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인도 통신]인도 인구는 14억명...인도에는 정말 사람이 많다, 특히 학교에 가보면...

현재 인도 인구는 14억명으로 중국을 제치고 세계 1위

조석용 본지 인도 통신원 | 기사입력 2024/11/12 [13:46]

▲ 조석용 본지 인도 퉁신원.     ©브레이크뉴스

인도에 첫 발을 디딘 사람들의 반응은 다양할 것이다. 각자의 관심이나 시각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나의 경우는? 한 마디로 정말 사람이 많다는 것이다. 길거리는 물론 대중이 주로 이용하는 메트로를 타보면 마치 우리의 1970~80년대의 느낌과 거의 비슷하다. 그 중에서 젊은 사람이 많다는 것은 축복일 것이다.  저 출산의 우리 상황과 비교해 보면 더욱 그렇다.

 

나는 한국어를 가르치기 위해 인도 학교로 출퇴근한다. 인도도 학교의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학교에 들어가면 첫 느낌, ‘바글 거린다’는 속어를 쓸 수밖에 없다. 수업시간 사이사이에 학교 복도는 이동하는 학생들로 가득 찬다. 등교하고 퇴교할 때는 학교 주변의 교통 혼잡이 대단하다. 부럽다는 표현 밖에 안 나온다. 일단 교육의 질의 측면은 차치하고.

 

인도의 초ž중등학교는 5+5+2년의 과정으로 구별된다. 처음 5년은 우리의 초등학교 과정과 비슷하고, 다음 5년은 우리의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합한 과정이라고 보면 된다. 이후 2년은 대학에 가고자 하는 학생들만 수강하는 과정이다. 자기가 희망하는 대학의 특성에 맞게 커리큘럼을 설계하고 공부한다. 우리의 문과와 이과로 나뉘는 것과 유사하다. 보통 5+5년은 기본으로 마친다. 이후 대학에 가는 학생과 취업으로 나가는 학생으로 나뉜다.

 

인도는 대개 한 학교에 이러한 5+5+2년의 과정이 함께 설치되어 있다.  초등학교에 입학해서 고등학교 졸업할 때까지 한 학교로 다닌다는 얘기이다. 초등학교와 중ž 고등학교가 모두 별개인 우리와 비하면 큰 차이가 있다. 인도에는 이런 크고 작은 학교가150만개 정도 있다고 한다.

 

인도에 오면, 특히 수도인 델리를 다니다 보면 퍼블릭 스쿨(Public School)이라고 적혀 있는 학교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를 우리 식의 공립학교로 생각해선 안 된다. 인도의 학교는 정부 보조에 의해 설립되고 운영되는 거버먼트 스쿨(Government School)과 사립재단이 운영하는 퍼플릭 스쿨(Public School)로 크게 나뉜다. 물론 혼합형도 있다.

 

문제는 정부 보조 학교가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심지어 이런 학교의 교사가 결석을 밥 먹듯 하고, 학생이 졸업을 해도 기초적인 연산도 못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반면 사립학교는 비교적 질 높은 교육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누구나 그러하듯이 입학하고 싶어하고, 경쟁률도 치열하다.  놀랍게도 인도 전국에 체인을 갖춘 ‘학교 재벌’ 형태까지 있다.

 

▲ 인도학생들.   ©브레이크뉴스

 

인도를 연구하는 전문가들은 공통적으로 교육 문제를 지적한다. 공교육이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인도의 정치도 포퓰리즘 요인이 많이 내재해 있다. 여야 불문하고 거의 모든 정파가 선거를 앞두고 선심성 공약을 내세운다.  인도의 대다수 서민은 아직 빈곤의 과정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데, 정치인들은 이들에게 직접 혜택을 내세운다. 다시 말하면 공공요금의 인하, 현물ž현금 제공 등 단기 처방 위주다. 따라서 백년대계인 교육은 뒷전이고 자유경쟁의 논리에 매몰리는 형국이다.

 

현재 인도 인구는 14억명으로 중국을 제치고 세계 1위이다. 인도의 초ž중등학교 학생이 대략 2억 6천만명이고, 그중 사립학교에 다니는 학생이 9,500만 명으로 약 1/3정도로 알려져 있다.  이들 사립학교는 대개 영어로 수업을 하고 있다. 학교에 내는 비용도 만만치 않다. 하지만 인도의 학부모들은 비록 힘들지라도 자식만큼은 좋은 환경에서 교육을 받도록 하고 싶어한다.

