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가지안테프 전투와 전세의 역전, 제국주의 열강 프랑스를 꺾은 터키 민병대의 저력

정길선 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24/11/18 [13:18]

▲ 정길선 박사     ©브레이크뉴스

19세기 들어서 그리스 독립 전쟁으로 그리스를 마지못해 독립시킨 오스만투르크는 유럽 열강에게 계속적으로 패배했다. 그래도 오스만 제국에서는 그리스 독립 전쟁 이후 오스만투르크 제국이 더 이상 그리스인을 요직에 기용하지 않으면서부터 드라고만(Dragoman - 서구와의 교섭을 위해 설치한 외교부) 같은 관료직에 '아르메니아인'을 대거 기용하기 시작했다. 이는 발칸 반도의 슬라브인들과 그리스인들이 민족 의식을 각성하고 자치 혹은 독립을 위해 투쟁하는 가운데서도 아르메니아인들은 대체로 수동적인 모습을 지켰고, 애초에 도시의 아르메니아인들은 오스만 정부 덕택에 자신들의 부를 축적할 수 있었기 때문에 독립에 대한 동력이나 처지에 대한 불만은 크게 없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아르메니아 인들도 언제까지 오스만투르크의 2등 신민이 될 처지를 받아들일 것은 아니었고, 아르메니아 인들 사이에서도 교육 받은 지식인층이 생겨나기 시작하자 이들도 자신들의 권리 향상을 위해 행동에 나서기 시작했다. 

 

1875년경에는 아르메니아 총대주교까지 나서서 토지 몰수, 무슬림들에 의한 약탈과 강제 개종, 강간과 살인을 막아달라고 청원했지만 내부 문제가 심각했던 오스만투르크가 그들의 청원대로 문제의 심각성을 알고 있어도 제대로 된 조치를 취한 경우는 전무했다.  이 시기 오스만 제국은 기독교를 믿는 열강들과 열강의 지원을 받는 자국내 민족들의 반란으로 인하여 반(反) 기독교 감정이 극에 달하던 시절이었으며, 또한 수차례에 걸쳐 유럽 쪽의 영토와 종주권을 상실하면서 오스만 제국의 정체성 또한 좀 더 관용적이었고, 다양성을 인정하던 비잔틴의 계승자라는 국가 이데올로기가 무너지게 되면서 본격적인 이슬람 제국이자 수니파의 종주국이란 근본주의적인 종교적 정체성을 강조하던 시절이었던 것이다. 이 시기 오스만 제국은 곳곳에서 붕괴 조짐이 보이고 있었고, 사회의 유지를 위해 오스만 당국이 선택한 방법은 인명 살상을 동반한 대대적이고 가혹한 탄압이었다. 그러던 사이에 터키 동부 지역에서는 탄압에 반발한 민족들의 반란이 끊이지 않았고 가지안테프도 마찬가지로 아르메니아인과 쿠르드족의 반란으로 도시의 대부분이 파괴되었다.

 

터키 독립 전쟁 당시 아르메니아 군이 터키를 침공했으나 패전하고 영토를 상당부분 상실한 적이 있으며, 아라랏 산은 스탈린이 아르메니아 민족주의를 약화시킬 목적으로 일부러 터키에 양도하면서 양자 사이의 갈등은 아주 첨예해졌다. 다만 요즘 들어 아르메니아의 반 터키 감정은 식은 편이며 오히려 아르메니아는 아제르바이잔을 더 싫어한다. 본래 아르메니아 대학살 이전 역사만 보면 아르메니아인과 오스만 제국은 서로 우호적인 관계였다. 중세 셀주크 제국의 팽창 과정에서 많은 아르메니아인이 학살당하고 킬리키아-아르메니아 왕국에서 십자군을 지원하며 투르크계 이슬람 국가들과 전쟁을 벌이기도 했으나, 오스만 제국은 비잔틴 제국의 후신을 자처하면서 실용적인 이유로 비잔틴 제국 내에서 활약했던 아르메니아 인들의 권익을 보장했었다. 아르메니아 인들에게 우호적인 것으로 알려진 이란 사파비 왕조에서 아르메니아 인들을 강제 이주시키는 과정에 아르메니아인 십수만여 명이 사망했던 것에 비해 근세 오스만 제국에서는 기존의 아나톨리아 내 아르메니아인 디아스포라를 그대로 활용하였다. 

