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홍범도 장군의 일생과 독립운동가들의 과도한 비난에 대한 비판

정길선 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24/11/14 [22:58]

▲ 정길선 박사     ©브레이크뉴스

원래 홍범도 장군은 조선 천민 출신이다. 1868년 평양에서 양반집에서 머슴살이하던 아버지에게서 태어났다. 홍범도가 태어나자마자 어머니가 출산 후유증으로 사망했고 머슴살이하던 아버지마저 그가 9살이 되는 해에 세상을 떠났다. 이후 다른 양반집의 머슴으로 갔고 10대 중반이었던 1883년 머슴살이를 청산하고 인생을 바꿔보고 싶다는 마음에 평양 감영의 나팔수로 입대했다. 그러나 민씨 일가 치하의 부패한 군대는 차별과 폭행이 끊이지 않았다. 임오군란, 갑신정변이 일어났어도 군은 변하지 않았다. 조선 말기의 군대는 규율이 없고 부패하여 양반 출신인 군교(장교: 초관이나 별군관, 초장 등)들은 사리사욕을 채우기에 급급하였고 병사들에 대한 급양이 형편없었을 뿐만 아니라 걸핏하면 병정들을 학대하고 차별하였던 것이다. 1860년대 이후에는 거의 매년 농민들을 주축으로 한 민란이 일어났던 시기였다. 결국 홍범도는 자신을 학대하던 상관을 살해하고 탈영했다.

 

상당수의 우파들은 상관을 살해한 것만 말하지 왜 살해했는지는 말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그들에게 있어 이유라는 것은 필요없고 홍범도의 악랄한 면만 부각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민비와 민씨 일가는 욕하면서도 이건 욕하지 않는다. 홍범도를 악마화하기 위해서는 민씨 일가의 행동은 당연한 것으로 지지해야 한다. 민씨 일가의 조선 말기를 욕하면서도 민씨 일가에게 당했던 홍범도를 욕하지 않는 것은 그가 그의 나이 60세에 공산당원이 됐기 때문이다. 우파 입장에서는 공산당 홍범도는 거기서 학대 받아도 싼 인간이었다. 이후 홍범도는 황해도 수안으로 가서 동료 군인의 추천을 받아 제지 공장에 입사했다. 그러나 공장 주인은 폭언과 폭행을 일삼았고 7개월이나 급여를 주지 않았다. 급여를 받으려면 동학으로 개종하라고 했다. 참다 못한 홍범도는 제지 공장 사장과 그의 3형제를 폭행하고 공장을 나왔다.  

 

상당수의 우파들은 사장을 폭행하고 탈영하여 상관을 살해한 흉악범으로 묘사한다. 왜 살해했고 폭행했는지 말하지 않고 그건 중요한 사항이 아니다. 홍범도를 악마화 해야 하니까 말이다. 쟤는 공산당이니 원래 그랬어. 하는 프레임을 씌우려면 그런거 자세히 보면 안 된다. 내가 보기에는 홍범도를 음해하는 가짜 보수들이 7개월이나 월급이 밀렸다 하면 절대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다. 사장을 때려 죽이고, 노동청에 고발하고 별짓을 다했겠지. 그러나 당시 19세기 조선시대 말기, 노동청이라는 것이 존재하기나 했나?. 홍범도는 천민인데 천민의 말을 들어주는 정부 기관이 존재하기나 했나? 이 과정을 이해 못하면 이거 비난하는 보수놈들부터 7개월 동안 월급 받지 말고 계속 일해봐라. 그러면 그 분노를 알 수 있을테니 말이다.  

 

이후 그가 간 곳이 신계사였다. 그는 그곳에서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다. 신계사에는 지담(止潭) 대사라는 고승이 있는데 그가 홍범도의 스승이 되어 언문을 가르쳤다. 그러나 도무지 이해할 수가 없는 한문 투성이의 경전은 너무 어렵게 느껴졌으며 불법에 대한 흥미가 점점 사라지게 된다. 그는 지담 스님이나 다른 중들이 하는 설법을 많이 듣다 보니까 대충 불교가 어떤 종교라는 것만은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절의 체류기간을 통하여 간단한 한글 문장이나 편지를 이전보다 더 능숙하게 읽고 쓸 수 있게 되었지만 한자는 여전히 미숙한 상태였다. 그리고 그 절에서 비구니를 만나 연애를 하게 되었고 비구니가 임신하자 스스로 파계하여 비구니와 함께 절에서 나왔다. 홍범도는 비구니를 자신의 부인으로 맞이하여 평범하게 살려했지만 도중에 비적의 습격을 받아 부인과 헤어지게 되고 결국 홍범도는 강원도 회양군의 먹패장골에서 생활을 하게 된다. 이후 다시 아내와 자식을 다시 만났으며 두 아들과 북청에서 삶을 시작했다고 한다.

