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우리가 아는 진정한 스포츠 정신, 제대로 지켜지고 있을까?

정길선 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24/11/16 [10:29]

▲필자/정길선 박사     ©브레이크뉴스

2022년 카타르 월드컵이 2년이 지나 이제 2026년 북중미 월드컵을 바라보고 있다. 월드컵 시즌에는 한국이 8강에 진출할 수 있을까와 손흥민이 몇 골이나 넣을까, 그리고 어떻게 손흥민이 국가대표를 마무리할까, 이강인, 황희찬 등의 호화맴버가 나오는 시대의 마지막을 종결짓는 대회가 북중미 월드컵이다. 한국은 현 상황과 현 맴버로 봐서는 충분히 본선에서 8강이 가능한 맴버다. 이번에는 우리 대한민국의 월드컵 본선행과 본선에서의 8강을 응원한다. 

 

그러나 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이런 얘기가 아니다. 스포츠에서 가장 배제되어야 할 정치적인 부분이 좌우하고 있다. FIFA나 IOC 같은 거대 스포츠 기구에서 공공연히 좌우되고 있는 스포츠의 이념은 평화를 실현하고 인류애의 감동을 주고 거기에 공평함, 도덕, 존중, 경쟁자와의 우호관계 등으로 이루어지며, 좋은 자세를 가지는 것, 이기고자 하는 의지, 정당하고 공평하게 승부하고자 하는 소망, 당연하지만 승부조작, 약물투여 등을 하지 않는 것 등의 요소로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에 일절 정치적인 부분과 표현은 배제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를 매번 어기는 국가들이 있다. 다른 국가였으면 벌써 징계를 받았지만 일본의 경우, 욱일기를 경기장에서 휘날려도 한번도 징계를 받은 적이 없다. 욱일기가 국기도 아니고 아시아 침략전쟁을 미화하고자 하는 측면에서 정치적인 의도가 아니냐는 이의를 재기했지만 이것이 공식적으로 받아들인적은 한 번도 없다. 

 

특히 올림픽 헌장 50조 2항에 보면 "올림픽이 열리는 곳에서 모든 종류의 시위와 정치적·종교적·인종적 선전을 금지한다" 라고 되어 있다. FIFA 또한 경기 중 팬들이나 선수들이 정치적인 표현을 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다만 정확하게 딱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올림픽에서 하면 안 되는 정치적 표현인지 선을 긋거나 예를 들어두지는 않았다는 것이 문제이다. 올림픽 헌장 50조 2항이 생긴 배경에는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시상대에서 고개를 숙이고 주먹을 들어 보인 두 선수가 있었다. 당시 올림픽에 나갔던 미국의 육상 국가대표 토미 스미스 선수와 존 카를로스 선수는 200m 경기에서 각각 금메달과 동메달을 따고 시상대에 올랐는데 두 선수는 인종차별에 항의하는 의미로 검은 장갑을 끼고 한쪽 주먹을 들어 올렸다. 흑인 인권 운동에 유난히 가혹한 태도를 보였던 당시 IOC는 스미스 선수와 카를로스 선수에게 올림픽 출전 징계를 내렸다. 이후 1974년에는 올림픽 헌장에 ‘경기장에서 정치적 모임이나 시위를 해서는 안 된다’라는 조항이 들어갔다.

 