 

오늘날처럼 사이가 나빠진 계기는 19세기 말 러시아 로마노프 제국이 카프카스를 정복하고 아르메니아 주를 설치하고 아르메니아 인들이 대거 러시아 로마노프 제국으로 이주한 것과, 터키와 아르메니아 양측의 민족주의 이데올로기 부흥 그리고 그 결과로 빚어진 것이 아르메니아 대학살이었다. 이후 아나톨리아 동남부 지역은 프랑스 군과 아르메니아 군이 신속히 오스만 제국을 분리 점령하기 위해 각자 갈라진 영토의 영유권을 주장하면서 아나톨리아 동부 지역은 새로운 세력 구도 정립 과정으로 인해 혼란이 지속되었다. 프랑스 군은 흑해의 종굴다크와 에렐리의 항구에 군대를 보내어 터키의 석탄 광산 지역을 장악하였고 이어 시리아 북부 지역의 통치권을 이양받으면서 가지안테프 전투의 근본적인 원인을 탄생시킨다.  전쟁 시기 이 지역은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의 강제 이주지로 설정된 곳이었기 때문에 전쟁 중에 이곳으로 이주한 아르메니아 인들은 반 오스만 성향을 갖고 있었고 이들이 갑자기 늘어나자 원래 가지안테프에 거주하던 투르크멘, 아랍, 쿠르드계 주민들과 충돌이 잦아지게 되었다. 

 

그리고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은 프랑스군과 연합해 독립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당시 프랑스 군에 합류해 투르크 민병대와 대치했던 아르메니아계 민병대의 구호는 "아르메니아가 아니면 무덤을(Ya Ermenistan, ya mecaristan!)"이었다. 프랑스 군은 오늘날 가지안테프 시립 박물관 및 레스토랑으로 사용되고 있는 베야즈한(Beyazhan)에 사령부를 마련했다. 당시 가지안테프 베야즈한에는 대체로 부유한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근처에 미국 선교사들이 세운 아메리카 병원과 아르메니아 인들을 위한 여성학교가 존재하고 있었다.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은 프랑스 군을 배경으로 투르크 인들을 탄압하고 생존권을 위협했으며 이를 방치라는 프랑스 군의 행동도 투르크 인들의 분노를 자극했는데 결정적으로 이들이 봉기하게 된 계기가 베야즈한에 위치한 사령부 근처에서 발생하게 된다. 1920년 1월 21일 금요일 저녁, 당시 14세였던 메흐메트 캬밀(Mehmet Kâmil)은 어머니와 함께 집으로 돌아가기 위해 베야즈한 앞을 걷고 있었다. 

 

그 때 근처를 순찰하던 프랑스 군은 그들의 길을 막으며 캬밀의 어머니의 히잡 차림을 조롱하기 시작했고, 그 중 한 군인이 그녀의 히잡을 잡아채 떨어뜨렸다. 그러자 화가 치민 캬밀은 돌을 집어들어 그 군인에게 던져서 맞추는 참사가 일어난다. 그러자 프랑스 군인들은 캬밀을 총검으로 찔러 살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다음날 캬밀의 장례식에는 모스크를 가득 채우고도 남을만큼 많은 가지안테프 주민들이 참석했고, 이들은 프랑스의 만행에 분노했다. 시민들은 집에 가지고 있던 고물 엽총과 칼을 긁어모아 오스만 군대의 옛 무기고를 털어 무장을 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예멘 전선에서 전투에 참전했던 참전 용사 샤힌 베이(Şahin bey)와 마라쉬 출신의 카라 이을란(Kara Yılan)이 이들 민병대들을 이끌면서 가지안테프 전투가 벌어진다. 후일 가지안테프 도의 중심을 이루는 2개 군의 이름은 안테프 전투의 첫 번째 사망자인 캬밀과 봉기군을 지도한 샤힌 베이의 이름을 따서 각각 셰히트캬밀(Şehitkâmil), 샤힌베이(Şahinbey)가 명명되어 오늘에 이르게 된다.

