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임에도 그들의 전반적인 학습 실태가 궁금해진다. 그래서 학생들이 무엇을 배우는지 커리큘럼을 살짝 엿봤다. 물론 각 학교마다 자율성을 가지고 조금씩 커리큘럼을 다르게 편성하기는 한다. 인도 학교는 정부 당국의 영향을 받기 보다는 학교 이사회가 학사 대부분을 의사결정 하는 구조이다. 자율성이 우리 보다 더 큰 것 같다.
델리의 한 유명한 사립학교(Public school) 사례이다. 초등학교 1학년부터 영어와 그들의 모어 격인 힌디를 배우고 수학을 배운다. 어릴 때부터 영어 공부에 노출되어 있다. 여기에 3학년부터 사회와 과학을 배운다. 우리의 중학생 격인 6학년은 산스크리트와 제2외국어(불어, 스페인어, 한국어 중 택일)가 추가된다. 흥미롭게 언어와 관련된 과목이 영어힌디산스크리트제2 외국어 등 4개나 된다. 이외 사회과학수학을 배운다.
한국 사람들에게 생경한 산스크리트는 인도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지금 사용하는 구어가 아니다. 그런데 인도의 역사 또는 문화를 이해하려면 이를 필수적으로 알아야 한다. 과거 인도에서 불경을 범어(梵語)로 기록했고, 그것이 한문으로 번역돼 우리나라로 들어왔는데, 그 범어가 바로 산스크리트다.
마치 우리가 과거 한문을 공부했던 것과 유사하다. 산스크리트는 고대 인도에서 지도층 인사들이 사용했던 언어였고, 그로부터 파생된 것들이 엄청 많다. 철학역사문학은 물론 의학까지도 영향을 받았다. 인도 사람의 이름 대부분이 산스크리트에서 차용한 것일 정도로 일상생활 깊숙이 파고들고 있다. 반면 가족의 성은 카스트와 연관이 있다.
눈치가 빠른 사람은 벌써 커리큘럼의 학습 의도를 알아챈다. 6학년 또는 7학년을 기준으로 볼 때 학교 커리큘럼의 절반이 언어 과목이다. 나로선 놀라운 사실로 다가온다.
인도 학생들은 말을 많이 하고 또 잘하기도 한다. 이런 배경에 커리큘럼도 한 몫 했을 것이다. 실제 한국어 수업을 하면 그들의 특징을 체감한다. 대부분 적극적으로 말을 하고 발표를 한다. 각자의 학습 능력과는 무관한 일반 모습이다. “침묵이 금”이라는 격언에 익숙한 나로선 이는 색다른 문화이고, 실제 적응하는데 시간이 걸렸다.
인도에 초기 진출한 한국 기업인들이 인도 직원을 비판할 때 자주 인용하는 말이 있다. “인도 사람은 말이 너무 번지르르하다”. 그 이면에는 부정적 측면만을 강조한 듯싶다. 하지만 언어가 천차만별인 인도 사람에게는 말을 잘하는 것이 생존의 기본이다.
인도에서 웬만큼 교육을 받은 사람은 최소 3-4개의 언어를 구사한다. 모어(母語)가 다를 경우 사용하는 언어가 더 늘어난다. 무슬림 신자인 인도 사람은 우르드어까지 한다.
인도 인구가 이미 14억명을 넘어섰다. 현재 최소 10% 정도의 사람은 비교적 영어를 잘한다고 한다. 내가 근무하는 학교만 해도 6학년이 넘으면 영어로 의사표현을 자유롭게 한다. 인도의 영어는 조금 어렵다. 발음과 억양이 모어인 ‘힌디’ 영향을 받아서 독특하다. 우리 영어를 ‘콩글리쉬’라고 하듯이 인도 영어를 ‘힌글리쉬’라고 부른다.
그러나 언어라는 것이 기본적인 의사소통에 능하고 전문 과정을 통과하는데 큰 문제가 없으면 유효하지 않을까? 인도 영어는 영국의 식민지배를 받으면서 영국식 영어와 많이 닮았다. 현재 1억 5천만명이 넘는 사람이 영어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고, 그 숫자는 계속 늘어나는 추세이다. 조만간 인도가 영어를 사용하는 세계 최대인구 국가가 될 것이라는 얘기까지 있다. 결코 과장된 전망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미국 실리콘밸리 CEO의 40% 정도가 인도 출신이라고 한다. 인도에는 세계적인 IT 기업의 아웃소싱 업무를 하는 회사들이 정말 많다. 그 배경은 단순하다. 인도에 IT 전문가들이 많은 이유와 함께 그들이 영어로 의사소통 하는 장점이 있다.
미국에서 인도계 이민자들은 합법적 이민자의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고 한다. 2024년 미국 대선에서도 인도계 정치인들이 두드려졌다. 민주당 후보였던 카밀라 해리스는 모계가 인도다. 공화당 대선 후보 경선 과정에서는 니키 헤일리 전 유엔대사, 비벡 라마스와미 등이 후보로 나섰다. 트럼프의 런닝메이트인 J.D 밴슨의 부인 우샤도 인도 출신이다. 인도계가 합법적 이민의 성공 사례로 꼽힌 배경의 하나로 원만한 영어 구사 능력이 있음은 분명하다.