이것이 1975년에 개정되면서 지금의 올림픽 헌장 50조 2항에 가까운 모습이 됐고 FIFA도 마찬가지의 맥락을 갖고 있다. 시간이 흐르면서 올림픽 헌장 50조를 적용하는 기준도 조금은 달라졌는데 대표적인 예로, 지난 도쿄올림픽에서는 이 규정을 조금 완화해서 적용하기도 했다. 이전에도 규정을 완화해서 적용한 적이 있지만 이렇게 공식적으로 밝힌 건 도쿄올림픽이 처음이었다. 하지만 규정이 약간 부드러워진 것일 뿐, 큰 틀에서 정치적 표현을 금지한다는 원칙은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이 정치적인 표현을 못하게 하는 이유는 올림픽은 어떤 차별도 없이 스포츠를 통해 더 평화로운, 더 나은 세계를 만들어가는 걸 목표로 하는데 정치가 끼어들면 이익 다툼이 생겨 올림픽의 정당한 목표를 이루지 못하게 된다는 것이다. FIFA에서도 월드컵의 목적은 최고의 축구선수들을 평화로운 경쟁 속에서 하나로 만들고, "어떠한 정치적 갈등이라도 넘어서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정치적 목표를 이루기 위한 수단이 되지 않을 때만 순수한 스포츠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이러한 규정이 미국과 서구에서만 통한다는 것이다. 미국은 이라크를 침공했고,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했는데도 올림픽이나 FIFA에서 아무런 제재를 받지 않았다.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을 폭격하고 민간인 인명살상이 극에 달했음에도 이스라엘은 당당히 자신들의 국기를 가슴에 달고 올림픽과 월드컵 예선에 출전했다. 하물며 중공도 신장위구르인에 대한 인권 탄압이 물망에 올랐음에도 오성홍기를 두르고 월드컵 예선과 올림픽에 출전했고 아무런 제재를 받지 않았다. 그러나 우크라이나를 침공했다는 이유로 러시아를 카타르 월드컵에서 퇴출하기로 결정했다는 것이다. 미국과 이스라엘, 중국은 퇴출을 시키지 않고 용인하면서 그 잣대를 유독 러시아에 드리웠다는 것이다. FIFA는 추가 공지가 있을 때까지 러시아 국가대표와 클럽팀의 FIFA 주관 대회 출전을 금지한다고 했으며 유럽축구연맹(UEFA)과 공동으로 이 조치를 내렸다. 형평성 논란이 일어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FIFA는 우크라이나 침공의 책임을 물어 러시아 대표팀의 국제 대회 개최 금지와 국제 경기에서 국가, 국기, 국가 명칭 사용 금지의 징계를 내린 바 있는데 정치와 스포츠는 별개하고 하였으며 "어떠한 정치적 갈등이라도 넘어서는 것"이라고 언급도 했으면서 정치권도 아닌 전쟁과 아무 상관도 없는 스포츠 선수들에게 했던 이 같은 조치는 서구와 미국의 정치적 입김이 들어간 정치적인 의도라고 볼 수 있다. 이전에도 FIFA는 유고 내전으로 인해 유고슬라비아를 1994년 미국 월드컵 때 재재한 바 있다. 그럼 이후 21세기 들어 이라크,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한 미국을 왜 월드컵 출전을 제재하지 않는가? 팔레스타인 공격한 이스라엘은 왜 월드컵 출전을 제재하지 않으며 왜 유독 러시아만 제재하는 것일까? 더구나 러시아는 폴란드를 상대로 플레이오프 경기를 치러 이길 경우 스웨덴과 체코 승자와 격돌, 카타르에서 개막하는 월드컵 본선 진출에 도전할 예정이었고 한창 상승세였기에 아쉬운 상황이었다. 

 

그리고 인종차별 문제라면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인종 차별 정책으로 인해 1964년과 1976년, FIFA 대회 출전이 금지된 바 있는데 흑인 인종 차별, 특히 조지 플로이드 사건 등으로 물의를 빚은 미국은 왜 출전 금지를 당하지 않는가? 월드컵 예선에서 러시아와 만나거나, 상대할 가능성이 있는 폴란드, 스웨덴, 체코는 이미 러시아와 경기하지 않겠다고 했는데 이들 국가 축구대표팀들도 "어떠한 정치적 갈등이라도 넘어서는 것" FIFA의 원칙을 왜 지키지 않는가? 이는 다분히 정치적인 입김이 들어간 것이라고 볼 수 있을지 않을까 싶다. 나도 축구를 좋아하고 월드컵 경기를 하나도 빠짐없이 보는 사람이지만 이번 카타르 월드컵에는 한국 경기 외에는 보지 않으려 한다. 미국, 서구의 입장만 대변하면서 원칙을 지키지 않으려는 IOC나 FIFA는 진정한 스포츠의 정신을 위배했기 때문이다. IOC나 FIFA는 최근 팔레스타인을 폭격한 이스라엘도 형평성에 맞게 제재해라. 그러나 못 할 것이다. 서구와 미국의 공공의 적이 러시아이고 러시아 멸종되어 사라질 때까지 서구와 미국은 멈추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lukybaby7@gmail.com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Is the true sportsmanship we know being properly maintained?

 

- Jeong Gil-seon, columnist

 

Two years have passed since the 2022 Qatar World Cup, and now we are looking forward to the 2026 North and Central America World Cup. During the World Cup season, the question is whether Korea will be able to advance to the quarterfinals, how many goals will Son Heung-min score, and how will Son Heung-min finish his national team career. The North and Central America World Cup is the last competition to end the era of luxurious players such as Lee Kang-in and Hwang Hee-chan.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current members, Korea is a member that can easily advance to the quarterfinals in the main tournament. This time, I support our Republic of Korea’s advancement to the World Cup main tournament and the quarterfinals in the main tournament.

 

However, this is not what I want to say. The political aspects that should be excluded the most from sports are influencing the outcome. The ideology of sports, which is openly influenced by large sports organizations such as FIFA and the IOC, is composed of realizing peace, giving a sense of humanity, and fairness, morality, respect, and friendly relations with competitors, and consists of elements such as having a good attitude, the will to win, the desire to compete fairly and fairly, and of course, not fixing matches or administering drugs. It appears that political aspects and expressions are excluded from these. However, there are countries that violate this rule every time. In other countries, they would have already been punished, but in the case of Japan, they have never been punished for waving the Rising Sun Flag at a stadium. There have been objections raised that the Rising Sun Flag is not a national flag and that it is politically motivated in that it glorifies the war of aggression in Asia, but this has never been officially accepted.

