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적봉시 두패자(頭牌子) 유적의 청동기 명문 두 글자 해석과 고조선

우실하 한국항공대학교 교수 | 기사입력 2024/11/11 [23:52]

 

▲ 필자/우실하 교수 (한국항공대학교)

 

우리 역사의 첫 국가인 고조선은 단군조선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우리나라 학계에서는 단군조선의 실존에 대해서도 논쟁적이고, 초기 고조선의 중심지에 대해서도 평양설, 요동설, 요서설 등이 공존하고 있다.

 

중국의 대표적인 포탈인 바이두(百度: www.baidu.com)의 백과사전인 바이두백과에서는 단군조선은 신화로 부정되고, 고조선은 “중국 역사에 기록된 기자조선과 위만조선으로 이어진 (중국의) 제후국, 번속국을 가리킨다. 주의할 점은 문화든 혈연적 속성이든 오늘날의 대한민국이나 조선(=북한)의 역사가 아니고, 고대 중국의 지방정권에 속한다”고 보고 있고, 고조선의 주요 민족도 “화하족(華夏族)과 부여족”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우리가 동북공정을 ‘고구려사 빼앗기’로 오해하고 ‘고구려는 우리 역사’라고 외치는 사이에, 이미 고조선, 부여, 고구려, 발해는 모두 중국사의 일부로 정리된 지 오래다. 

 

1980년대부터 만주의 요서 지역을 중심으로 황하문명보다 시기적으로 앞서고 문화적으로도 발달된 새로운 요하문명(遼河文明)이 발굴되기 시작했고, 1995년에 중국학자 곽대순(郭大順)에 의해서 처음으로 요하문명으로 명명되었다. 요하문명의 꽃으로 불리는 홍산문화(紅山文化: B.C. 4500~B.C. 3000)의 후기(B.C. 3500~B.C. 3000)에는 이미 ‘초기 국가단계’ 혹은 ‘초기 문명단계’에 진입했다고 보고 있다. 

 

요하문명 지역에서 청동기시대의 시작이 하가점하층문화(夏家店下層文化: B.C. 2300~B.C. 1600)이고, 고조선의 지표 유물 가운데 하나인 비파형동검이 나오는 하가점상층문화(夏家店上層文化: B.C. 1000~B.C. 300)로 이어진다.

 

  © 적봉시 옹우특기 두패자촌에서 발굴된 하가점하층문화의 청동시루 (이찬구박사 제공)



1981년 적봉시 옹우특기 두패자(頭牌子) 유적에서 대형 청동기 3개(1 甗, 2 鼎)가 출토되었는데, 높이 66cm에 무게가 14kg에 달하는 거대한 청동언(甗: 청동 시루)에는 두 글자의 명문이 새겨져 있었다.

 

중국학계에서는 [문자1]을 갑골문의 ‘貯(저, 저장하다)로 금문(金文: 청동기에 새겨진 글자)에서는 ’宁 (저, 저장하다)로 판독하였다. 하지만 그 문자의 의미를 밝히지는 못했다. 또 [문자2]에 대해서도 갑골문이나 금문 등과의 비교를 통해서 ‘郭(곽: 성곽, 둘레)’ 혹은 ‘墉(용: 담, 벽, 성)으로 해독하고 상족(商族)과 관련된 강대한 방족(方族)의 족명으로 보았었다. 

 

  © 宁(저), 墉(용), 郭(곽)의 자원 변천과정

 

『역사와 융합』 최근호에 이찬구 박사가 쓴 「적봉지역 하가점하층문화에서 발굴된 고문자 宁와 墉 고찰: 殷의 갑골문보다 앞서 사용한 ‘고조선 문자’일 가능성 검토」라는 논문에서 처음으로 이 두 개의 명문의 의미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바른역사학술원 http://www.brhistory.re.kr/subList/32000003815 논문 열람가능)

                      

이찬구 박사는 갑골문이나 금문의 연구에서 부족한 부분들을 『예기』와 『주례』 등의 내용으로 보완하면서 하가점하층문화를 단군조선과 연결하여 나름대로 논리적인 해석을 제시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1) [문자1, 宁(저)]를  단순히 ‘저장하다’라는 의미가 아니라 “‘천자가 제후의 조회(알현)를 받는 자리’로서 ‘신성한 공간’”으로, (2)  [문자2, 墉(용)]은 ‘천자국의 궁성’으로 보아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 두패자촌 청동시루에 새겨진 두 글자. 상단 문자1은 宁(저), 하단 문자2는 墉(용).

 

신석기시대 토기에도 도문(陶文)이라고 불리는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지만, 아직은 ‘문자’ 단계로 보지는 않는다. 하가점하층문화 시기의 두패자(頭牌子) 유적의 명문을 ‘문자’로 볼 수 있는가는 여전히 논쟁적이다. 