학교 커리큘럼이 언어 중심으로 짜여 있는 점은 분명 놀랍다. 이런 학생들이 성장해서 사회에 배출될 즈음에 여러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으로 만들어져 있을 것이다. 인공지능에 의한 번역이 활발해지고 있지만 사람이 직접 구사하는 언어와는 또 다르다. 인도의 미래를 상상해보는데 지금 학교의 커리큘럼을 대비해보는 것도 의미 있을 것이다. cowboy1616@naver.com
*필자/조석용
본지 인도 통신원. 칼럼니스트. 한국어 교원. 오랜 공직생활을 마치고 지금은 인도 뉴델리의 학교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India, looking at the school curriculum, you can imagine the future!
“Based on the 6th or 7th grade, half of the school curriculum is language subjects”
-Jo Seok-yong, India correspondent for this newspaper
Even though I am a teacher who teaches Korean, I am curious about their overall learning situation. So I took a peek at the curriculum to see what the students are learning. Of course, each school has autonomy and organizes the curriculum slightly differently. Indian schools are structured so that the school board makes most of the academic decisions rather than being influenced by the government. It seems that they have more autonomy than us.
This is an example from a famous public school in Delhi. Starting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 English and Hindi, their mother tongue, and math. They are exposed to English from a young age. In addition, they learn social studies and science starting in the third grade. In the sixth grade, which is equivalent to our middle school students, Sanskrit and a second foreign language (choose one of French, Spanish, or Korean) are added. Interestingly, there are four subjects related to language: English, Hindi, Sanskrit, and a second foreign language. In addition, they study social studies, science, and mathematics.
Sanskrit, which is unfamiliar to Koreans, occupies a unique position in India. It is not a spoken language used today. However, it is essential to know it in order to understand Indian history or culture. In the past, Buddhist scriptures were written in Sanskrit in India, and it was translated into Chinese characters and brought to Korea. That Sanskrit is Sanskrit.
It is similar to how we studied Chinese characters in the past. Sanskrit was the language used by the ruling class in ancient India, and there are many things derived from it. It influenced philosophy, history, literature, and even medicine. Most Indian names are borrowed from Sanskrit, so it is deeply embedded in our daily lives. On the other hand, family surnames are related to caste.
Those who are quick-witted already know the learning intention of the curriculum. Based on the 6th or 7th grade, half of the school curriculum is language subjects. This is surprising to me. Indian students talk a lot and are good at it. The curriculum must have played a part in this. When you actually take a Korean language class, you can feel their characteristics. Most of them actively talk and make presentations. It is a common behavior that has nothing to do with their learning ability. For me, who is used to the saying, “Silence is golden,” this is a different culture, and it actually took me a while to get used to it.
There is a saying that Korean businesspeople who first entered India often cite when criticizing Indian employees. “Indians talk too much.” It seems that they are only emphasizing the negative aspects. However, for Indians who speak a variety of languages, being good at speaking is the basics of survival.
Anyone who has received a decent amount of education in India speaks at least three or four languages. If their mother tongue is different, the number of languages they use increases. Muslim Indians even speak Urdu.
The population of India has already exceeded 1.4 billion. It is said that at least 10% of people are relatively good at English. Even at the school where I work, students who are past the sixth grade can freely express themselves in English. Indian English is a bit difficult. The pronunciation and accent are unique due to the influence of the native language, ‘Hindi.’ Just as our English is called ‘Konglish,’ Indian English is called ‘Hinglish.’
However, isn’t it valid if the language is good for basic communication and there are no major problems in passing professional courses? Indian English is very similar to British English due to its British colonial rule. Currently, more than 150 million people have no problem communicating in English, and that number is continuing to increase. There is even talk that India will soon become the world’s largest English-speaking country. I don’t think this is an exaggerated prediction.
It is said that about 40% of the CEOs of Silicon Valley in the United States are from India. There are many companies in India that outsource work for global IT companies. The reason is simple. There are many IT experts in India, and they have the advantage of communicating in English.
Indian immigrants are said to b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legal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Indian politicians were also mentioned in the 2024 US presidential election. Democratic candidate Kamala Harris’ maternal lineage is Indian. In the Republican presidential primary, former UN Ambassador Nikki Haley and Vivek Ramaswamy ran as candidates. Trump's running mate J.D. Benson's wife, Usha, is also from India. One of the reasons why Indians are considered successful examples of legal immigration is because they have fluent English skills.
It is certainly surprising that the school curriculum is centered around language. By the time these students grow up and enter society, they will have become multilingual people. Although translation by AI is becoming more active, it is different from languages spoken directly by people. It would be meaningful to compare the current school curriculum to imagine the future of India. cowboy1616@naver.com
*Author/Cho Seok-yong
Correspondent for this newspaper in India. Columnist. Korean language teacher. After a long career in public service, he now teaches Korean at a school in New Delhi, In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