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9일 오전 서울 동작구 풀 숲 그늘에서 시민들이 앉아 쉬고 있다. 들쥐나 다람쥐의 털진드기가 사람에게 옮기는 쓰쓰가무시 질병은 가을의 대표적인 전염병으로 풀 밭에서 옮기기 쉬우므로 조심해야 한다. © 뉴시스 |
가을철 들어 성묘, 풀베기, 주말농장, 텃밭 가꾸기, 잔디밭, 등산 등과 같은 야외 활동이 늘면서 털진드기병이 급증하고 있다. 집쥐, 들쥐를 비롯한 설치류, 야생 조류 등에 기생하는 털진드기 유충에게 물렸을 때 발생하는 질환이다. 털진드기 균이 인간의 혈액과 림프액을 통해 전신으로 퍼져 혈관염을 유발하며 쯔쯔가무시병으로 불리기도 한다.
털진드기병 잠복기는 6~20일 사이로, 보통 10~12일 정도다. 이후에는 두통, 기침, 오한, 발열, 발진, 근육통이 심해진다. 진드기에 물린 부위는 붉은색 수포가 생기며, 시간이 지나면 1cm 가량의 딱지가 형성된다. 이후 팔다리로 발진이 퍼지고, 폐렴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야외 활동 1~2주 후에 이같은 증상이 발생하면 털진드기병에 감염됐을 위험성이 높다.
드물게 패혈성 쇼크, 호흡 부전, 신부전, 의식 저하를 일으키거나 장애로 이어지기도 한다. 심지어 합병증으로 인해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조기에 병원을 찾아 항생제 등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증상이 빠르게 호전될 뿐만 아니라, 합병증없이 완치된다. 예방이 중요하지만, 그럼에도 치료가 늦어지면 세균이 온몸에 퍼져 치명적일 수 있다.
여기서 그보다 훨씬 위험한 SFTS(중증열성혈소판 감소증) 감염 사례까지 보고되고 있어서 가을 행락철 시기에 더욱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털진드기병은 가족 등에게 2차 감염을 일으키지는 않으나, SFTS와 같은 경우에는 환자의 체액이나 혈액을 통해 주위에 전파될 수 있다. 증상이 의심될 경우에는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털진드기 유충은 9~11월까지 왕성한 활동을 보이며, 특히 기온이 10~15도 가량인 10월 중순에서 11월 사이에 더욱 기승을 부린다. 감염된 환자의 절반 이상이 이무렵 발생한다. 팔다리 가려진 옷, 돗자리 사용, 풀밭에 옷 벗어두지 않기, 야외 활동 후 샤워, 귀가 후 입었던 옷 세탁, 풀밭 등을 산책하고 온 반려동물 떨에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여부도 확인할 필요가 있다.
* 필자 : 정성태(시인/칼럼니스트)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As outdoor activities such as visiting graves, mowing grass, weekend farms, gardening, lawn care, and hiking increase in the fall, the number of cases of chigger disease is rapidly increasing. It is a disease that occurs when bitten by chigger larvae that parasitize rodents such as house mice and field mice, as well as wild birds. Chigger fungi spread throughout the body through human blood and lymph, causing vasculitis and is also called tsutsugamushi disease.
The incubation period for chigger disease is between 6 and 20 days, usually 10 to 12 days. Afterwards, headaches, coughs, chills, fever, rashes, and muscle pains worsen. Red blisters form at the site of the tick bite, and over time, scabs about 1 cm in size form. The rash then spreads to the arms and legs, and may progress to pneumonia. If these symptoms occur 1 to 2 weeks after outdoor activities, there is a high risk of being infected with chigger disease.
In rare cases, it can cause septic shock, respiratory failure, renal failure, decreased consciousness, or lead to disability. In some cases, it can even lead to death due to complications. However, if you visit a hospital early and receive appropriate treatment such as antibiotics, not only will your symptoms improve quickly, but you will also be cured without complications. Prevention is important, but if treatment is delayed, the bacteria can spread throughout the body and be fatal.
Here, cases of SFTS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which is much more dangerous, have been reported, so extra caution is required during the fall travel season. Although chigger disease does not cause secondary infections to family members, SFTS can spread to those around you through the patient's body fluids or blood. If you suspect symptoms, you should visit a hospital immediately.
Chigger larvae are active from September to November, and are especially active between mid-October and November when the temperature is around 10 to 15 degrees. More than half of infected patients occur around this time. It is also necessary to wear clothes that cover your arms and legs, use a mat, do not leave clothes on the grass, shower after outdoor activities, wash clothes worn after returning home, and check for ticks on pets that have been walking on the grass,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