 

그러나 두패자 유적의 두 글자는 이후에 나온 은(殷)나라 갑골문이나 금문으로 바로 이어지고 있어서, ‘문자’의 초기 형태로 볼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이것이 요하문명의 초기 청동기 유적의 최대 밀집 지역이자, 고조선의 초기 중심지로 보이는 지역에서 발견되었다는 것은 ‘고조선 문자’에 대한 많은 가능성을 열어주는 계기가 될 것이다. 

 

*필자/우실하 한국항공대학교 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Interpretation of the two characters of the bronze inscription at the Toupai(頭牌子) site in Chifeng City and Gojoseon

 

Woo Sil-ha (Professor, Korea Aerospace University)

 

Gojoseon(古朝鮮), the first state in our history, is explained based on Dangun Joseon. In Korean academia, there is controversy over the existence of Dangun Joseon, and there are theories such as the Pyongyang theory, the Liaodong theory, and the Liaoxi theory regarding the center of the early Gojoseon.

 

In Baidu Encyclopedia, an encyclopedia of Baidu (www.baidu.com), a representative portal site in China, Dangun Joseon is denied as a myth, and Gojoseon refers to “the vassal state and vassal state (of China) that continued from Ki-ja Joseon and Wei-man Joseon recorded in Chinese history.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not the history of today's Republic of Korea or Joseon (=North Korea), whether cultural or blood-related, but belongs to the local government of ancient China," and the main ethnic groups of Gojoseon are described as "Hwaxa (華夏族) and Buyeo (夫餘族)." While we misunderstand the China's Northeast Project as "stealing Goguryeo history" and shout "Goguryeo is our history," Gojoseon, Buyeo, Goguryeo, and Balhae have all long been categorized as part of Chinese history.

 

Starting in the 1980s, a new Liaohe civilization (遼河文明) that was earlier in time and culturally more developed than the Yellow River civilization began to be discovered, centered around the Liaoxi region of Manchuria, and was first named the Liaohe civilization in 1995 by Chinese scholar Guo Da-shun (郭大順). It is reported that the late period (3500 BC-3000 BC) of the Hongshan Culture (紅山文化: 4500 BC-3000 BC), which is called the flower of the Liaohe civilization, had already entered the ‘early state stage’ or ‘early civilization stage’.

 

The beginning of the Bronze Age in the Liaohe civilization area is the Lower Xiajiadian culture (夏家店下層文化: 2300 B.C.~1600 B.C.), which is one of the landmark relics of Gojoseon, and is followed by the Xiajiadian Upper Layer Culture (夏家店上層文化: 1000 B.C.~300 B.C.), which includes the lute-shaped bronze dagger. In 1981, three large bronze vessels (1 甗, 2 鼎) were excavated from the Ongwu Special District Toupai(頭牌子) site in Chifeng City. The huge 甗 (bronze steamer) measuring 66 cm in height and weighing 14 kg had two characters engraved on it.

Chinese academics interpreted [Character 1] as ‘貯 (to store)’ in oracle bone script and ‘宁 (to store)’ in bronze script. However, they were unable to determine the meaning of the characters.

In addition, [Character 2] was interpreted as ‘郭 (墉: wall, perimeter)’ or ‘墉 (fence, wall, castle)’ through comparison with oracle bone script and bronze script, and was viewed as the clan name of a powerful clan related to the Yin tribe.

In a recent paper titled “A Study of Ancient Characters (宁) and (墉) Discovered in the Lower Xiajiadian Culture in Chifeng Area -Reviewing the possibility of the ‘Gojoseon-character’ used prior to Yin's Oracle bone script-” written by Dr. Lee Chan-goo in the journal History and Convergence, he attempted a new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these two inscriptions for the first time. (You can read the paper at the Barun History Research Institute http://www.brhistory.re.kr/subList/32000003815 )

 

Dr. Lee Chan-goo supplemented the parts that were lacking in the study of oracle bone script and bronze script with the contents of the Book of Rites and the Zhou Rites, and presented his own logical interpretation by connecting the Lower Xiajiadian culture to Dangun Joseon. In this article, (1) [Character 1(宁)] is not simply meant to ‘store’, but rather as a ‘sacred space’ as a ‘place where the emperor receives the audience of the feudal lords’, and (2) [Character 2(墉)] should be viewed as the ‘palace of the emperor’.

 

Although inscriptions called ‘Domun’ (陶文) are engraved on pottery from the Neolithic Age, they are not yet considered to be at the ‘character’ stage. It is still controversial whether the inscriptions on the Toupai(頭牌子) site from the Lower Xiajiadian culture Period can be considered ‘characters’. 

 

However, the two characters of the Toupai  site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later oracle bone script and bronze script of the Yin Dynasty, s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y can be seen as an early form of ‘characters.’ 

And the fact that they were discovered in an area with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early bronze relics of the Liaohe Civilization and what appears to be the early center of Gojoseon will open up many possibilities for ‘Gojoseon characters.’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