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터키판 인종청소와 터키 독립전쟁에서 열세에 놓인 집단서방

정길선 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24/11/18 [13:19]

▲ 정길선 박사     ©브레이크뉴스

터키의 민병대에게 잇달은 패배를 당한 프랑스와 아르메니아는 퇴각하면서 보복차원으로 인종청소 개념의 대량학살을 저지른다. 특히 이 전쟁의 전장인 동부에서 두드러지게 자행되었는데 이 중에 프랑스와 아르메니아는 아주 악질이었다. 특히 프랑스인들은 터키인만 죽인게 아니라 쿠르드인들에 대해서도 인종청소를 감행했다. 디야르바크르에서 7만 명이 넘게 학살이 되었는데 오늘날 쿠르드족들도 프랑스인들의 학살을 기억하고 있다. 흑해 일대의 트라브존, 리제 일대에서는 현지 폰토스인들이 민병대나 마적단을 구성하여 학살과 약탈을 벌이고 있었다. 특히 투르크인과 아르메니아인, 그리스인이 섞여 거주하던 트라브존 일대에서는 그리스계가 주축이 된 폰토스 민병대가 투르크인과 아르메니아인을 대량 학살하는 만행을 저지르기도 했으며 당시 해외 언론인과 현지인들이 남긴 참상을 찍은 사진들이 상당히 많이 남아 있을 정도다. 이 때 캬즘 카라베키르의 군대가 투르크인들과 아르메니아인들의 구원자로 나서 폰토스 민병대까지 전멸시키는데 성공했다. 

 

트라브존은 본래 비잔틴 제국 시절부터 그리스계 폰토스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었으나 16세기경부터 아르메니아인들이 동쪽에서부터 이주해 상업 세력을 형성했고 폰토스인과 여러모로 경쟁하고 있었던 상황이었다. 특히 오스만 행정부의 밀레트 제도로 인해 종교 중심의 공동체 사회였던 오스만 제국에서 그리스인과 아르메니아인은 같은 정교 기독교인이었지만 종파가 달랐다. 그리스인들은 그리스 정교, 아르메니아인들은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소속이었기 때문이다. 상업에 있어서도 서로 경쟁하는 상대였기 때문에 적대적인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와중에 그리스계 폰토스인들이 투르크인과 아르메니아인들에 대해 대량학살을 자행했으니 아르메니아인들도 투르크인에게 협조해 폰토스인에 대한 보복 학살을 했다. 1921년에 접어들어 이미 서부전선을 제외한 다른 전선들은 터키 봉기군들과 소강 상태에 들어간 상태였다. 하지만 그리스 군은 대국민의회가 상대하기에는 매우 강한 상대였으며 아나톨리아 내부에 거주하고 있던 그리스 인들은 어떤 식으로든 그리스 군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었기 때문에 협상국의 장비까지 지원받아 막강해진 그리스 군을 상대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로 인하여 투르크인들은 그리스인들을 적으로 선포하고 이후에 터키군이 아나톨리아 내부를 탈환하자 미처 피난하지 못한 그리스 인들은 마구잡이로 학살당했다. 당시 사령관이던 누레딘 이브라힘(Nuredin Ibrahim)이 내린 명령으로 인해 어림 잡아도 20만에서 최대 90만 가까이 학살당했다. 그러나 이 최대 90만이라는 숫자는 그리스만의 주장일 뿐, 입증된 바 없다. 하지만 이전에 이 그리스인들은 그리스군의 비호 아래 그리스의 치안 담당 부대인 검은 운명 부대(Black fate squad)가 폰투스를 비롯한 아나톨리아 동북부 점령 지역에서 투르크인들과 아르메니아인들을 마구잡이로 학살하던 일에 협조했기 때문에 벌어진 보복 학살이었다. 당시 30~40만에 이르는 투르크인들과 30만 이상이 넘는 아르메니아인들이 학살당했기 때문에 터키의 아르메니아인 대학살 기록에서도 그리스는 오스만 제국과 같은 가해자로서 언급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아르메니아가 터키, 아제르바이잔과의 갈등 속에서 대체 외교 노선을 선택하는 나라가 그리스였고 그리스 또한 당시 학살에 대해 아르메니아 이를 인정하고 사과하면서 현재 역사적 앙금이 풀린 상태다.