 

나는 인도의 수도인 델리에 소재한 사립학교(Public School)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현지 기준으로 보면 좋은 여건의 학교와 학생을 만나고 있는 셈이다. 한국과 인도를 비교하지 말자고 다짐해보지만 어쩔 수 없는 모양이다.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 진입의 과정을 경험했고, 또 콩나물 교실에서 수업을 했던 학창시절이 오버랩 되기도 한다. 

 

1970년대, 1980년대 한국의 부모들은 이렇게 자녀 교육에 진심을 다했다. 그것이 대한민국 발전의 초석이 되었음은 두말할 나위 없다. 지금의 인도가 깨어나고 있다. 현지 학교에 가서 학생들을 보면 실감이 난다. 이들이 10년 후, 20년 후 인도의 미래이기 때문이다. 

 

*필자/조석용 본지 인도 통신원.

 

The population of India is 1.4 billion... There are really a lot of people in India, especially when you go to school...

Currently, the population of India is 1.4 billion, surpassing China and taking the first place in the world

-Jo Seok-yong, India correspondent for this newspaper

 

The reactions of people who first set foot in India will vary. This is because they can differ depending on their interests and perspectives. In my case? In a word, there are really a lot of people. If you take the metro, which is mainly used by the public, as well as the streets, it feels almost like we did in the 1970s and 1980s. Among them,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young people is a blessing. This is even more so when compared to our low birth rate situation.

I commute to a school in India to teach Korean. Although the size of the school varies in India, the first impression when you enter the school is that it is ‘bustling.’ The school hallways are filled with students moving between classes. The traffic around the school is very congested when you go to and from school. I can only express my envy. Let’s put aside the quality of education. India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re divided into 5+5+2 years. The first 5 years are similar to our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he next 5 years can be seen as a combined course of our middle and high schools. The next 2 years are for students who want to go to college. They design a curriculum and stud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ge they want to go to. It is similar to our division into liberal arts and science. Usually, students finish 5+5 years as a basic course. After that, they are divided into students who go to college and students who go for jobs. In India, these 5+5+2 years are usually set up in one school. This means that students go to the same school from elementary school until they graduate from high school. This is a big difference compared to our country where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re all separate. It is said that there are about 1.5 million such schools, large and small, in India. If you come to India, especially if you go around the capital city of Delhi, you can easily see schools that say “Public School.” However, you should not think of these as our public schools. Schools in India are largely divided into government schools, which are established and operated with government subsidies, and public schools, which are operated by private foundations. Of course, there are also mixed schools.

The problem is that government-subsidized schools do not provide quality education. It is said that teachers at these schools often skip school, and even after graduating, students cannot even do basic calculations. On the other hand, private schools provide a relatively high-quality educational environment. As with everyone, students want to enroll in them, and the competition is fierce. Surprisingly, there are even ‘school conglomerates’ with chains all over India.

Experts who study India commonly point out the problem of education. They say that public education is not functioning properly. Indian politics also has many inherent elements of populism. Almost all political parties, regardless of the ruling or opposition party, make populist promises ahead of the election. The majority of ordinary people in India are still struggling to escape poverty, but politicians directly offer benefits to them. In other words, they focus on short-term solutions such as lowering public utility rates and providing in-kind and cash benefits. Therefore, education, which is a long-term plan, is put on the back burner and is being immersed in the logic of free competition.

Currently, India has a population of 1.4 billion, surpassing China and making it the world's largest. It is known that there are approximately 260 milli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India, and that about 95 million, or about 1/3, of them attend private schools. Most of these private schools teach in English. The tuition fees are not cheap. However, Indian parents want their children to receive a good education in a good environment, even if it is difficult.

I teach Korean at a public school in Delhi, the capital of India. By local standards, I am meeting students and a school with good conditions. I try not to compare Korea and India, but it seems inevitable. I experience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from a developing country to a developed country, and my school days of teaching in a bean sprout classroom overlap.

In the 1970s and 1980s, Korean parents put their heart and soul into their children's educa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became the cornerstone of the develop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dia is waking up now. When I go to the local school and see the students, I can feel it. This is because they are the future of India in 10 years, 20 years.

 

*Author/Jo Seok-yong, India correspondent for this newspaper.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 박혜연 2025/01/14 [15:18] 수정 | 삭제
  • 울 대한민국이나 선진국들은 중위연령이 40대를 넘어가는데 인도는 아직도 중위연령이 20대후반이라는거~!!!!!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