성과 헤게모니로써 조공은 가장 유력한 제도적 기반이었던 것이다. 조공 무역의 이익과 손해도 매우 현실적으로 어떻게 하는지에 따라 이익을 볼 수도 있고 손해를 볼 수도 있었다. 당시 관점으로 보는지, 아니면 지금의 관점으로 보는지에 따라 이익과 손해가 달라지기도 하였다. 이에 대해 간단히 설명을 하자면 당시 국력에 도움은 되지 않는 사치품을 상당수 받고 중요한 전략 자원들을 내주게 되면 지금 관점에 봐서는 손해로 보이기도 하지만 당시에는 그것이 이익이고 다른 무역에서 중요하게 사용될 수도 있었다. 일본 같은 경우에는 선진 문물을 배운다는 의미로 이를 학비로 취급하기도 했다. 동아시아 국제 관계에 있어서 조공은 사대에 따른 일종의 외교적인 의례이자 각국 정부 간의 공무역이나 마찬가지였고 조공을 한다는 것은 국가 대 국가로서의 위치와 외교관계를 확정한다는 의미였다.
중국은 세계의 문물을 동아시아에 전파하는 역할을 했는데 서양의 기술이 직접적으로 들어오기 전까지 중국과의 조공 무역이 없었던 나라들은 그만큼 후진적으로 뒤쳐질 수밖에 없었다. 물론 조선도 여진이나 일본이 조공해올 때는 하사품에 상당히 신경을 썼다. 조선뿐만 아니라 몽골이나 그 외에 서역 종족들,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교역도 명목은 조공이었다. lukybaby7@gmail.com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Is it overt submission or equal trade? The reality of tribute
- Jeong Gil-seon, columnist
Tribute, which we are familiar with, is generally known as an example of a feudal lord paying tribute to a suzerain state in pre-modern times, and it refers to the international order established anywhere based on this example. It is composed of 朝, meaning attendance at court, and 貢, meaning tribute, and the opposite concept of tribute is investiture.
Through this kind of tribute, investiture was granted to the subjects of the country receiving tax money. Originally, the system adopted in the Zhou Dynasty, which consisted of the emperor and vassal states, became a feudal system, and as the concept of the emperor and vassal states expanded beyond the borders of China and reorganized into the international order of Northeast Asia, it naturally solidified into a diplomatic custom. In China, it was also practiced domestically, but as the emperor's power gradually strengthened, the real meaning of feudal lords disappeared, and naturally, the court was simplified to the Mangwolrye (望闕禮), a ceremony held on the first day of the new year by feudal kings to express gratitude for the emperor's bestowal of a new year's calendar, and tribute was transformed into a tax. In addition, discuss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ibute and vassalage were raised as a counterargument to the modern international legal order or the theory of realism based on it, and only aspects different from realism were excessively highlighted. At the same time, constructivism was accepted in a modified form, emphasizing the voluntary participation, internal acceptance, and sharing of ideological values in the hierarchical and unequal relationships of neighboring countries, and a tendency to focus on external relationships followed. In fact, Chinese historian Sun Shifeng defined the tributary system as a system in which a powerful central state exists and provides public goods, and argued that in the case of East Asia, it is distinct from the hegemonic system in that the states within the region have voluntarily followed the rules established by the central state. He also argued that the Huai order (華夷秩序)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and espec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and Joseon, is the most typical example of the Huai system. As in these examples, the argument that traditional East Asian international politics have been center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system of China, which possessed overwhelming power and advanced civilization, and the periphery, which was relatively inferior to China in power and cultural influence, has been generally accepted. In particular, China, which occupies the so-called Central Plains, the center of East Asia, has been the dominant actor over the surrounding states and tribes, and the surrounding states and tribes have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order created by China. It is also true to some extent that the order of East Asia has been constantly reorganized around China. Therefore, the tribute and investiture system was a system that established a ruling system through the distribution of fiefs to the vassals of the Zhou Dynasty in China, so it was establish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times. During the Han Dynasty, the tribute and investiture system expanded to establish not only domestic relations but also rel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The Han Dynasty, which aimed to be an imperial state, reorganized its rel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into a monarch-subject relationship. Although it is not a part in name and reality, the tribute and investiture system formed an international order unique to traditional East Asia. This system was most elaborately organized during the Ming Dynasty, which appeared as a Han Chinese dynasty. Numerous Central Plains countries that conquered and ruled the Central Plains as foreigners, and the Qing Dynasty that ruled Central Plains after the Ming Dynasty, also abandoned their legitimacy as foreigners and tried to maintain the Huai order by ruling the Han Chinese and identifying themselves with the Han Chinese. As a peripheral race, not the Han Chinese of the Central Plains, they tried to establish order as another system centered on them by conquering the lands of the Han Chinese. Because of this, the Central Plains have always been unable to escape the proposition that they are the center of East Asia.
However, such claims have been subject to considerable criticism. If the order of the four great characters and the small (事大字小) mentioned in the Chinese world view is ideally realized, it can approach the ideal of community order, but on the other hand, if the logic of national power is strongly involv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t will deviate by exerting hegemonic power. In fact, in East Asian history, China has not always enjoyed a superior position, nor has it developed into a simple binary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 history of East Asia has had a very diverse dynamic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and between the periphery and the periphery, and there have even been many cases where the power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was reversed. In addition, when the northern powers were strong, there were many cases where China paid tribute to the northern powers and begged for peace.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the Han Dynasty paying tribute to the Xiongnu, the Tang Dynasty paying tribute to the Turks, and the Song Dynasty paying tribute to the Liao Dynasty of the Khitan and the Jin Dynasty of the Jurchen.
Nevertheless, China created a historical and cultural concept that established itself as the center of the world and asserted its legitimacy and hegemony by making this ideological system recognized. As the legitimacy and hegemony of such Chinese ideology, tribute was the most powerful institutional foundation. The benefits and losses of tribute trade were also very realistic, and depending on how it was done, it could be beneficial or detrimental. The benefits and losses also differed depending on whether it was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ime or from the perspective of today. To put it simply, if you receive a lot of luxury goods that are not helpful to national power at the time and give away important strategic resources, it may seem like a loss from a modern perspective, but at the time, it was a benefit and could be used importantly in other trade. In the case of Japan, it was treated as tuition to learn advanced civilization. In East Asian international relations, tribute was a kind of diplomatic courtesy according to the vassal state and was similar to public trade between each country's governments, and paying tribute meant confirming the status and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ountries.
China played a role in spreading the world's civilization to East Asia, but before Western technology was directly introduced, countries that did not have tribute trade with China were bound to fall behind. Of course, Joseon also paid considerable attention to the gifts when the Jurchen or Japan paid tribute. Not only Joseon, but also trade with Mongolia, other Western tribes,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was in the name of tribute. lukybaby7@gmail.com
*Author/ Jeong Gil-seon.
Member of Novatopos, historian, paleoanthropologist, columnist, research professor at the Institute of Eurasian Paleoanthropology, Russian Academy of Sc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