 

그리스나 집단 서방에게 전면전으로는 한계가 있기에 당시 터키 대국민의회가 결정한 주된 전략은 게릴라 전이었다. 터키 민간인에 의한 테러나 소요사태, 무장 봉기 등은 이미 1919년에 독립 전쟁이 발발한 시기부터 계속되어 왔지만 앙카라에서 들어온 터키 공작원과 교관들에 의해 그리스 군 점령지 내의 무장 군인들은 점점 더 격렬하고 과감하게 공격을 감행해 왔다. 그로 인해 그리스군은 빠른 시일 내에 아나톨리아 중심부로 진격해서 전쟁을 끝내려고 하였다. 그러면서 그동안 대치 상태였던 상황 자체를 유리한 국면으로 돌리려 했다. 왜냐하면 그리스를 돕고 있는 영국은 제1차 세계대전의 승전국이었지만 경제적으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었기에 오스만 제국의 분할한 중동 식민지들을 제대로 관할하기 어려운 상황이었고 지중해와 에게 해 해안 지대를 두고 이탈리아와는 대치 중이었다. 아르메니아나 프랑스는 이미 퇴각한 상태였기에 사실상 홀로 터키 봉기군과 싸워야 했다. 게다가 그리스의 당시 인구는 500만 정도였고 좁은 내륙 영토와 수많은 섬들로 구성된 지리적인 약점과 빈약한 자원은 장기전으로 갈수록 그리스에게 불리했다.

 

게다가 이탈리아가 언제 공격해올지 모르고 잘못하다가는 본토를 이탈리아에게 공격당할 수 있기에 군을 두 전장으로 나누어야 했다. 그리스는 자신들의 한계점이 명백하다는 것을 알기에 1921년 새해를 기점으로 빠른 속도로 앙카라를 향해 진격해 들어와 끝을 내고자 했다. 그리고 당시 그리스와 인접한 이스탄불이 그리스 군에게 점령당할 뻔했다. 그리스군이 이스탄불을 점령하지 못한 이유는 이미 연합군이 측이 이스탄불을 접수한 상태였고 당시에도 영국군이 계속 이스탄불에 주둔하고 있었다. 그리스군이 이스탄불로 다가오자 영국과 이탈리아는 그리스와 전쟁에 돌입할 수 있다며 협박했고 결국 그리스군은 퇴각할 수밖에 없었다. 한편 대국민의회의 터키군은 이스메트 파샤(İsmet Paşa)가 이끄는 병력 6,000명으로 아나스타시오스 파풀라스(Αναστάσιος Παπούλας) 장군이 이끄는 그리스군 2만여 병력을 이뇌뉘 강에서 결정적으로 방어하는데 성공한다. 그러나 파풀라스의 공격은 집요했고 터키군이 끝내 패하기는 했지만 두 차례에 걸친 전투 끝에 그리스군의 진격 속도를 늦추는 데 성공했다. 

 

