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근대 유럽권의 경우, 중화사관을 중심으로 하여 천하의 질서가 중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조공과 책봉으로 인해 당시 질서의 근간이 되었던 동아시아와는 달리 기본적으로 종교인 카톨릭의 영향 아래에 있다는 전제 하에서 질서가 유지되고 있었다. 동아시아에서는 기본적으로 천자(天子)를 중심으로 한 드넓은 대륙의 중원(中原)이 세계의 중심이었다면 유럽은 교황의 영향 하에 정치적인 부분보다는 종교적인 부분을 중시하여 작은 도시 국가지만 종교의 중심지인 로마를 중심으로 했다는 것에서 명확한 차이를 두고 있다. 반면 정교회는 로마를 제외한 5대 교구의 나머지 총대주교나 각 국의 총대주교의 영향 하에 있다는 것을 전제로 군주나 정부의 정통성을 주장했다. 프로테스탄트의 경우도 자국에서 국교로 지정한 종파의 수장이 국가와 민족의 영적 지도자 역할을 하면서, 군주나 정치인들의 세속적인 권력을 뒷받침했다.
유럽의 왕 또는 대공 및 공작, 선제후들은 1명의 군주가 여러 지역에 걸쳐 수장이 될 수 있었고, 백작이나 후작, 공작 등의 제후는 신성로마제국의 신하로 출발하게 된다. 이는 예수의 대리인으로 종교적 통치를 하고 있었던 교황이 가장 세력이 강력한 봉건 영주에게 로마 황제의 관을 내려 정치적으로 교황을 대리해 국가를 통치하도록 하는 대리 통치의 성격을 띄었으며 그 댓가로 황제는 교회와 교황을 정치, 군사적으로 보호할 의무를 갖고 있었다. 유럽의 조공과 책봉에 있어 가장 위의 계급은 종교의 수장인 교황이다.
그 교황이 세속적으로 가장 강력한 봉건 영주에게 황제의 지위를 하사하며 교황을 대리해 세속적인 정치권을 넘겨주고 통치하도록 위임했다. 이것이 교황이 황제를 책봉하고 황제는 그가 거느리고 있는 영토 내의 대공 및 공작, 선제후 등의 귀족들로부터 공물과 영토 할양 등의 조공을 받고 가장 상위 계급인 교황에게 교회의 헌금 형식으로 조공을 하게 된다. 그 대신 황제는 영토 내의 대공 및 공작, 선제후 등의 귀족들을 임명할 권한을 갖고 그들을 독립적으로 통치할 수 있게 하는데 이것이 일종의 황제가 귀족을 임명하는 책봉격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선제후 국들의 선제후들은 영토 내에 봉건적으로 존재하며, 비(非) 독립적이지만 병역과 세금의 의무가 있었기에 이는 일종의 군주에 대한 충성이자 의무 및 중세 유럽 방식의 조공이라 볼 수 있다. 유럽의 중세 초기에는 동아시아와 비슷하게 각국의 왕들이 명목상으로는 로마 제국 황제의 신하일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후에는 여러 게르만족들이 난립하여 왕국을 세우고, 게르만족 장군인 오도아케르가 비잔틴 제국에게 왕위를 인정받고 비잔틴 제국의 황제를 대리하여 서로마 지역을 한 때 지배한 적도 있었다. 비잔틴 제국의 경우 확실히 로마 제국의 동부 지역인 소아시아 지역 또는 아시아의 유목 민족들을 상대할 때 군사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게르만족이 필요하였고 교황도 바로 이러한 문제 때문에 유력한 서유럽 봉건 왕국의 군주를 새로이 황제로 옹립하고 서로마 제국의 황제로 책봉하였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서로마 제국 또한 선제후 공국들을 거느리는 이중 제국의 형태로 조공과 책봉이 반복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프랑크 제국이 카를루스 대제가 사망한 후, 베르됭 조약으로 인해 3개의 프랑크 제국으로 분열된 이후에 중세 시대에는 신성로마제국 내부에 로마 황제에 대한 의무를 지닌 선제후들이 존재하였고, 비잔틴 제국 역시 러시아, 키예프루스에 속한 슬라브족의 공국들에게 공작을 하사하는 봉건 제도가 존재했다. 이러한 봉건제도는 로마 제국 시기부터 내려오고 있었던 전통인데, 고대의 로마 제국도 이러한 방식으로 자국의 속국이나 위성국의 군주 및 유력자를 현지의 왕으로 책봉하였고, 일부는 책봉의 댓가로 그 나라의 왕족이나 귀족들에게 로마와 콘스탄티노플로 유학을 오도록 하여 로마식 교육을 시켜주었다. 이들은 공식적으로 볼모의 신분이었으나 실제로는 로마 제국을 방문한 귀빈 겸 유학생으로 간주되어 융숭한 대접을 받았다고 한다. 그래서 로마의 속국이나 위성국의 유력자들이 볼모로 보내지는 것을 선망하는 경우가 많았다.이들은 또한 작위를 책봉받기 전까지 로마의 고관대작으로 임용되는 특혜를 제공받기도 하였다.