 

1920년 4월 1일부터 1921년 2월 9일까지 샤힌 베이가 이끄는 300여 민병대는 그보다 10배가 넘는 도시 내에 주둔한 많은 프랑스군과 아르메니아계 민병대를 상대로 농성전을 벌인 끝에 이들을 격퇴하는데 성공했다. 이어 인근 도시인 카흐라만마라쉬와 샨르우르파에서도 민병대들이 봉기를 일으켜 프랑스 군을 막아내는 데 성공했다.  결국 프랑스는 1921년 10월 20일에 앙카라 협약을 체결하면서 가장 먼저 전쟁에서 이탈하게 된다. 앙카라 협약의 조건은 시리아를 프랑스에 할양하고 하타이 지방을 프랑스령으로 남겨 놓았다. 터키 남동부 지방의 국경선을 정한 협약이었기에 이 협약은 현재 터키와 시리아의 국경선이 정해진 협약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하타이 지방도 1939년에 돌려받으면서 현 국경이 확정되었다. 동부에서는 아르메니아 군이 반, 비틀리스 일대를 노리고 3개 보병사단과 1개 기병여단을 동원해서 동부 국경 지대를 침공했지만 1920년 9월 24일부터 12월 2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에서 캬즘 카라베키르가 이끄는 독립군 4개 사단에 밀려 오히려 과거 러시아 로마노프 제국에 오스만 제국이 할양한 카르스(Kars), 반(Van), 아르다한(Ardahan)을 다시 터키에 넘겨주는 상황이 되었다. 

lukybaby7@gmail.com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he Battle of Gaziantep and the Reversal of the World, the Power of the Turkish Militia That Defeated the Imperialist Power of France

Columnist Jeong Gil-seon

 

In the 19th century, the Ottoman Turks, who reluctantly helped Greece gain independence through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continued to be defeated by European powers. However, after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the Ottoman Empire began to hire a large number of ‘Armenians’ for bureaucratic positions such as Dragoman (a foreign ministry established for negotiations with the West), as the Ottoman Empire stopped appointing Greeks to high positions. This was because while the Slavs and Greeks of the Balkan Peninsula were awakening their national consciousness and fighting for autonomy or independence, the Armenians were largely passive, and since the Armenians in the cities were able to accumulate their wealth thanks to the Ottoman government, they had little motivation for independence or dissatisfaction with their situation. However, the Armenians could not accept the situation of being second-class subjects of the Ottoman Turks forever, and as educated intellectuals began to emerge among the Armenians, they also began to take action to improve their rights.

 

Around 1875, the Patriarch of Armenia even came forward to petition to stop land confiscation, plunder by Muslims, forced conversion, rape, and murder, but the Ottoman Turks, who were suffering from serious internal problems, never took proper measures, even though they were aware of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During this period, the Ottoman Empire was experiencing extreme anti-Christian sentiment due to rebellions by Christian powers and ethnic groups supported by the powers. In addition, as the Ottoman Empire lost its territory and sovereignty in Europe several times, its identity became more tolerant, and as the national ideology of being the successor to Byzantium, which recognized diversity, collapsed, it was a time when it emphasized its fundamentalist religious identity as a full-fledged Islamic empire and Sunni supremacy. During this period, the Ottoman Empire was showing signs of collapse everywhere, and the method chosen by the Ottoman authorities to maintain society was large-scale and harsh oppression accompanied by human casualties. Meanwhile, in eastern Turkey, rebellions by ethnic groups against the oppression continued, and Gaziantep was also largely destroyed by the rebellion of Armenians and Kurds. During the Turkish War of Independence, the Armenian army invaded Turkey but was defeated and lost a significant portion of its territory, and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became very intense when Stalin deliberately transferred Mount Ararat to Turkey in order to weaken Armenian nationalism. However, anti-Turkish sentiment in Armenia has cooled down recently, and Armenia actually hates Azerbaijan more. If we look at history before the Armenian Genocide, the Armenians and the Ottoman Empire had friendly relations with each other. During the expansion of the Seljuk Empire in the Middle Ages, many Armenians were massacred, and the Cilicia-Armenian Kingdom supported the Crusaders and waged wars against Turkic Islamic states. However, the Ottoman Empire, which claimed itself as the successor of the Byzantine Empire, guaranteed the rights of Armenians who were active within the Byzantine Empire for practical reasons. Compared to the Safavid Dynasty of Iran, which was known to be friendly to Armenians, in which hundreds of thousands of Armenians died during the process of forcibly relocating Armenians, the Ottoman Empire in the early modern period utilized the existing Armenian diaspora in Anatolia.