 

In particular, Article 50, Paragraph 2 of the Olympic Charter states that "all kinds of demonstrations and political, religious, and racial propaganda are prohibited in the Olympic venues." FIFA also prohibits fans and players from making political expressions during games. However, the problem is that it does not draw a line or provide examples of exactly where and how political expressions are prohibited at the Olympics. The background to the creation of Article 50, Paragraph 2 of the Olympic Charter was two athletes who bowed their heads and raised their fists on the podium at the 1968 Mexico City Olympics. At the time, U.S. track and field team members Tommy Smith and John Carlos won gold and bronze medals in the 200m race, respectively, and the two athletes wore black gloves and raised one fist to protest racial discrimination. The IOC, which was particularly harsh on the black civil rights movement at the time, suspended Smith and Carlos from the Olympics. Later, in 1974, the Olympic Charter included a clause stating that “political gatherings or demonstrations are prohibited in the stadium.” This was revised in 1975 to resemble the current Article 50, Paragraph 2 of the Olympic Charter, and FIFA also follows the same context. As time went by, the criteria for applying Rule 50 of the Olympic Charter changed slightly. For example, the Tokyo Olympics applied this rule with a slightly relaxed rule. Although the rule was applied with a relaxed rule before, this was the first time that it was officially announced. However, the rule was only slightly relaxed, and the principle of prohibiting political expression in the grand scheme of things still remains. The reason for prohibiting this political expression is that the Olympics aims to create a more peaceful and better world through sports without any discrimination, and if politics intervenes, conflicts of interest arise, preventing the legitimate goals of the Olympics from being achieved. FIFA also stated that the purpose of the World Cup is to unite the best soccer players in peaceful competition and “overcome any political conflict.” It also stated that purely sporting goals can only be achieved when it does not serve as a means to achieve political goals.

 

Interestingly, this rule only applie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West. The United States invaded Iraq and Afghanistan, but was not subject to any sanctions from the Olympics or FIFA. Even though Israel bombed Palestine and civilian casualties reached a peak, Israel proudly participated in the Olympics and World Cup qualifiers with its own flag on its chest. Furthermore, China, despite being accused of human rights violations against Uyghurs in Xinjiang, participated in the World Cup qualifiers and Olympics with the Five-Star Red Flag and was not subject to any sanctions. However, the decision was made to expel Russia from the Qatar World Cup because it invaded Ukraine. The US, Israel, and China did not expel Russia, but tolerated it, and applied the yardstick to Russia. FIFA announced that it would ban the Russian national team and club teams from FIFA-hosted competitions until further notice, and jointly took this measure with the Union of European Football Associations (UEFA). It is natural that there is a controversy over fairness. FIFA has banned the Russian national team from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competitions and from using the national anthem, flag, and name of the country in international matches, citing responsibility for the invasion of Ukraine. It has stated that politics and sports are separate, and that it “goes beyond any political conflict,” but this measure taken against sports players who are not even part of the political world or involved in war can be seen as a political intention influenced by the West and the United States. Previously, FIFA banned Yugoslavia from the 1994 World Cup in the United States due to the Yugoslav Civil War. Then why didn’t it ban the United States, which invaded Iraq and Afghanistan in the 21st century, from participating in the World Cup? Why didn’t it ban Israel, which attacked Palestine, from participating in the World Cup, and why did it only sanction Russia? Furthermore, Russia was scheduled to play a playoff match against Poland, and if it won, it would have to face the winner of Sweden and the Czech Republic to advance to the World Cup finals in Qatar, so it was unfortunate that it was on the rise. And in terms of racial discrimination, South Africa was banned from FIFA competitions in 1964 and 1976 due to its racial discrimination policy. Why isn't the United States, which has been embroiled in controversy over racial discrimination against black people, especially the George Floyd incident, banned from the competition? Poland, Sweden, and the Czech Republic, which are or may be facing Russia in the World Cup qualifiers, have already said they will not play against Russia. Why aren't these national soccer teams following FIFA's principle of "overcoming any political conflict"? I think this could be seen as being largely politically motivated. I also love soccer and watch every single World Cup game, but I won't watch any games except for the Korean games in this Qatar World Cup. The IOC and FIFA, which only represent the position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West and refuse to follow the principles, have violated the true spirit of sports. The IOC and FIFA should also sanction Israel, which recently bombed Palestine, in a fair manner. But they can't do it. The common enemy of the West and the United States is Russia, and the West and the United States will not stop until Russia is annihilated and disappears. lukybaby7@gmail.com

 

*Author/ Jeong Gil-seon.

 

 

Novatopos member, historian, paleoanthropologist, columnist, research professor at the Institute of Eurasian Paleoanthropology, Russian Academy of Sciences.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