이러한 유럽의 조공과 책봉 제도는 봉건제(Feudalism)와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다. 게르만족의 대이동과 정착 이후, 관습상 자유민 전사가 주군에게 군사적으로 봉사하는 것은 1년에 40일에 불과했다. 40일을 넘기려면 그에 상응하는 대가가 필요했고, 카를루스 마르텔부터 카를루스 대제의 다음 세대까지는 자유민 전사들인 가신들을 동원하여 주변을 정복하고 정복한 토지를 탈취하여 가신들에게 전리품으로써 나눠주는 형식으로 전쟁을 산업화하여 국가를 운용했다. 이 시대에 가장 많은 탈취를 당한 토지의 원 주인들은 다름 아닌 카톨릭 교회의 영지로, 원래 교회의 가산이었다. 이와 같이 나눠준 토지, 즉 은대지(Beneficium)의 경우 기본적으로 군주의 소유였지만 가신들에게 일시적으로 하사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와 같은 40일 봉사 제도는 봉신들이 주군에게 바치는 군역으로 이어졌고, 군역을 면제 받는 대신 세금 형식으로 적정한 금액을 보내는 방패세 제도도 존재하고 있었다. 40일을 초과하는 군역에 대해서는 군주가 보상해야 했다. 다만 방어전쟁에서는 40일 제한이 적용되지 않았다.
서양의 봉건제도에서는 주군과 봉신이 원래 같은 자유민으로서 원칙적으로 신분이 평등했다. 따라서 주군과 봉신이 서로 맹세-황제의 종사인 봉신들은 주군에게 군사적 의무를 지는 충성과 조공의 역할을 하고, 주군인 황제는 봉신들의 이권을 유지시켜 줘야 할 의무가 있었으며 신의성실의 의무를 가진 계약 관계를 토대로 책봉을 내림으로써 유럽만의 특이한 요건의 봉건제도가 수립된 것이다. 이와 같은 유럽의 조공과 책봉으로 이어지는 봉건제도는 십자군 전쟁과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 등으로 인해 교황의 세력이 약화되고 15세기 합스부르크 왕가의 막시밀리안 1세의 선제후들간의 결혼 동맹 정책으로 인해 조공과 책봉은 급속도로 사라져 갔다. 그러나 최근에도 그 명맥이 살아남아 유지되었다가 폐지된 나라도 존재하고 있다.
프랑스와 스페인 사이에 존재한 면세의 나라로 알려진 작은 공국인 안도라는 1993년에 국민 투표로 헌법을 제정하기 전까지는 그들의 공동 영주인 스페인의 우르헬 주교와 프랑스의 대통령에게 국가를 유지하기 위해 조공을 바쳤다. 안도라가 워낙 작은 나라이고 유럽의 정세구도상 거의 관심 밖에 있었기 때문에 심각한 인권 유린이나 탄압이 존재하지 않았기에 봉건제의 잔재인 조공과 책봉이라는 낡은 제도가 20세기 말까지 계속 유지될 수 있었던 것이다. 안도라는 1993년까지 1년씩 번갈아가며 프랑스 대통령에게 현금 960프랑(약 14만원)을 조공했으며 우르헬 주교에게는 현금 460페세타(약 3,000~4,000원)와 6개의 햄, 6개의 치즈 그리고 12마리의 닭을 보내 조공했다. 이러한 물품을 바치는 것이 안도라 시민들이 그들의 주군에게 바치며 나라를 유지하게 해달라고 부탁하는 일종의 조공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공과 책봉의 형태는 1993년 안도라가 입헌공동군주제가 되어 독립을 공식적으로 인정받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ribute and investiture also existed in Europe
Columnist Jeong Gil-seon
In the case of pre-modern Europe, unlike East Asia where the order of the world was centered around China and the tribute and investiture were the foundation of the order at the time, the order was maintained under the premise that it was basically under the influence of the religion, Catholicism. In East Asia, the central plains of the vast continent centered around the emperor was basically the center of the world, while Europe, under the influence of the pope, emphasized the religious aspect more than the political aspect, and centered around Rome, a small city-state but the center of religion. On the other hand, the Orthodox Church asserted the legitimacy of the monarch or government based on the premise that it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remaining patriarchs of the five major dioceses excluding Rome or the patriarchs of each country. In the case of Protestantism, the head of the sect designated as the state religion in his or her country served as the spiritual leader of the country and people, supporting the secular power of the monarch or politicians.
The kings, archdukes, dukes, and electors of Europe could be headed by one monarch over several regions, and the counts, marquises, and dukes began as subjects of the Holy Roman Empire. This was a proxy rule in which the Pope, who ruled religiously as the representative of Jesus, bestowed the crown of Roman Emperor on the most powerful feudal lord and had him rule the country on behalf of the Pope politically, and in return, the emperor had the duty to protect the church and the Pope politically and militarily. The highest rank in tribute and investiture in Europe was the Pope, the head of religion.