 

승려의 길을 걷는 자가 성욕을 못이겨 비구니와 사랑을 하고 임신시키는 것은 당시 조선 말기 현실에 있어 이는 흔한 일이었다. 현재도 불교계에서 종종 벌어지는 사건인데 조선 말기에는 더 심했다. 이걸 가지고 홍범도만 욕할 수는 없다. 비구니 임신시켜 놓고 나 몰라라 불교에서 꽤 높은 지위를 차지하며 사는 중들도 많은데 말이다. 

 

홍범도는 먹패장골에서 김수협이라는 인물을 만나 서로의 대화 끝에 일본에 의해 명성황후가 살해되고 일본에게 끌려다니는 당시의 상황에 분노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의기투합했고 일본을 샃대로 의병 투쟁을 벌이게 된다. 이렇게 홍범도와 일본의 악연은 1896년부터 시작되었다. 이 두 사람은 먼저 친일인사와 일본군이 있는 큰 도회지로 가서 그들을 처단하고 군자금과 무기를 빼앗기로 작정했다. 그 후 두 사람은 오량동을 지나 금성읍에 이르렀는데 그곳 장거리에 때마침 일본군의 한 부대 약 200여 명이 들어와 있었다. 두 의병은 일본군 병사가 어깨에 메고 있는 최신식 소총을 보니 이를 탈취하려 했다. 약 10여 명의 일본군이 원산방면에서 서울로 가기 위해 철령을 넘고 있을 때 이들을 기습해 소총을 탈취했다. 이 전투가 바로 홍범도가 전개한 최초의 의병전투였다고 한다. 이렇게 시작한 그는 의병활동을 계속했고 일본군에게 패배한 이후, 산골에서 숨어 지내며 포수생활을 하게 된다. 여기까지가 <홍범도 일지>에 나오는 내용인데 <홍범도 일지> 자체로 놓고 어느 정도 설득력은 있으나 객관성을 보증할 수 있는 자료가 없는게 문제다. 그러나 당시 독립운동가들은 자신이 기록을 남겼을 때 일본 경찰에 발각되어 가족이 고초를 겪을 것을 우려해 기록을 일부러 많이 남기지 않는다고 한다. 

 

따라서 독립운동사는 객관적인 기록을 살펴보기 정말 어려운 역사다. 자서전 형태의 <일지> 종류로 파악할 수밖에 없는게 현실이고 적대하고 있는 일본 측조차도 뭔가 대조 가능한 기록이 부족하기 때문에 가장 자료가 많을 것 같은 근현대사지만 오히려 사료 부족에 시달리는 분야가 독립운동사라고 할 수 있다. 바로 그 점 때문에 우파 역사가들이 물고 늘어지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대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방적인 주장이라 생각해 믿을 수 없다는 것이다. 

 

이후 홍범도는 줄기차게 의병활동을 하다가 1908년 8월 하순경 그는 함흥군 천불산에서 의병들을 소집하였다. 그 곳에서 많은 의병들을 집으로 돌려보내고 후일에 기회를 보아 다시 일제와 싸우기로 하였다. 또 일부 의지가 강한 의병들은 평안도 일대로 진출하여 싸우도록 하였다. 자신은 의병 190여 명을 이끌고 잠시 간도로 건너가 직접 무기를 조달하며 기회를 보기로 했다. 이때 의병들이 휴대한 무장은 소총 70여 정에 탄약 1만 1천발 가량이었다. 홍범도는 잠시 간도로 진출하였으나 활동이 여의치 못하여 한 두 달 뒤에 다시 의병들을 데리고 국내로 들어왔다. 그러다가 끝내 국내에서 의병항쟁을 지속하지 못하고 1908년 11월 2일경 만주를 거쳐 연해주로 망명길에 오르게 되었다. 홍범도는 40여 명의 의병을 데리고 삼수군의 신갈파진에서 압록강을 건너 중국 통화로 건너갔다가 러시아어에 능통한 김창옥,  자신의 12살 아들 홍용환, 의병참모 권감찰 등 3명 등과 함께 유수현(楡樹縣) 등 북만주 지방을 굶주리며 걸어서 천신만고 끝에 12월 초순 만주 흥더허재(橫道河子)의 한인촌에 도착하였다. 거기에서 6일을 묵은 뒤 일행은 동포들의 도움으로 기차를 타고 1908년 12월 중순 마침내 러시아의 소왕령(蘇王嶺: 니콜스크 우수리스크)에 도착하는 데 성공하였다. 