이후 아타튀르크 케말에 의해 터키에서 성씨 사용법이 통과되자 이스메트 파샤는 자신이 분전한 전선인 이뇌뉘 강의 이름을 따서 자신의 성을 이뇌뉘(İnönü)로 정했다고 한다. 이스메트 이뇌뉘는 무스타파 케말의 가장 가까운 친구이자 전우였으며 케말 퍄샤의 사후 제2대 터키 대통령으로 취임하게 된다. 앙카라 외곽의 터키군이 그리스군을 막아내는 동안 후방에서는 터키 민병대들의 집요한 항쟁이 이어지게 된다. 그리스군의 보급을 운반하는 운반자들이 방심한 틈을 이용하여 수류탄을 던져 보급 운반자들을 처리했으며 군수물자를 기습해 탈취했다. 터키의 여성들은 공장에서 총알을 만들고 아이들은 어머니를 도와 터키군에게 전달할 물자를 전선으로 나르기까지 했다. 그리스군에 의해 막대한 피해를 입으면서도 터키인들은 끊임없이 항쟁했으며 결국 이와 같은 터키 민간인들의 역할은 독립전쟁을 터키의 승리로 굳히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1921년 8월에 그리스군은 앙카라를 진공을 목전에 두고 있었다. 앙카라에서 불과 200km 정도 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아피온-카라히사르 전선(Afyon-Karahisar)에서 터키군이 전멸하면서 그리스군은 사카리아 강까지 이르렀다. 그러나 보급로가 터키 민병대에 의해 자주 끊기고 후방 부대는 게릴라 군들의 기습으로 인해 탄약과 포탄 보급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리스군은 사카리아 강까지 오는 것 자체도 녹록치 않았으며 군의 사기도 많이 떨어져 있었다. 그러나 이 그리스군을 이끌고 있던 아나스타시오스 파풀라스(Αναστάσιος Παπούλας) 장군은 그리스의 최고 명장이었다. 불리한 조건이었기에 그리스도 사카리아 강에서 배수진을 쳐야 했던 것이다. 터키군은 앙카라를 사수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이곳을 사수해야 했지만 그리스군의 수가 너무 많았고 장비 또한 터키군에 비해 매우 우수했다. 이곳에서 8월 23일부터 9월 13일까지 장장 21일 동안 터키의 운명을 건 전투가 벌어지게 된다. 

lukybaby7@gmail.com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he Genocide of Turkey and the Weakened Group in the Turkish War of Independence

Columnist Jeong Gil-seon

 

France and Armenia, who suffered successive defeats to the Turkish militia, committed mass genocide in the form of genocide as a form of retaliation while retreating. This was particularly noticeable in the eastern part of the war, and among them, France and Armenia were particularly vicious. In particular, the French did not only kill Turks, but also carried out genocide against Kurds. Over 70,000 people were massacred in Diyarbakir, and even the Kurds remember the massacre by the French today. In the Trabzon and Rize areas of the Black Sea, local Pontus people formed militias or bandits and committed massacres and looting. In particular, in the Trabzon area where Turks, Armenians, and Greeks lived together, the Pontic militia, which was mainly Greek, committed atrocities by massacring Turks and Armenians, and there are many photos taken by foreign journalists and locals at the time of the tragedy. At that time, the army of Kyazm Karabekir came forward as the savior of the Turks and Armenians and succeeded in annihilating the Pontic militia. Trabzon had originally been inhabited by many Greek Pontic people since the Byzantine Empire, but starting around the 16th century, Armenians immigrated from the east and formed a commercial power, competing with the Pontic people in many ways. In particular, in the Ottoman Empire, which was a religious community society due to the Ottoman government's millet system, Greeks and Armenians were the same Orthodox Christians, but their denominations were different. The Greeks were Greek Orthodox, and the Armenians were Armenian Apostolic Church. They were often hostile because they were also competitors in commerce. In the midst of this, the Greek Pontus committed massacres against the Turks and Armenians, so the Armenians also cooperated with the Turks and committed retaliatory massacres against the Pontus. By 1921, all fronts except the Western Front had already entered a lull with the Turkish uprising. However, the Greek army was a very strong opponent for the Grand National Assembly to deal with, and the Greeks living in Anatolia were actively cooperating with the Greek army in some way, so they were not enough to deal with the Greek army, which had become stronger with the equipment provided by the Entente.

 

As a result, the Turks declared the Greeks as their enemy, and when the Turkish army later recaptured Anatolia, the Greeks who had not been able to evacuate were massacred indiscriminately. According to the order issued by the commander at the time, Nureddin Ibrahim, an estimated 200,000 to 900,000 people were massacred. However, this figure of up to 900,000 is only a claim by Greece and has not been proven. However, this was a retaliatory massacre because these Greeks had previously cooperated with the Black Fate Squad, a Greek security unit under the protection of the Greek army, in the indiscriminate massacre of Turks and Armenians in the occupied areas of northeastern Anatolia, including Pontus. Since 300,000 to 400,000 Turks and over 300,000 Armenians were massacred at the time, Greece was also mentioned as a perpetrator along with the Ottoman Empire in Turkey’s Armenian massacre records. However, Greece was the country that chose an alternative diplomatic path in the midst of Armenia’s conflict with Turkey and Azerbaijan, and Greece also acknowledged and apologized for the massacre at the time, and the historical grudge has now been resolved.