The Pope bestowed the status of Emperor on the most powerful feudal lord in the world and delegated the secular political power to rule on behalf of the Pope. This is how the Pope invests the Emperor, and the Emperor receives tribute in the form of tribute and territorial cession from the nobles such as archdukes, dukes, and electors within the territory under his control, and pays tribute in the form of donations from the church to the Pope, who was the highest rank. Instead, the emperor had the authority to appoint nobles such as archducks, dukes, and electors within the territory and allowed them to rule independently. This can be seen as a kind of investiture by the emperor appointing nobles.
The electors of the electoral states existed feudally within the territory and were non-independent, but had the obligation to serve in the military and pay taxes, so this can be seen as a kind of loyalty and obligation to the monarch and tribute in the medieval European style. In the early Middle Ages in Europe, similar to East Asia, the kings of each country had to be nominally vassals of the Roman emperor. After the fall of the Western Roman Empire, various Germanic tribes arose and established kingdoms, and the Germanic general Odoacer was recognized as a king by the Byzantine Empire and ruled the Western Roman region on behalf of the Byzantine emperor for a time. In the case of the Byzantine Empire, it certainly needed the Germanic peoples who could be of military help when dealing with the nomadic peoples of Asia Minor, the eastern part of the Roman Empire, and the Pope also enthroned the monarch of a powerful feudal kingdom of Western Europe as the new emperor and crowned him as the emperor of the Western Roman Empire because of this problem. In this case, the Western Roman Empire also began as a dual empire with electoral principalities, repeating tribute and crowning.
After the Frankish Empire was divided into three Frankish empires due to the Treaty of Verdun after the death of Charlemagne, during the Middle Ages, electoral princes with obligations to the Roman emperor existed within the Holy Roman Empire, and the Byzantine Empire also had a feudal system that granted duchies to Slavic principalities belonging to Russia and Kiev. This feudal system is a tradition that has been passed down since the Roman Empire. The ancient Roman Empire also appointed the monarchs and influential people of its vassal states or satellite states as local kings in this way, and in return for the appointment, some sent the royal family and nobles of those countries to Rome and Constantinople to study and receive a Roman-style education. Although they were officially hostages, they were actually considered to be honored guests and students visiting the Roman Empire and were treated with great respect. Therefore, there were many cases where influential people of Roman vassal states or satellite states coveted being sent as hostages. They were also given the privilege of being appointed as high-ranking Roman officials before being appointed as titles. This European tribute and appointment system is very closely related to feudalism. After the great migration and settlement of the Germanic tribes, it was customary for free warriors to serve their lords in the military for only 40 days a year. In order to exceed 40 days, a corresponding price was required, and from Charles Martel to the next generation of Charles the Great, the state was run by industrializing warfare by mobilizing free warriors, vassals, to conquer the surrounding areas, seize the conquered lands, and distribute them to the vassals as spoils. The original owners of the lands that were most seized during this period were none other than the Catholic Church, which was originally the property of the church. The lands distributed in this way, or beneficium, were basically owned by the monarch, but were considered temporary grants to the vassals. This 40-day service system led to military service that vassals paid to their lord, and there was also a shield tax system in which vassals sent an appropriate amount of money in the form of taxes in exchange for exemption from military service. The monarch had to compensate for military service exceeding 40 days. However, the 40-day limit did not apply in defensive wars. In the Western feudal system, lords and vassals were originally free men and had equal status in principle. Therefore, the lord and vassal swore an oath to each other - the vassals, who were the emperor's servants, had the role of loyalty and tribute, which were military obligations to the lord, and the emperor, as the lord, had the duty to maintain the interests of the vassals, and by granting investiture based on a contractual relationship with the duty of good faith, a feudal system with unique requirements unique to Europe was established. This feudal system leading to tribute and investiture in Europe rapidly disappeared due to the weakening of the power of the Pope due to the Crusades and the religious reform of Martin Luther, and the marriage alliance policy between the electors of Maximilian I of the Habsburg dynasty in the 15th century. However, there are countries where the tradition survived and was later abolished.
Andorra, a small principality known as a tax-free country between France and Spain, paid tribute to their co-lords, the Bishop of Urgell of Spain and the President of France, in order to maintain the country until they enacted a constitution through a national referendum in 1993. Because Andorra was such a small country and was largely outside the political landscape of Europe, there were no serious violations of human rights or oppression, so the old systems of tribute and investiture, which were remnants of the feudal system, were able to continue until the end of the 20th century. Until 1993, Andorra paid tribute to the French president in the amount of 960 francs (about 140,000 won) in cash every year, and to Bishop Urgel, it paid tribute of 460 pesetas (about 3,000-4,000 won), six hams, six cheeses, and 12 chickens. Paying these items was a kind of tribute from the Andorran citizens to their lord and asking him to maintain their country. However, this form of tribute and investiture was abolished in 1993 when Andorra became a constitutional joint monarchy and its independence was officially recogn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