 

홍범도가 연해주로 건너온 이유는 그 곳에서 무기와 탄약을 구입해 가고, 또 연해주 지역의 의병부대와 공동보조를 취하며 더 나아가 남한 지역의 의병부대와도 연계하여 대대적 의병전쟁을 전개하기 위해서였다. 이처럼 홍범도의 항일 활동은 독립군을 이루던 어느날 갑자기 이루어진게 아니라 1896년부터 이어진 의병 활동을 시작으로 1907년에 재기하였고 이 시기 일본 헌병대 및 일본 육군 정규부대를 상대로 크고 작은 37회의 전투를 벌였다고 알려져 있다. 1908년 4월 일본군에 체포된 아내가 모진 고문을 당하며 옥사했고 1달 후 장남 홍양순도 6월의 함경남도 정평배기 전투에서 아버지 홍범도와 함께 일본과 싸우다가 전사했다. 홍양순 또한 2021년 3.1절 기념식 때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해군잠수함사령부 홍범도함에서 근무하던 여명훈 중위가 대신 받았다고 알려졌다. 차남 홍용환도 아버지와 함께 연해주로 이주하여 의병 활동을 하다 결핵으로 사망했기에 홍범도 장군의 후손은 소련에서 맞이한 부인으로부터 얻은 딸이 1명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나라를 위해 피도 안 흘려 보고 나라를 위해 가족도 잃어본 적 없는 사람들이 홍장군을 매도하며 할 짓이 아니다. 

lukybaby7@gmail.com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General Hong Beom-do's Life and Criticism of Excessive Criticism of Independence Activists

Columnist Jeong Gil-seon

 

General Hong Beom-do was originally from the lowest class of Joseon. He was born in 1868 in Pyongyang to a father who worked as a servant in a noble family. As soon as Hong Beom-do was born, his mother died from complications of childbirth, and his father, who had been a servant, also passed away when he was 9 years old. After that, he worked as a servant in another noble family, and in 1883, when he was in his mid-teens, he enlisted as a trumpeter at the Pyongyang military camp, wanting to give up his servant life and change his life. However, the corrupt military under the Min family was full of discrimination and violence. Even after the Im-o Incident and the Gapsin Coup, the military did not change. The milita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undisciplined and corrupt, and the military officers (officers: subordinate officers, special officers, and generals) of the yangban class were eager to satisfy their own selfish desires, and not only did they not provide adequate food for the soldiers, but they also frequently abused and discriminated against them. After the 1860s, there were civil unrests led by peasants almost every year. In the end, Hong Beom-do killed his superior who had been abusing him and deserted.

 

Many right-wingers only talk about the murder of his superior and do not say why he killed him. The reason is that for them, there is no need for a reason and they only want to highlight Hong Beom-do’s evil side. They criticize Queen Min and the Min family but do not criticize this. In order to demonize Hong Beom-do, the Min family’s actions must be supported as natural. The reason they do not criticize Hong Beom-do, who was treated by the Min family while criticizing the Min fami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because he became a communist at the age of 60. From the right-wing perspective, Hong Beom-do of the Communist Party was a person who deserved to be abused there. After that, Hong Beom-do went to Suan, Hwanghae Province, and got a job at a paper mill upon the recommendation of a fellow soldier. However, the factory owner verbally and physically abused him and did not pay him for 7 months. He told him to convert to Donghak in order to receive his salary. Hong Beom-do could not stand it anymore and assaulted the paper mill owner and his 3 brothers and left the factory.

 

Many right-wingers portray him as a vicious criminal who assaulted the owner, deserted, and killed his superior. They don’t say why he killed or assaulted him, and that’s not important. They have to demonize Hong Beom-do. If you want to frame him as a communist, you shouldn’t look at that in detail. In my opinion, the fake conservatives who slander Hong Beom-do would never stay still if his salary was delayed for 7 months. They would have beaten the owner to death, reported him to the Ministry of Labor, and done everything they could. However, at that time, in the late 19th century, during the Joseon Dynasty, did the Ministry of Labor even exist? Hong Beom-do was a commoner, but did a government agency exist that listened to the commoners? If you don’t understand this process, the conservatives who criticize this should work without receiving a salary for 7 months. Then you will understand their anger.

 

After that, he went to Singye Temple. He became a monk there. There was a great monk named Jidam (止潭) at Singye Temple, and he taught Hong Beom-do Korean literature. However, the scriptures, which were full of Chinese characters that he could not understand at all, felt too difficult, and he gradually lost interest in Buddhism. After listening to many sermons given by Jidam and other monks, he was able to roughly understand what kind of religion Buddhism was. During his stay at the temple, he became more proficient in reading and writing simple Korean sentences and letters, but he was still not good at Chinese characters. He met a nun at the temple and fell in love with her. When the nun became pregnant, he abdicated and left the temple with her. Hong Beom-do took a nun as his wife and tried to live an ordinary life, but was attacked by bandits and separated from his wife. Hong Beom-do ended up living in Meokpaejanggol, Hoeyang-gun, Gangwon-do. Afterwards, he met his wife and children again and started living in Bukcheong with his two sons.