 

Since an all-out war was limited for Greece or the West, the main strategy decided by the Turkish Grand National Assembly at the time was guerrilla warfare. Terrorism, riots, and armed uprisings by Turkish civilians had been ongoing since the outbreak of the War of Independence in 1919, but armed soldiers in the Greek-occupied territories were increasingly launching attacks with increasing intensity and boldness due to Turkish agents and instructors coming from Ankara. As a result, the Greek army tried to quickly advance to the center of Anatolia and end the war. At the same time, it tried to turn the situation that had been in a state of stalemate into a favorable situation. This was because Britain, which was helping Greece, was a victor in World War I, but was in economic decline, so it was having difficulty properly administering the Ottoman Empire's divided Middle Eastern colonies, and was in a standoff with Italy over the Mediterranean and Aegean coastlines. Armenia and France had already retreated, so Greece was essentially left to fight the Turkish uprising alone. Furthermore, Greece's population at the time was around 5 million, and its geographical weakness of a small inland territory and numerous islands, as well as its meager resources, were disadvantageous to Greece as the war dragged on. In addition, since they did not know when Italy would attack and could be attacked on the mainland by Italy if they made a mistake, they had to divide the army into two battlefields. Greece knew that their limitations were clear, so they quickly advanced toward Ankara starting from the new year of 1921 and tried to end it. At that time, Istanbul, adjacent to Greece, was almost captured by the Greek army. The reason the Greek army failed to capture Istanbul was that the Allied forces had already taken over Istanbul and the British army was still stationed in Istanbul at that time. As the Greek army approached Istanbul, Britain and Italy threatened to go to war with Greece, and eventually the Greek army had no choice but to retreat. Meanwhile, the Turkish army of the Grand National Assembly, led by Ismet Pasha, with 6,000 troops, succeeded in decisively defending the 20,000 Greek troops led by General Anastasios Papoulas at the İnönü River. However, Papoulas's attacks were persistent and although the Turkish army was eventually defeated, they succeeded in slowing down the Greek army's advance after two battles.

 

After Atatürk Kemal passed the law on the use of surnames in Turkey, Ismet Pasha is said to have chosen his surname as İnönü after the İnönü River, the front line where he fought. Ismet İnönü was Mustafa Kemal's closest friend and comrade-in-arms and became the second President of Turkey after Kemal Pasha's death. While the Turkish army outside Ankara held off the Greek army, the Turkish militias fought persistently in the rear. They took advantage of the gaps in the supply carriers carrying the Greek army's supplies by throwing grenades, and they surprised and captured the supplies. Turkish women made bullets in factories and children helped their mothers carry supplies to the front lines to be delivered to the Turkish army. Despite suffering massive losses from the Greek army, the Turks continued to fight, and the role of Turkish civilians eventually played a decisive role in solidifying the war of independence as a Turkish victory.

 

However, in August 1921, the Greek army was on the verge of invading Ankara. With the Turkish army annihilated on the Afyon-Karahisar front, which was only about 200 km away from Ankara, the Greek army reached the Sakarya River. However, the supply route was frequently cut off by the Turkish militia, and the rear units had difficulty supplying ammunition and shells due to surprise attacks by guerrilla forces. It was not easy for the Greek army to even reach the Sakarya River, and their morale was low. However, General Anastasios Papoulas (Αναστάσιος Παπούλας), who led the Greek army, was the greatest general in Greece. Because of the unfavorable conditions, the Greeks had to set up a defensive position on the Sakarya River. The Turkish army desperately had to defend this place to defend Ankara, but the Greek army was too numerous and their equipment was far superior to the Turkish army's. From August 23 to September 13, a battle that would determine the fate of Turkey took place here for 21 long days.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