 

The trigger for the current deterioration of relations was the conquest of the Caucasus by the Russian Romanov Empire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establishment of the Armenian state, and the large-scale migration of Armenians to the Russian Romanov Empire, the revival of nationalist ideology on both sides, and the Armenian Genocide as a result. After that, the southeastern region of Anatolia was in turmoil due to the establishment of a new power structure as the French and Armenian armies quickly claimed the territories they had divided in order to occupy the Ottoman Empire separately. The French sent troops to the ports of Zonguldak and Ereli on the Black Sea to take control of Turkey's coal mining areas, and then transferred control of northern Syria, which created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Battle of Gaziantep. Since this area was designated as a place for forced migration of Armenian residents during the war, the Armenians who migrated there during the war had anti-Ottoman sentiments, and as they suddenly increased in number, clashes with the Turkmen, Arab, and Kurdish residents who originally lived in Gaziantep became frequent.

 

Then the Armenian residents began to prepare for independence by joining forces with the French. The slogan of the Armenian militia that joined the French army at that time and confronted the Turkish militia was "Armenia or grave (Ya Ermenistan, ya mecaristan!)" The French army set up its headquarters in Beyazhan, which is today used as the Gaziantep City Museum and restaurant. At that time, Beyazhan in Gaziantep was mostly inhabited by wealthy Armenian residents, and there was an American hospital established by American missionaries and a women's school for Armenians nearby. With the French army as a backdrop, the Armenian residents oppressed the Turks and threatened their right to survive, and the French army's actions of neglecting this also provoked the Turks' anger, and the decisive moment for their uprising occurred near the headquarters located in Beyazhan. On the evening of Friday, January 21, 1920, Mehmet Kâmil, then 14 years old, was walking home with his mother in front of Beyazhan.

 

French soldiers patrolling nearby stopped them and began to mock her mother’s hijab, causing one of the soldiers to grab her hijab and knock it off. Angry, Kamil picked up a stone and threw it at the soldier, striking him. The French soldiers then committed the atrocity of bayoneting Kamil to death. The next day, Kamil’s funeral was attended by a large number of Gaziantep residents, who filled the mosques and were outraged by the French atrocities. The citizens gathered old rifles and knives from their homes and began to arm themselves with old Ottoman weapons, raiding the old Ottoman arsenal. And the Battle of Gaziantep was fought with these militias led by Şahin bey, a veteran of the battles on the Yemen front during World War I, and Kara Yılan from Marash. Later, the two districts that formed the center of Gaziantep province were named Şehitkâmil and Şahinbey, respectively, after Kamil, the first casualty of the Battle of Antep, and Şahinbey, who led the uprising, and these names remain to this day.

 

From April 1, 1920 to February 9, 1921, the 300-strong militia led by Şahin Bey successfully repelled the French and Armenian militias who were stationed in the city, which were more than ten times larger than them. Then, the militias in the nearby cities of Kahramanmaras and Şanlıurfa also rose up and successfully repelled the French army. In the end, France was the first to withdraw from the war, signing the Ankara Agreement on October 20, 1921. The terms of the Ankara Agreement were to cede Syria to France and leave the Hatay Province under French control. Since it was an agreement that defined the border of southeastern Turkey, this agreement can be seen as the agreement that defined the current border between Turkey and Syria. In addition, the Hatay Province was returned in 1939, confirming the current border. In the east, the Armenian army invaded the eastern border area with three infantry divisions and one cavalry brigade targeting the Van and Bitlis areas, but was defeated by four divisions of the Independent Army led by Kyazm Karabekir in the war that took place between September 24 and December 2, 1920, and ended up handing over Kars, Van, and Ardahan, which had been ceded by the Ottoman Empire to the Russian Romanov Empire, back to Turkey.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