 

It was common for a monk to fall in love with a nun and get her pregnant because he couldn't control his sexual desir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is still a common occurrence in the Buddhist community today, but it was even wors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 can't blame Hong Beom-do alone for this. There are many monks who get a nun pregnant and pretend not to know anything and live in high positions in Buddhism.

 

Hong Beom-do met a man named Kim Su-hyeop in Meokpaejanggol, and after talking to him, he was angry about the situation at the time when Empress Myeongseong was murdered by the Japanese and was taken away by the Japanese. They joined forces and fought against Japan as a volunteer army. This is how Hong Beom-do's bad relationship with Japan began in 1896. These two men decided to first go to a large city where there were pro-Japanese figures and Japanese soldiers, kill them, and seize military funds and weapons. After that, the two men passed through Oryang-dong and arrived at Geumseong-eup, where a Japanese army unit of about 200 men happened to be in the long distance. The two volunteers saw the latest rifles on the shoulders of the Japanese soldiers and tried to steal them. When about 10 Japanese soldiers crossed Cheoryeong to go from Wonsan to Seoul, they surprised them and seized the rifles. This battle is said to be the first volunteer army battle that Hong Beom-do fought. Starting like this, he continued his volunteer activities, and after being defeated by the Japanese army, he hid in the mountains and lived as a hunter. This is the content that appears in <Hong Beom-do's Diary>, and although <Hong Beom-do's Diary> itself is somewhat persuasive, the problem is that there is no data that can guarantee objectivity. However, it is said that independence activists at the time deliberately did not leave many records for fear that their families would suffer if they were discovered by the Japanese police if they left records.

 

Therefore,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s a history that is really difficult to examine objectively. The reality is that it can only be understood as a type of <diary> in the form of an autobiography, and even the hostile Japanese side lacks any comparable records, so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s a field that seems to have the most data, but rather suffers from a lack of historical materials. This is precisely why right-wing historians cling to this area. They think that since comparison is impossible, it is a one-sided claim and cannot be trusted.

 

After that, Hong Beom-do continued to engage in volunteer activities, and around late August 1908, he gathered volunteers at Cheonbulsan in Hamheung County. There, he sent many volunteers home and decided to fight against the Japanese again when the opportunity arose. He also sent some of the strong-willed volunteers to fight in the Pyeongan Province. He led about 190 volunteers and decided to go to Gando for a while to procure weapons himself and wait for an opportunity. At that time, the volunteers carried about 70 rifles and 11,000 rounds of ammunition. Hong Beom-do went to Gando for a while, but his activities were not going well, so he returned to Korea with the volunteers a month or two later. In the end, he was unable to continue the volunteer struggle in Korea and went into exile in the Maritime Province via Manchuria around November 2, 1908. Hong Beom-do led about 40 volunteers across the Yalu River from Singalpajin in Samsu-gun to Tonghua, China, and then walked through Yusu County and other northern Manchurian regions with three others, including Kim Chang-ok, who was fluent in Russian, his 12-year-old son Hong Yong-hwan, and the volunteers' staff officer Kwon Gam-chal, while starving. After much difficulty, they arrived at the Korean village in Heungdeohejae, Manchuria, in early December. After staying there for six days, the group successfully arrived at the Russian Sowangryeong (Nikolsk Ussuriisk) in mid-December 1908 by taking a train with the help of their compatriots. The reason Hong Beom-do crossed over to the Maritime Province was to purchase weapons and ammunition there, and to cooperate with the volunteer army in the Maritime Province, and furthermore, to link up with the volunteer army in South Korea to launch a large-scale volunteer war. In this way, Hong Beom-do's anti-Japanese activities did not start suddenly one day when he formed an independence army. Rather, he started his volunteer army activities in 1896 and resumed in 1907. During this period, he is known to have fought 37 large and small battles against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and regular Japanese army units. In April 1908, his wife was arrested by the Japanese military and died in prison after suffering severe torture. A month later, his eldest son Hong Yang-sun also died fighting the Japanese alongside his father Hong Beom-do in the Battle of Jeongpyeongbaegi in Hamgyeongnam-do in June. Hong Yang-sun was also posthumously awarded the Order of Merit for National Foundation, Presidential Medal, at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Day ceremony in 2021. It is known that Lieutenant Yeom Myeong-hun, who was serving on the Hong Beom-do ship of the Naval Submarine Command, received it instead. The second son, Hong Yong-hwan, also moved to the Primorsky Krai with his father and died of tuberculosis while participating in volunteer activities, so it is known that General Hong Beom-do's descendants have one daughter from a woman he met in the Soviet Union. People who have never shed blood for their country and have never lost a family for their country should not be criticizing General Hong.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